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마침내 기준금리 인하를 시작하자 금융시장은 대대적인 완화 사이클에 대한 기대감으로 들썩이고 있다. 그러나 MRB 파트너스(MRB Partners)는 “노동시장 경착륙이 없고 물가 상승 압력이 완전히 누그러지지 않은 상황에서, 올해 안에 많아야 두 차례 정도 추가 인하가 이뤄진 뒤엔 속도 조절이 불가피하다”며 시장의 과도한 낙관론에 경고 메시지를 보냈다.
2025년 9월 19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채권시장은 연준이 올해 두 차례, 내년에도 두세 차례 더 금리를 내릴 것으로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MRB는 “실제론 올해 추가 인하가 한 번, 많아야 두 번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현 완화 국면이 2026년 이후까지 이어질 가능성은 사실상 제로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연준이 이번 주 공개한 점도표(연준 위원들의 금리 전망 요약)도 이러한 신중론에 힘을 싣는다. 점도표에 따르면 2025년 연말까지 기준금리는 두 차례 추가 인하 후 잠정 멈춤, 2026년엔 소폭 인상 혹은 동결 시나리오가 공존한다. 이는 시장이 기대하는 장기간의 저금리 구간과는 괴리가 있다.
노동시장, ‘자기강화적 침체’ 아니다
MRB는 최근 실업률이 4.0%대로 소폭 상승했음에도 “이는 대규모 해고 때문이 아니라 이민 규제 강화로 노동공급이 줄어든 탓”이라고 분석했다. ‘최대 고용(maximum employment)’을 목표로 하는 연준 입장에선 작년만큼 빠른 고용 창출이 없어도 목표 달성이 가능하므로, 노동시장 둔화가 곧바로 추가 인하의 근거가 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8월 실업률 상승은 구조적 요인에 따른 일시적 현상이며,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역사적 평균보다 낮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 MRB 파트너스 보고서
점증하는 물가 압력, 연준의 ‘완화 창(窓)’ 좁힌다
물가 측면에서도 관세·비관세 서비스 가격이 끈적하게 상승하고 있다. 특히 주거비를 제외한 서비스(렌트 제외 서비스) 인플레이션이 연준 목표인 2%를 상회하면서, 추가 완화 여지를 축소시키고 있다. MRB는 “경기가 내년 반등하고 실업률이 4%대 초반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물가가 다시 2%를 하회할 가능성은 작다”고 내다봤다.
경제 성장률 전망치 상향…‘심리적 버퍼’ 넓어진다
연준은 2026년 성장률 전망치를 1.6%→1.8%, 2027년은 1.8%→1.9%로 상향했다. 반면 같은 기간 실업률 전망은 2026년 4.5%→4.4%, 2027년 4.4%→4.3%로 낮췄다. 이는 완화적 통화정책이 아닌, 생산성 개선과 구조적 요인이 성장·고용을 뒷받침할 것이라는 연준 내부 시그널로 해석된다.
용어 해설*
• 연방기금금리(FFR)(Federal Funds Rate) : 미국 은행 간 초단기 대출금리로, 연준이 통화정책 목표금리로 삼는다.
• 점도표(Dot Plot) : FOMC 위원 19명이 익명으로 제시한 향후 기준금리 전망치를 점(dot)으로 표시한 차트.
• 비관세 서비스 인플레이션 : 관세가 직접 적용되지 않는 의료·교육·교통·레저 등 서비스 분야 물가상승률.
기자의 심층 분석
금융시장이 ‘소프트랜딩’ 시나리오를 기정사실화하면서, 미국 채권금리는 이미 향후 50~75bp(1bp=0.01%포인트) 추가 하락을 가격에 반영했다. 그러나 성장률 상향·물가 불확실성·노동공급 부족이라는 세 가지 변수는 연준이 예상보다 이른 시점에 ‘인하 중단(pause)’ 카드를 꺼낼 가능성을 높인다. 요컨대, 시장의 ‘장밋빛 베팅’이 현실과 충돌할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뜻이다.
채권 투자자라면 단기적 랠리에 안주하기보다, 장기물 듀레이션 확대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달러 약세에 베팅할 때도, 물가와 실질금리 간 간극이 다시 벌어질 수 있다는 리스크를 감안해야 한다.
※ 본 기사는 인베스팅닷컴 원문 번역 및 공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객관적 사실 전달을 최우선으로 하되 기자의 시장 해석을 일부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