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콜린스 총재 “당분간 정책금리 동결이 적절할 가능성…추가 완화엔 높은 문턱”

보스턴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 수잔 콜린스가 최근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다는 우려를 이유로, 가까운 시기 추가 통화완화에 대해 상당히 높은 기준을 적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인하에 찬성표를 던졌던 그는, 현 시점에서는 정책금리를 동결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2025년 11월 12일,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콜린스 총재는 보스턴에서 열린 한 은행가 컨퍼런스에 제출한 사전 준비 발언에서, "노동시장에서 뚜렷한 악화의 증거가 없다면 정책을 더 완화하는 데 주저할 것"이라며, 미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인해 인플레이션 관련 공식 통계가 제한적인 점을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이처럼 불확실성이 큰 환경에서 인플레이션과 고용 간의 위험을 균형 있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책금리를 현 수준에서 일정 기간 유지하는 것이 적절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콜린스 총재의 이러한 메시지는, 지난달 정책금리 인하 결정에도 불구하고 연준 내부에 존재하는 뚜렷한 시각차를 재확인시켰다. 제롬 파월 의장은 불과 2주 전, "지난달 금리 인하에 대해 "견고한" 지지가 있었지만, 12월 회의에서 추가 인하가 기정사실은 아니며, 오히려 그와는 거리가 멀다"고 경고한 바 있다.

주목

연준은 10월 회의에서 정책금리 목표범위를 3.75%-4.00%0.25%포인트 낮췄다. 당시 두 건의 반대표가 나왔는데, 제프리 슈미드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는 동결을 주장했고, 연준 이사인 스티븐 미런인플레이션이 시장의 일반적 인식보다 더 빠르게 둔화하고 있다고 보고 0.50%포인트의 더 큰 인하를 선호했다.

이후에도 12명의 투표권자 중 일부는 콜린스 총재와 마찬가지로 추가 인하에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세인트루이스 연은의 알베르토 무살렘 총재는 정책이 과도하게 완화적이 되는 것을 경계했고, 연준 부의장 필립 제퍼슨정부 셧다운으로 공식 통계가 부족한 상황에서는 특히 점진적 접근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이러한 목소리들은 곧바로 반대 표결로 이어진다는 뜻은 아니지만, 다음 인하에 대한 합의 형성이 쉽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일부 지표는 금리 인하가 설계상 보완하려는 성격의 노동시장 약화가 이어지고 있음을 암시하지만, 그 정도와 속도를 둘러싼 연준 내부 평가가 엇갈리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투표권이 없는 지역 연은 총재들 중에서도 목소리가 갈린다.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인플레이션 위험을 이유로 금리 동결 선호를 드러냈고,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는 열린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주목

콜린스 총재는 단기 차입 비용이 현 시점에서 "경미하게 긴축적"이라고 평가하면서도, 전반적 금융 여건은 성장에 순풍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노동시장이 명백히 약화했음을 인정했지만, 하방 리스크가 여름 이후 더 악화한 것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끌어올리는 효과가 예상보다 작았으며, 그 영향은 2026년 초 완화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인플레이션이 지난 약 5년간 연준의 2% 목표를 지속 상회해 온 만큼, 높은 수준이 고착될 위험에 대한 경계심을 거두기 어렵다고 했다.

콜린스 총재 발언: "정책 스탠스를 추가로 조정하기에 앞서, 인플레이션이 2%로의 복귀 경로지속적이고 신뢰할 만한 방식으로 올라탔다는 점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어 해설 및 맥락정책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 설명

정책금리(연방기금금리 목표범위)란, 미국 은행 간 초단기 자금거래에 적용되는 기준금리의 목표 구간을 뜻한다. 연준은 경제 여건(인플레이션·고용 등)에 따라 이 범위를 조정해 경기 과열을 식히거나 둔화를 완충한다. 여기서 "완화"는 금리를 낮추거나(혹은 낮게 유지) 금융여건을 느슨하게 만들어 성장과 고용을 뒷받침하려는 방향을, "긴축"은 그 반대를 의미한다.

"경미하게 긴축적"이라는 표현은, 현 금리 수준이 물가상승 압력을 다소 억누르는 쪽에 가깝다는 진단을 담는다. 다만 콜린스 총재가 지적했듯, 전반적 금융여건(기업·가계의 차입금리, 신용스프레드, 주식·채권·달러 등 금융시장 변수)은 성장에 순풍으로 작용하고 있어, 이 조합이 실제 수요·물가에 미치는 효과를 면밀히 보겠다는 취지다.

정부 셧다운은 예산안 미통과로 일부 연방 정부 기능이 중단되는 상황을 말한다. 이 경우 노동시장·물가 등 공식 통계의 생산과 공표가 일시 중단되거나 지연될 수 있다. 콜린스 총재와 제퍼슨 부의장이 "정보가 제한적"이라고 강조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정책결정자들은 데이터의 구멍이 생길 때, 과도한 선제 조정을 자제하고 점진주의를 택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FOMC에는 의결권자비의결권자가 존재한다. 기사에서 언급된 보스틱(애틀랜타)과 데일리(샌프란시스코)는 해당 시점에는 투표권이 없는 인사로, 공식 결론을 바꾸지는 못하지만 여론 형성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친다. 반면 투표권자인 콜린스, 무살렘, 제퍼슨 등의 발언은 직접적인 결정 가능성을 가늠하는 데 참고된다.


의미와 파장기사 내 정보 범위에서의 해석

핵심은, 인플레이션과 고용 간 균형을 중시하는 연준이 추가 인하에 대해 높은 기준을 세웠다는 점이다. 파월 의장의 "12월 추가 인하는 기정사실이 아니다"라는 신호와 맞물려, 정책 공조 내 이견이 여전히 존재함을 재확인시킨다. 특히 콜린스 총재는 노동시장이 크게 악화하지 않는 한 추가 완화를 주저하겠다고 못 박았고, 최근 5년 가까이 2%를 웃돈 물가상승 고착 위험을 분명히 의식하고 있다.

정리하면, 10월의 0.25%포인트 인하 이후에도 연준 내 공감대는 유동적이며, 일부 투표권자들은 신중한 속도 조절을, 일부는 더 큰 폭 인하 혹은 동결을 각각 선호했다. 이 같은 분화는 노동시장 약화의 정도인플레이션 둔화의 지속성을 둘러싼 해석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콜린스 총재가 내놓은 "동결 선호" 시그널은, 추가 인하까지의 문턱이 높다는 점을 시장과 정책 커뮤니티에 재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