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론: 미 연준의 ‘정치 리스크’가 다시 부상하다
2025년 9월 30일, 필립 제퍼슨 부의장은 “부의장 임기 후 거취를 아직 고민하지 않았다”는 짧은 발언으로 시장에 미묘한 파장을 던졌다. 곧이어 백악관·의회·연준을 둘러싼 정치적 줄다리기가 재점화됐다. 트럼프 대통령 2기는 이미 리사 쿡 이사 해임 소송, 파월 의장 사퇴 압박 등으로 중앙은행 독립성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필자는 이번 칼럼에서 ①연준 거버넌스를 둘러싼 제도·정치 역학, ②가능한 시나리오별 경제·시장 충격, ③장기 투자전략까지 총체적으로 분석한다.
■ 1. 제도적 구조와 권력 ‘타임라인’
1) 연준 이사회 임기표
| 구분 | 인물 | 이사 임기 종료 | 부/의장 직책 |
|---|---|---|---|
| 의장 | 제롬 파월 | 2028.01 | 의장(2028.05) |
| 부의장 | 필립 제퍼슨 | 2036.01 | 부의장(2027.09) |
| 이사 | 리사 쿡 | 2038.01 | – |
| 이사 | 크리스토퍼 월러 | 2030.01 | – |
| 이사 | 미셸 보우만 | 2034.01 | – |
| 기타 | 공석 1席 | — | – |
*2025.10 현재 자료, 공석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강경 매파’ 후보를 임명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2) 대통령이 과반을 장악하려면?
- 2025~2027: 공석 1席 + 쿡 해임 성공 시 2席 → 단기 과반 불가능
- 2028.01: 파월 의사 임기 만료 → 3席 확보 시 과반 달성 가능
- 결론: 실제 정책 방향을 바꾸려면 최소 3년이 소요된다.
■ 2. 정치화(Politicization) 시나리오 매트릭스
| 정책 독립성 | 정치 영향력 크기 | ||
|---|---|---|---|
| 제한적(A) | 중간(B) | 고도(C) | |
| 유지(1) | 1A: 현 status quo, 금리·자산매입 decisions 데이터 기반 유지 | 1B: 파월 후임 ‘온건 매파’ 선임, 점진적 금리상향 | 1C: 트럼프, 금리 인하 강행 요구 실패 시 법정 공방 |
| 약화(2) | 2A: 쿡 해임 성공·후임 매파, 그러나 FOMC 내부 균형 존재 | 2B: 과반 장악, 점진적 목표금리 하향(通胀 리스크) | 2C: 대규모 인사교체, ‘의장-백악관 直라인’ 형성 |
| 붕괴(3) | 3A: 극단적 해임·법원 승인 실패, 시장 불안만 팽배 | 3B: 연준 법 개정 시도, 의회 통과 난망…정책 공백 | 3C: 연준 기능 부분 마비, 인플레이션 기대 앵커 붕괴 |
가중치 평가: 1A(45%) > 2A(25%) > 1B(12%) > 2B(8%) > 기타(10%). 즉, 제도적 견제 장치 덕분에 ‘붕괴’ 확률은 10% 이하로 본다.
■ 3. 거시경제 영향 분석(2026~2036)
1) 금리·채권시장
- 시나리오 1A: 10년물 국채 2027~2030년 평균 3.5~4.0% 유지.
- 시나리오 2B: 장기 기대인플레 +30bp, 10년물 4.5% 상단 돌파.
- 시나리오 3C: 인플레앵커 붕괴 시 6% 이상 급등·수익률곡선 정상화.
2) 달러 인덱스(DXY)
정치화 심화는 달러의 쌍둥이 적자 프리미엄을 확대시켜 장기적으로 3~5% 약세 요인. 그러나 안전자산 선호가 맞물리면 단기 초강세→중장기 약세의 ‘J-커브’가 유력하다.
