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위원 금리 인하 시사에 달러 약세…미 소비 심리·주택지표는 견조

[달러·금리·물가] 미국 달러 인덱스(DXY)가 18일(현지시간) -0.24% 하락하며 주간 약세 흐름을 이어갔다. 연방준비제도(Fed) 크리스토퍼 월러(Christopher Waller) 이사의 ‘7월 기준금리 인하’ 공개 지지 발언이 결정적이었다. 여기에 미시간대 소비자조사에서 단·중장기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5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지면서 연준의 매파적 부담이 완화됐다.

2025년 7월 18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월러 이사는 전날 저녁 연설에서 “

물가가 목표치에 근접했고 상방 위험도 제한적이므로, 노동시장 악화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25bp(0.25%포인트) 인하를 단행해야 한다

”고 언급했다. 월러는 7월 29~3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의 즉각적 조정을 촉구했으며, 이 메시지는 달러 매도 압력으로 직결됐다.

그러나 달러 낙폭은 예상보다 제한적이었다. 6월 주택착공(housing starts)이 전월 대비 4.6% 증가한 132만1,000건으로 시장 추정치(130만 건)를 웃돌았고, 건축허가(building permits)도 0.2% 늘어난 139만7,000건으로 서프라이즈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동일 기간 미시간대 7월 소비자심리지수는 61.8로 컨센서스(61.5)를 상회하며 5개월 최고치를 찍었다.


1. 주요 수치 및 시장 반응

• 달러 인덱스 : 0.24% 하락
• 연방기금선물(FF) 시장이 반영한 ‘7월 25bp 인하’ 확률 : 5%, ‘9월 인하’ 확률 : 58%
유로/달러(EUR/USD) 환율 : +0.20%
달러/엔(USD/JPY) 환율 : +0.11%
8월 금 선물 : +0.39%
9월 은 선물 : +0.42%

2. 유럽 및 일본 소식

유로화는 달러 약세에 동반 강세를 보였으나, 유로존 5월 건설생산 -1.7%(전월 대비), 독일 6월 생산자물가지수(PPI) -1.3%(전년 대비) 등 부진한 지표가 상단을 눌렀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EU와의 무역협상에서 자동차 관세 15~20% 최저선을 고수하고 있다고 전하며 추가 압박 가능성을 제기했다.

엔화는 일본 참의원 선거(21일) 불확실성 속에서 약세로 돌아섰다. 집권 자민당(LDP)이 과반 확보에 실패하고 각 당이 현금 지원·세금 감면을 경쟁적으로 약속할 경우 국가 재정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한편, 6월 근원 CPI(식료·에너지 제외)가 3.4%로 17개월 만의 최고치를 찍으면서 일본은행(BOJ)의 추가 긴축 논의 가능성도 점쳐진다.


3. 원자재 시장 동향

Gold Futures Chart Silver Futures Chart

금·은 가격은 달러 하락, 미 국채 수익률 둔화, 그리고 월러 발언이 결합되며 상승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150여 개국에 10~15% 관세 도입” 방침을 밝힌 것도 안전자산 수요를 자극했다. 다만 미국 주택·소비 지표 호조가 ‘연준 조기 완화’ 기대를 일부 상쇄해 상승 폭은 제한됐다.


4. 용어·지표 해설

Housing Starts는 신규 주택 건설을 시작한 건수를 의미하며, 미국 부동산 경기와 경기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Building Permits는 정부로부터 받은 건축 허가 건수로, 향후 건설 활동의 선행 지표다. FOMC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로서 미국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25bp는 0.25%포인트를 가리키며, ‘베이시스포인트(basis point)’는 금리 변동 폭을 세밀하게 표현하기 위해 쓰인다.

달러 인덱스(DXY)는 유로, 엔, 파운드 등 6개 주요 통화 대비 달러의 상대 가치를 나타내며, 글로벌 외환·원자재 시장의 위험 선호를 측정하는 대표 지표다.


5. 기자 해석 및 전망

최근 연준 인사들의 완화적 스탠스는 ‘노골적 금리 인하 시그널’로도 해석된다. 그러나 견조한 고용·소비·주택 지표가 잇달아 발표되면서 ‘데이터 의존적(data dependent)’이라는 연준의 공식 기조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시장은 7월 인하 가능성을 낮게 보되, 9월 이후 단계적 인하 경로에는 무게를 싣는 분위기다.

유럽과 일본의 정책 불확실성, 그리고 미·EU·신흥국 간 관세 갈등은 달러 강세 재료로 되돌아올 소지가 있다. 따라서 하반기 외환시장은 ‘정책 시차·경제 펀더멘털·지정학 변수’가 복합적으로 작동하며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본 기사에 포함된 시장 전망은 기자의 전문적 해석일 뿐, 투자 손실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