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지수 급등·금 가격 하락— 연준 인사들의 매파적 경계가 시장을 주도하다
달러 인덱스(DXY00)가 금요일 +0.27% 상승하며 2.75개월 만의 신고점을 경신했다. 이날 미 캔자스시티 연은 제프 슈미트, 댈러스 연은 로리 로건, 클리블랜드 연은 베스 해먹 총재가 금리 인하에 반대하는 이유를 제시하며 매파적(긴축 선호) 메시지를 강화한 것이 달러 강세를 지지했다. 또한 10월 MNI 시카고 PMI가 예상을 웃돌며 발표돼 달러에 추가 탄력을 제공했다. 이와 함께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수요일 발언에서 12월 FOMC에서의 금리 인하가 “기정사실은 아니다”라고 못박은 매파적 가이던스가 이어진 점도 달러를 뒷받침했다. 다만 금요일 미 증시 랠리가 유동성 수요를 완화하면서 달러의 추가 상승 폭은 제한됐다.
2025년 11월 3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미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 업무정지)이 지속되면서 달러에는 여전히 하방 압력이 남아 있다. 셧다운이 길어질수록 미국 경기의 타격과 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 필요성이 커질 수 있다는 평가가 달러의 상단을 누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200,000명 이상이 구독하는 ‘바차트 브리프(Barchart Brief)’ 정오 뉴스레터를 통해 매일 핵심 이슈를 확인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미국: 지표 호조와 연준 발언이 맞물린 달러 강세
미국 10월 MNI 시카고 PMI는 +3.2포인트 상승한 43.8을 기록해, 시장 예상치인 42.3을 웃돌았다. 이는 제조업 심리가 여전히 위축권(50 미만)에 있으나 수축 속도는 다소 둔화됐음을 시사한다.
제프 슈미트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 “노동시장은 대체로 균형을 이루고 있고, 경기 모멘텀이 지속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너무 높다는 이유로 수요일의 25bp(=0.25%p) 금리 인하에 반대표를 던졌다.”
로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 “이번 주에 금리를 인하할 필요가 없었다고 봤으며,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빠르게 하락하거나 고용시장이 보다 가파르게 냉각된다는 명확한 증거가 없는 한 12월 추가 인하는 어렵다.”
베스 해먹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인플레이션을 목표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제약적 정책을 유지할 필요가 있어, 수요일 FOMC에서는 동결을 선호했을 것이다.”
파생·선물시장에서의 확률 반영에 따르면, 시장은 다음 12월 9~10일 FOMC에서 연방기금금리 25bp 인하 가능성을 63%로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또한 2026년 말까지 총 82bp의 추가 인하가 이루어져 유효연방금리가 현재의 3.88%에서 3.06%로 낮아질 것으로 시장은 보고 있다.
유로화: 지표 호조에도 달러 강세에 밀려 하락
EUR/USD는 금요일 2.75개월래 최저로 밀리며 -0.33% 하락 마감했다. 달러 강세가 유로를 압박한 가운데, 같은 날 발표된 유로존 물가·독일 소매 판매는 오히려 유로에 우호적이었다. 유로존 10월 근원 CPI와 독일 9월 소매판매가 모두 예상 상회로 나왔기 때문이다.
정책 기조의 차이도 유로의 상대적 지지 요인으로 거론된다. 시장은 ECB가 이미 금리 인하 사이클을 마무리한 반면, 연준은 2026년 말까지 최소 1%포인트 추가 인하가 예상된다고 본다. 그럼에도 달러의 전반적 강세 흐름이 단기적으로는 유로 약세로 연결되고 있다.
유로존 10월 CPI는 전년비 +2.1%(9월 +2.2%)로 예상치에 부합했고, 근원 CPI는 전년비 +2.4%로 예상 +2.3%를 상회하며 근원 물가의 점진적 둔화가 지연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독일 9월 소매판매는 전월비 +0.2%, 전년비 +2.8%로 각각 +0.2%, +2.7%의 예상치를 소폭 웃돌았다.
이와 관련해 스와프 시장은 12월 18일 ECB 통화정책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4%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다.
엔화: 일본 지표 개선에 소폭 반등, USD/JPY는 하락
USD/JPY는 금요일 -0.03% 하락했다. 전일 기록한 8.5개월래 달러 대비 최저치 부근에서 엔화가 소폭 되돌림을 보였다. 일본 9월 광공업생산 및 10월 도쿄 CPI가 예상보다 강하게 나오며 BOJ(일본은행)의 정책 정상화 가능성을 키운 점이 엔화에 우호적으로 작용했다. 다만 9월 소매판매가 기대치를 하회해 엔화의 상승 폭은 제한됐다.
