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화가 주요 통화 대비 약세를 이어가며 1주일 만의 최저 수준 부근에서 거래됐다. 반면 호주달러(AUD)는 예상보다 뜨거운 소비자물가 상승률 덕분에 반등했다.
2025년 10월 29일,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시장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0.25%포인트(¼포인트) 인하를 기정사실화하고 있으나, 제롬 파월 의장이 기자회견에서 내놓을 향후 통화정책 가이던스에 더 큰 관심을 두고 있다.
달러 인덱스(DXY)는 전일 0.1% 하락에 이어 98.681에서 횡보했다. 이는 6개 주요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산출한 지수로, 1985년 플라자 합의 이후 달러 추세를 읽는 대표 지표다.
자본시장 플랫폼 캐피털닷컴의 애널리스트 카일 로다는 “12월 추가 인하 가능성까지 이미 가격에 반영돼 있어 파월 의장의 한 마디가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고 평가했다.
엔화(USD/JPY) 움직임도 주목받았다. 달러·엔 환율은 0.2% 내린 151.84엔을 기록하며 이틀 연속 하락했다. 이는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X(옛 트위터)에 “일본 정부가 일본은행(BOJ)에 긴축 공간을 허용하려는 의향이 있다”고 밝힌 직후 나타난 흐름이다.
베센트 장관은 방일 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함께 새 내각을 출범시킨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와 회담했다. 그는 “BOJ의 완만한 금리 인상 속도가 인플레이션 기대를 고착화하고 환율 급변을 불러올 수 있다”고 수차례 비판해 왔다.
다카이치 총리는 재정·통화정책 모두 비둘기파(dovish)로 분류되지만, “통화정책 결정은 중앙은행이 독립적으로 수행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해 왔다. BOJ는 30일 종료되는 이틀간의 금융정책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되며, 12월 회의에서 첫 인상 신호가 나올지 여부가 관전 포인트다.
호주달러(AUD/USD)는 CPI 쇼크에 상승 반전했다. 호주달러/미달러 환율은 장중 0.3% 오른 0.6604달러를 기록했다. 호주 통계청이 발표한 3분기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다음 주 열리는 호주중앙은행(RBA) 회의에서 ‘동결’ 가능성이 부상했기 때문이다.
“예상보다 강한 물가 데이터는 RBA가 연내 인하에 나설 여지를 줄였다.”
— 시장 참가자 코멘트
전문 용어 해설
• ‘쿼터 포인트(called quarter point)’ :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조정할 때 쓰는 표현이다.
• ‘비둘기파(dovish)’ : 경기 부양을 위해 완화적 정책을 선호하는 인사나 세력을 가리킨다.
• ‘달러 인덱스(DXY)’ : 유로, 엔, 파운드, 캐나다달러, 스웨덴 크로나, 스위스 프랑 등 6개 통화를 가중평균해 산출한다.
정책 결정 대기 모드
연준은 29일(현지시각) FOMC를 끝마치고 성명을 발표한다. 시장은 0.25%p 인하를 ‘확정’으로 보는 가운데, 12월 추가 인하 가능성을 가늠할 단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유럽중앙은행(ECB)도 30일 통화정책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주요 3대 중앙은행(Fed·BOJ·ECB)의 스탠스 차이가 외환시장 방향성을 결정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편, 외환 트레이더들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1일 한국에서 열리는 정상회담에서 대중(對中) 추가 관세 유예 또는 희토류 수출 규제 완화라는 ‘휴전’ 프레임워크를 도출할지에도 주목하고 있다.
전문가 시각
환율·금리 전략가들은 “연준의 ‘선제 인하→데이터 확인→유연성 유지’ 3단계 로드맵이 재확인되면 달러 약세 흐름이 이어질 수 있다”면서도, “파월 의장이 물가 ‘상방 리스크’ 언급을 강화할 경우 달러 강세가 재점화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엔화의 경우 단기적으로 BOJ가 금리를 동결해도 정책 정상화 시그널만 줘도 숏 커버링(매도 청산)으로 급등할 수 있다”고 대다수 전문가가 진단했다. 다만 “유로는 ECB가 성장둔화 우려로 완화적 기조를 계속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달러 약세 국면에서도 제한적 상승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도 제시됐다.
이처럼 글로벌 외환·금리 시장은 ‘정책 이벤트 라시(투자자 집중도)’가 최고조에 이른 상황이다. 투자자들은 발표 직전 과도한 포지션을 피하고, 변동성 확대에 대비한 헤지(위험회피) 전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