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추가 금리 인하 기대에 S&P500·다우·나스닥100 사상 최고치 경신

S&P 500 지수($SPX)와 이를 추종하는 ETF SPY는 19일(현지시간) 0.49% 상승 마감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I·DIA)은 0.37% 올랐고, 나스닥 100 지수($IUXX·QQQ)는 0.70% 급등했다. 선물시장에서도 12월물 E-mini S&P(ESZ25)가 0.42%, 12월물 E-mini 나스닥(NQZ25)이 0.68% 상승세를 보였다.

2025년 9월 19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세 지수 모두 사상 최고치를 새로 쓰며 주간 랠리를 완성했다. 투자자들은 연방준비제도(Fed)의 추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베팅하면서 위험자산 선호 심리를 강화했다. 이날은 파생상품 3종이 동시에 만기되는 ‘트리플 위칭*’ 데이였음에도 변동성 지수는 평소 수준에 머물렀다. 다만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2bp 오른 4.13%로 상승, 주가 상승 폭을 다소 제약했다.

Barchart는 “Barchart Brief” 정오 뉴스레터가 20만 명 넘는 구독자가 선택한 ‘필독’ 자료라고 강조했다.

주목

미니애폴리스 연방은행의 닐 카시카리 총재는 이번 주 FOMC가 25bp 금리 인하를 단행한 것을 지지하며, 올해 안에 두 차례 추가 인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 통화를 갖고 동영상 플랫폼 TikTok 운영권을 중국 모기업 바이트댄스에서 미국 투자자 컨소시엄으로 이전하는 방안의 윤곽을 논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많은 중요 사안에서 진전을 이뤘다”고 평가했으며, 다음 달 대한민국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 계기에 시 주석과 대면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기업 실적 전망도 주가에 우호적이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S&P 500 편입 기업 가운데 22% 이상이 3분기 실적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며 애널리스트 추정치를 웃돌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1년 만에 가장 높은 비율이다. S&P 500 기업의 3분기 순이익 증가율 예상치는 5월 말 6.7%에서 6.9%로 상향됐다.

연방기금선물시장은 10월 28~29일 FOMC 회의에서 25bp 추가 인하가 단행될 확률을 92%로 반영하고 있다.

주목

해외 증시는 엇갈렸다. 유로존 대표 지수 Euro Stoxx 50은 4주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0.03% 상승 마감했다. 반면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30% 하락했고, 일본 닛케이225는 사상 최고치 경신 후 차익실현 매물로 0.57% 내리며 1주일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채권시장 동향

12월물 미국 10년 만기 국채선물(ZNZ5)은 7.5틱 하락했다. 이에 10년물 국채수익률은 2.7bp 상승한 4.131%로, 2주 만에 최고치인 4.143%까지 올랐다. 주가 강세로 안전자산 수요가 감소한 데다, 유럽 국채 금리 상승이 미국 국채에 하방 압력을 가했다. 다만 카시카리 총재의 비둘기파적 발언이 낙폭을 일부 제한했다.

시장 일각에서는 연준 독립성 훼손 우려도 제기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 연준 이사 해임을 시도하고, 스티븐 미런 백악관 경제자문이사회의 직함을 유지한 채 연준 이사직을 겸임하려는 움직임이 전해지면서 국채 가격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유럽 국채 금리도 상승세를 보였다. 독일 10년물 분트 금리는 2주 만에 최고치인 2.753%까지 올라 2.2bp 상승 마감했고, 영국 10년물 길트 금리는 4.718%로 3.9bp 뛰었다.

독일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 대비 -0.5%, 전년 대비 -2.2% 하락하며 각각 -0.1%, -1.7% 감소를 예상한 시장 전망을 하회했다. 전년 대비 -2.2% 감소 폭은 15개월 만에 최대다.

영국 8월 자동차 연료 제외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8% 증가해 예상치 0.7%를 웃도는 5개월 만의 최대 증가율을 나타냈다. 같은 달 영국 정부 차입 규모는 180억 파운드(약 244억 달러)로, 예상치 125억 파운드를 크게 상회하며 5년 만에 8월 기준 최대치를 기록했다.