일본 9월 광공업생산은 전월비 +2.2%로 예상 +1.5%를 상회했으며, 7개월래 최대 증가를 기록했다. 9월 소매판매는 전월비 +0.3%로 예상 +0.8%에 못 미쳤다. 10월 도쿄 CPI는 전년비 +2.8%로 예상 +2.4%를 상회했고, 신선식품·에너지 제외 CPI도 전년비 +2.8%로 예상 +2.6%를 웃돌았다.
귀금속: 달러 급등과 매파적 메시지에 금·은 동반 하락
12월 만기 COMEX 금 선물(GCZ2)은 금요일 -19.40달러(-0.48%) 하락 마감했고, 12월 만기 COMEX 은 선물(SIZ2)은 -0.456달러(-0.94%) 내렸다. 장 초반 강세를 반납하고 하락 전환했으며, 은 가격은 1주일래 최고 수준에서 밀렸다. 이는 달러 인덱스가 2.75개월래 최고치로 급등하면서 롱 청산(long liquidation)을 촉발했고, 앞서 언급한 연준 인사들의 매파적 코멘트가 귀금속 전반에 압박을 더했기 때문이다.
또한 미·중 무역 긴장 완화로 안전자산 수요가 약화된 점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여기에 중국 10월 제조업 PMI가 -0.8포인트 하락한 49.0으로 예상 49.6에 못 미치며 6개월 내 가장 깊은 위축을 기록하자, 산업용 금속 수요 둔화 우려가 은 가격에 추가 하방 압력을 줬다.
한편, 금 가격은 전일(목요일)의 중앙은행 금 매입 강화 신호에서 이월된 지지를 받으며 장 초반 오르기도 했다. 월드골드카운슬(WGC)에 따르면, 3분기 전 세계 중앙은행은 금 220톤을 순매입해 2분기 대비 28% 증가했다.
그럼에도 최근 흐름은 기록적 고점 경신 이후 롱 포지션 청산 압력이 금·은 가격을 누르고 있다. 이번 주 S&P 500이 사상 최고치를 새로 쓰면서 안전자산 선호가 약화됐고, 이는 ETF 자금 유출과 함께 현·선물 시장의 강제 청산을 촉발했다. 골드 ETF 보유는 지난 화요일 기록한 3년래 최고치에서 후퇴했고, 실버 ETF 보유도 3.25년래 최고치에서 감소했다.
중국: 제조업 경기가 6개월 만에 가장 큰 위축
중국 10월 제조업 PMI는 49.0(전월 대비 -0.8)으로, 49.6의 예상치를 하회했다. 이는 경기 수축 심화를 시사하며, 산업 금속 수요 약화와 연계돼 글로벌 원자재 시장 심리에 부담을 주었다.
용어 풀이와 맥락
DXY(달러 인덱스)는 달러의 가치를 주요 통화 바스켓 대비 측정한 지수다. PMI(구매관리자지수)는 기업의 신규주문·생산·재고 등을 통해 경기 확장(50 초과) 또는 위축(50 미만)을 진단하는 지표다. bp(베이시스 포인트)는 금리의 최소 단위로 1bp = 0.01%p를 뜻한다. 이월된 지지(carryover support)는 직전 거래일 재료가 다음 날에도 가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며, 롱 청산은 상승을 기대하고 사둔 포지션을 손절·이익실현 등으로 정리하는 과정을 말한다. 안전자산 수요는 지정학·정책 불확실성에 위험자산을 줄이고 금·엔화·미국채 등으로 이동하는 흐름을 가리킨다. 중앙은행 간 기조 차이는 각국 통화정책 방향의 엇갈림이 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핵심 개념이다.
해석과 시사점
달러 강세는 미 지표의 탄력과 연준의 인하 경계가 결합해 나타난 결과로, 단기적으로는 금·은 등 비이자 자산의 상대 매력을 약화시킨다. 다만 정부 셧다운, 무역정책 불확실성, 지정학 리스크 등은 다시 안전자산 선호를 자극할 수 있어, 향후 정책·정치 이벤트의 전개가 달러-귀금속 간 역상관의 강도를 좌우할 가능성이 크다. 유로화는 근원 물가의 점진적 둔화 지연에도 불구하고, 정책 기조 차이와 달러 강세 앞에서 상대 약세를 보였다. 일본은 물가·생산 지표가 매파적 신호를 보내며 엔화의 방어력을 높였고, 이는 글로벌 외환시장에서 정책 정상화 기대가 통화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재확인시켰다.
기타 공지
기사 게재일 현재, 리치 애스플런드(Rich Asplund)는 본문에 언급된 어떤 종목에도 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본 기사에 포함된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한다. 관련 사항은 바차트의 공시 정책을 참고하라는 설명이 덧붙었다.
본문에 나타난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 개인의 것이며, 나스닥(Nasdaq)과는 무관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