3) 실질 GDP·인플레이션 경로
| 연도 | 시나리오 1A 실질 GDP | 시나리오 2B | 시나리오 3C |
|---|---|---|---|
| 2026~28 | +1.8% | +1.5% | +1.0% |
| 2029~31 | +1.7% | +1.2% | 0.0% |
| 2032~36 | +1.6% | +1.0% | -0.4% |
인플레이션은 2B·3C 시나리오에서 평균 3.4%→4.8%까지 상승 압력이 존재한다.
■ 4. 자산군별 장기 파급
1) 주식
S&P500 EPS 성장률 시뮬레이션: 1A 5.5%, 2B 4.2%, 3C 2.0%. 프리미엄 소멸과 할인율 상승이 동시 발생하면 PER 1~4pt 하락 여지.
2) 섹터 민감도 Top5
- 부동산(REITs): 금리 스프레드 확대에 극단적 취약.
- 은행: 순이자마진 개선 vs. 유가증권 평가손, 양극화.
- 고배당 유틸리티: 장기채 대체효과 약화, 배당주 리프라이싱.
- 반도체: 글로벌 CAPEX 주기+달러 변동성 이중 영향.
- 에너지: 달러 약세·인플레 동반 땐 상대적 헤지 매력.
3) 대체자산
- 금·비트코인: 연준 신뢰훼손 단계별로 교대 랠리 가능.
- 원자재(곡물 포함): 정책 불확실성→달러 방향성이 핵심 트리거.
■ 5. 글로벌 자본흐름과 달러 패권
연준 독립성 훼손은 곧 준기축통화 프리미엄 축소를 의미한다. IMF COFER 통계 기준 달러 비중은 58%→54%(10년 후)로 하락 가정. 유로·위안·엔화 소폭 상승, 그러나 대체 없는 현실적 제약으로 점진적 이동에 그칠 전망.
■ 6. 투자전략: ‘정치 리스크 헷지 포트폴리오’
① 기간 분산
- 3년 이내 채권: 정책 블러핑 속도보다 만기가 짧아 방어력 우수.
- 7~10년 TIPS: 인플레 베타 확보, 실질 수익률 쿠션.
② 지역·통화 분산
G10 중 캐나다·호주 달러는 자원·ESG 모멘텀을 갖춰 중장기 달러 약세 국면에서 수혜가 예상된다.
③ 자산군 믹스
모델 포트폴리오(2026~2030년)
| 자산군 | 1A 권고비중 | 2B | 3C |
|---|---|---|---|
| S&P Core | 35% | 30% | 20% |
| 해외주식(선진) | 15% | 20% | 25% |
| 중기국채 | 20% | 15% | 10% |
| TIPS | 10% | 15% | 20% |
| 금·원자재 | 10% | 12% | 15% |
| 현금·단기MMF | 10% | 8% | 10% |
■ 7. 리스크 체크리스트(투자자용)
- 연준 인사 청문회 일정 – 상원 인준 지연 여부.
- 대법원 판결 – 쿡 해임 사건 결과, 2026년 상반기 예상.
- 의회 예산 충돌 – 셧다운 반복 시 경제지표 공백 리스크.
- 달러 유동성 스와프라인 – 신흥국 외환위기 전이 여부.
■ 8. 결론: ‘제도는 강하지만, 기대는 조정하라’
100년 전 연준법 제정자들은 민주적 통제와 중앙은행 독립성의 미묘한 균형을 설계했다. 오늘날 그 균형추가 흔들리고 있다. 필자가 제시한 확률 분포대로 독립성 완전 붕괴 확률은 낮다. 그러나 헐거워진 앵커만으로도 장기 할인율과 위험 프리미엄은 상승한다. 투자자는 “최악은 오지 않더라도, 가격은 이미 일어날 수 있는 최악을 할인하기 시작한다”는 냉정한 시장 논리를 잊어선 안 된다.
장기 교훈: ①제도 리스크는 시차를 두고 나타난다. ②금융자산 가치는 신뢰의 함수다. ③정치 주기에 흔들리지 않는 포트폴리오 중립성이 궁극적 해답이다.
칼럼니스트 이중석(경제·데이터 분석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