ECB 집행이사회 구성원인 마리오 센테노 포르투갈 중앙은행 총재는 “유로존 성장률이 잠재수준을 밑돌고 있으며, 인플레이션이 머지않아 목표 이하로 떨어져 당분간 그 수준에 머물 것”이라며 추가 통화완화 가능성이 더 크다고 말했다.

반면 에스토니아 중앙은행 총재인 마르티 뮐러는 “ECB의 통화정책은 이미 다소 완화적이며, 당장 차입 비용을 더 낮춰야 할 이유는 없다”고 밝혔다.

이날 스왑시장은 10월 30일 ECB 회의에서 25bp 인하가 단행될 확률을 2% 미만으로 반영했다.

종목별 동향

‘매그니피센트 세븐’으로 불리는 대형 기술주가 시장을 견인했다. 애플(+3% 이상), 테슬라(+2% 이상)가 두각을 나타냈고, 알파벳·마이크로소프트가 1% 넘게 올랐다. 엔비디아는 0.24%, 아마존닷컴은 0.11% 상승했다.

오라클은 메타플랫폼스와 약 200억 달러 규모의 클라우드 컴퓨팅 계약을 논의 중이라는 블룸버그 보도에 힘입어 4% 넘게 급등했다.

클라비요는 모건스탠리가 투자의견을 ‘동중립’에서 ‘비중확대’로 높이고 목표주가를 50달러로 제시하자 4% 이상 상승했다.

코어위브는 루프캐피털마켓이 신규 ‘매수’ 의견과 165달러 목표가를 제시하면서 3% 넘게 올랐다.

링컨내셔널 역시 모건스탠리의 ‘비중확대’(목표가 58달러) 의견에 따라 3% 이상 상승했다.

페덱스는 1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3.83달러로 시장 예상 3.59달러를 상회해 2% 넘게 올랐다.

워너브러더스 디스커버리는 CNBC가 파라마운트·스카이댄스의 인수 제안가가 주당 22~24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보도하자 2% 넘게 상승했다.

반면 스콜라스틱은 1분기 주당순손실이 -2.52달러로 시장 예상 -2.44달러보다 큰 폭의 손실을 기록하며 12% 이상 급락했다.

헤스 미드스트림은 Capa 가스 플랜트 조기 엔지니어링 작업 중단 및 사업 계획 제외로 2026~2027년 자본지출 전망을 낮추겠다고 밝히면서 10% 이상 하락했다.

코그니전트 테크놀로지 솔루션스는 트럼프 행정부가 H-1B 비자 신청 수수료를 10만 달러로 인상할 방침이라는 블룸버그 보도 후 IT 아웃소싱 업종 전반과 함께 4% 이상 떨어졌다.

휴마나는 파이퍼샌들러가 미 보건복지부 CMS 별 등급 회복이 2027년까지 지연될 것으로 내다보면서 4% 넘게 내렸다.

레나는 3분기 매출(88억1,000만 달러)이 시장 전망(90억5,000만 달러)을 밑돌고, 4분기 신규주문 가이던스(2만~2만1,000건)가 예상치(21,047건)를 하회하면서 4% 이상 급락했다.

인텔은 씨티그룹이 투자의견을 ‘매도’로 강등하고 목표주가를 29달러로 제시하자 3% 이상 하락했다.

9월 22일 예정된 실적 발표는 없다.

본 기사 작성 시점에서 필자 리치 애스플런드는 언급된 어떤 종목에도 직접적 또는 간접적 보유지분이 없다고 밝혔다. 본 기사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자문이 아니다.

Barchart는 이 밖에도 ‘트럼프–시 통화 이후 S&P 선물 상승세’, ‘연준 금리 인하 이후 개장 전 주가 랠리’ 등 여러 시장 브리핑을 제공하고 있다.

기사에 포함된 견해와 의견은 저자 개인의 것이며, 반드시 나스닥의 공식 입장을 반영하지는 않는다.

*트리플 위칭은 주가지수선물, 주가지수옵션, 개별주식옵션 세 가지 파생상품이 동시에 만기되는 분기별(3·6·9·12월 셋째 금요일) 이벤트로, 거래량 급증과 변동성 확대가 일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