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조기 금리 인하 기대 속 뉴욕증시 상승 마감

뉴욕증시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가속적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다. 10일(미국 동부시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일 대비 0.27% 오른 5,289.45,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0.43% 상승한 39,612.18, 나스닥100지수는 0.33% 오른 18,444.71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같은 시각 9월물 E-미니 S&P500 선물은 0.28%,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36% 각각 오르며 위험선호 심리를 반영했다.

2025년 9월 10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다음 주(16~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25bp(0.25%포인트) 인하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50bp 인하 가능성도 10%까지 반영했다고 전해졌다. 이 같은 완화적 통화정책 전망이 주가를 지지하고 있다.

이번 랠리에는 미 노동부의 예비 벤치마크 수정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024년 4월부터 2025년 3월까지 1년간의 고용 데이터가 종전 추정치보다 91만1,000명 적은 것으로 집계돼, 시장 예상치(70만 명)보다 큰 폭으로 하향 조정됐다. 이는 2000년 이후 최대 규모의 감소로, 노동시장이 생각보다 약하다는 신호로 해석되며 연준의 빠른 대응 필요성을 높였다.

주목

FOMC란 무엇인가?
FOMC는 통화정책을 실질적으로 결정하는 연준 산하 위원회로, 기준금리(연방기금금리) 목표 범위를 설정한다. ‘bp(basis point·베이시스 포인트)’는 금리 0.01%포인트를 뜻하며, ‘25bp 인하’는 0.25%포인트 내리는 조치를 의미한다.


주요 이벤트 일정1)
• 11일: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 – 전년 대비 3.3% 예상
• 11일: 식품·에너지 제외 PPI – 3.5% 예상
• 12일: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 – 2.9% 예상, 근원 CPI – 3.1% 예상
• 12일: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 23만4,000건 예상
• 13일: 미시간대 9월 소비자심리지수 – 58.0 예상

시장금리 전망도 빠르게 변하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올해 말까지 연방기금금리는 현행 4.38%에서 3.66%로 총 72bp 인하가 반영됐다. 특히 10월 28~29일 회의에서 두 번째 25bp 인하가 이뤄질 확률은 지난주 54%에서 75%로 급등했다.

관세(타리프) 이슈
지난달 말 연방항소법원은 “대통령이 의회 승인 없이 전 세계에 관세를 부과한 것은 권한을 초과했다”고 판결했지만, 최종 확정 전까지 관세는 유지하기로 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모든 계획이 실행될 경우 평균 미국 관세율이 2024년 2.3%에서 2025년 15.2%로 급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주목

해외 증시
유럽 Stoxx50지수는 1주 최고치로 0.11% 상승 마감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51% 하락,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사상 최고치에서 0.42% 후퇴했다.

채권시장 동향
미 10년물 국채(12월물)는 6.5틱 하락해 금리는 4.070%로 3bp 상승했다. 위험자산 선호에 따른 안전자산 수요가 줄어든 데다, 이번 주 1,190억 달러의 국채 입찰(3·10·30년물)로 공급 부담이 가중됐다. 다만 3년물 580억 달러 입찰은 응찰률 2.73배로 최근 10회 평균(2.59배)을 웃돌며 일부 낙폭을 제한했다.

유럽 채권도 강세를 멈추고 금리가 반등했다. 독일 10년물 금리는 2.659%(+1.7bp), 영국 길트 10년물은 4.623%(+1.8bp)로 상승했다. 프랑스 7월 제조업 생산은 전월 대비 1.7% 감소하며 14개월 만의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주요 종목별 흐름
UnitedHealth Group 8% 급등 — 메디케어 애드밴티지 가입자 78%가 4성 이상 고평가 플랜에 편입될 것이라고 발표해 보험주 강세 견인. Centene +7%, Molina +3%, Elevance +2%, CVS +1% 동반 상승.
• 반도체주 강세 — AMD·Micron +2% 이상, Nvidia·Marvell·ARM·ASML +1% 이상, KLA·Applied Materials도 강보합.
M&A 수혜주 — Novartis가 14억 달러에 인수키로 한 Tourmaline Bio 57% 폭등, Nebius Group 49%, Brighthouse Financial 12%, Atlassian 5%, CoreWeave 7% 상승.
약세 종목 — Humana 12% 급락(메디케어 평가 기준 강화 우려), Albemarle 11% 하락(중국 리튬광산 생산 재개), SailPoint 7% 하락(실적 가이드 부진), Fox 6% 하락(오너 일가 블록딜), 주택건설주 전반 2~5% 조정, Freeport-McMoRan 5% 하락(인도네시아 광산 중단), News Corp 4% 후퇴(지분 매각).

“고용지표 하향 조정으로 연준이 ‘데이터 디펜던트’ 정책 기조를 유지하더라도, 시장은 이미 보다 공격적인 완화 사이클을 선반영하고 있다.” — 뉴욕 소재 매크로 스트래티지스트 A 씨

전문가 해설
시장에서는 고용·물가·관세 등 복합 변수에도 불구하고 실적 모멘텀을 갖춘 헬스케어·AI 반도체·데이터 센터 인프라 종목에 대한 자금 유입이 지속될 것으로 본다. 다만 관세 정책 불확실성과 국채 대규모 발행은 채권 금리 변동성을 키워 주식 밸류에이션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2)
• PPI(Producer Price Index): 생산자가 판매하는 상품·서비스 가격 변동을 측정해 인플레이션 선행지표로 활용.
• CPI(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가 지불하는 물가 수준을 보여주는 대표 지표.
• 베이시스 포인트(bp): 이자율 변화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1bp=0.01%).
•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미국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12인 위원회.
• 메디케어 애드밴티지: 민간 보험사가 운영하는 노인 의료보험 대체플랜으로 별도의 ‘스타’ 평가 제도에 따라 보너스 지급.


ⓒ 2025 Barchart / Nasdaq.co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