런던발(Reuters) – 영국 정부가 러시아산 원유 운송 선박과 무기 제조용 부품 공급망을 겨냥한 새로운 대러시아 제재안을 공개했다. 이번 제재는 러시아의 최근 우크라이나 공격 수위가 높아진 데 따른 대응 조치다.
2025년 9월 12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영국 외교부는 러시아 드론·미사일 공격 빈도 증가와 9월 10일(현지시간) 폴란드 영공(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영토) 침범 사건을 ‘즉각적 위협’으로 규정하며 제재 실행을 공식화했다.
제재 대상은 총 100개로, 70척의 선박과 30개 기업·개인이 포함된다. 영국 정부는 “해당 선박들이 러시아 원유를 나르며 크렘린에 필수적인 현금 흐름을 제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중국·터키에 각각 본사를 둔 전자부품 업체 1곳씩이 무기 시스템용 핵심 부품을 러시아에 공급한 혐의로 이름을 올렸다.
“국제사회가 러시아 경제를 압박하고 푸틴이 불법 전쟁 자금을 조달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는 이베트 쿠퍼 신임 영국 외무장관이 12일 키이우(우크라이나 수도)를 방문해 남긴 발언이다. 그는 “이번 조치가 안보 지원과 병행해 경제 압박 강도를 높이는 다음 단계(next stage)”라고 강조했다.
주요 제재 내용
- 선박 70척 동결 – 러시아 원유 및 석유제품 운송에 사용
- 기업·개인 30곳 제재 – 전자부품·화학물질·폭약 등 무기 제조 필수 물자 공급
- 대상 국가 – 러시아는 물론 중국·터키 소재 업체 일부 포함
용어 해설
‘제재(sanctions)’란 특정 국가·개인·기업의 자산을 동결하거나 거래를 제한해 경제적 압박을 가하는 외교적 수단이다. NATO(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북대서양조약기구)는 유럽·북미 31개국이 가입한 집단안보 동맹으로, 회원국 영공 침범은 집단 방위를 촉발할 수 있는 민감 사안이다.
전문가 시각
이번 영국 조치는 G7 차원의 대러 제재망을 더욱 촘촘히 만든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석유 운송 선박을 직접 겨냥함으로써 ‘선박 보험·재보험·항로 이용 제한’ 등 2차 제재 확장 가능성이 커졌다. 동시에 중국·터키 업체를 첫 제재 목록에 올렸다는 점에서 제3국 우회 조달 차단 의지가 드러난다. 다만, 실제 효과는 러시아의 ‘어둠의 함대’(암거래 선박) 규모와 원유 가격 캡에 대한 시장 대응에 달려 있다는 분석이다.
영국 재무부는 해당 제재가 즉시 발효되며, 금융기관·항만 당국·보험사가 신규 블랙리스트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것을 요구했다. 위반 시 형사처벌·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다.
앞으로의 관전 포인트
- 유럽연합(EU)과 미국이 추가 동조 제재에 나설지 여부
- 러시아의 석유 수출 경로 재편 및 가격 변동
- 폴란드 영공 침범 관련 NATO 집단방위 조항(제5조) 발동 가능성
결론적으로, 이번 제재 패키지는 영국이 군사·경제적 ‘투 트랙’ 지원 정책을 강하게 추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향후 국제금융 및 에너지 시장의 단기 변동성과 장기적인 공급망 재조정 흐름이 더욱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