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금리 인하 기대 속 미 증시 일제히 급등

S&P 500 지수(SPX)는 1.47% 상승,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I)는 1.34% 상승, 나스닥 100(IUXX)은 1.87% 상승 마감했다. 동시에 9월물 E-미니 S&P 선물은 1.58%,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1.96% 각각 뛰어오르며 현·선물 시장 모두 강세 흐름을 보였다.

전 거래일(8월 1일)의 급락세를 만회하려는 매수세와 함께, 이른바 ‘매그니피선트 세븐(Magnificent Seven)’ 대형 기술주의 호실적, 그리고 반도체 종목 강세가 증시 전반의 랠리를 견인했다. 특히 최근 부진했던 미 고용보고서ISM 제조업 지수가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부각시키면서 투자 심리가 한층 개선됐다.

2025년 8월 5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연방기금(FF) 선물시장은 9월 FOMC에서 25bp(0.25%포인트) 인하 가능성을 90%로 반영하고 있다. 이는 해당 수치가 발표되기 전 40%였던 점을 고려하면 불과 사흘 만에 확률이 두 배 이상 뛰어오른 셈이다.

S&P 500 차트
▲ S&P 500 선물 가격 추이(출처: Barchart)

미국 경제지표 — 공장 주문의 엇갈린 신호

미국 6월 공장 주문은 전월 대비 4.8% 감소해 5년 만에 최대폭 하락세를 기록했으나, 운송 부문을 제외한 주문은 0.4% 증가하며 7개월 내 최대 상승폭을 보였다. 이는 미국 실물경제가 둔화·회복 양면의 혼재된 신호를 동시에 내포하고 있음을 뜻한다.

관세(Tariff) 변수 — 트럼프 전 대통령의 추가 인상 방침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러시아산 원유를 수입한다는 이유로 인도산 상품에 대한 관세를 현행 25%에서 ‘대폭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1일에는 캐나다 일부 제품 관세를 25%에서 35%로 상향 조정하고, 8월 7일 0시 이후경상수지 흑자국 대상 15% 이상, 전 세계 최소 10%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일련의 조치가 모두 시행될 경우 미국 평균 관세율이 13.3%에서 15.2%로 뛰어 2024년(2.3%) 대비 6배 이상 높아질 것으로 추산했다.

주요 경제 일정

이번 주 시장은 실적 시즌과 교역·관세 관련 헤드라인에 주목하고 있다. 5일(화) 발표 예정인 6월 무역수지는 적자 규모가 615억 달러로 전월(715억 달러)보다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날 7월 ISM 서비스업 PMI는 51.5로 소폭 개선(전월 50.8) 전망이다. 7일(목)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2만1천 건(+3천 건)으로 예측되며, 2분기 비농업 생산성은 2.0%, 단위노동비용은 1.5% 상승이 예상된다.

실적 — ‘깜짝 어닝’이 지수 방어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에 따르면 2분기 현재 S&P 500 기업의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할 전망이다. 어닝 시즌 개막 전 2.8% 성장을 예상했던 것과 비교하면 큰 폭으로 상향 조정된 수치다. 보고를 마친 66% 기업 중 약 82%가 시장 기대를 웃도는 실적을 내놨다.

해외 증시 및 채권시장 동향

유럽 STOXX 50 지수는 1.49% 급등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66% 반등했다. 반면 일본 닛케이225는 1.25% 하락해 1주일 반 만의 저점을 기록했다.

금리 측면에서는 9월물 미 10년물 국채선물(ZN)이 5.5틱 상승, 10년물 금리는 1개월 만에 최저치인 4.192%로 떨어졌다. 이는 유가 하락(서부텍사스산 중질유 △1%)으로 기대 인플레이션이 낮아진 데다, 유럽 국채 강세가 동반된 결과다. 독일 10년물 분트 금리는 2.624%로 5.4bp, 영국 10년물 길트 금리는 4.509%로 1.9bp 하락했다.

주요 종목 동향

매그니피선트 세븐—Nvidia·Alphabet·Meta는 3% 이상, Microsoft·Tesla는 2% 이상, Apple은 0.48% 상승 마감했다.

반도체 업종에서는 Broadcom·KLA(+3%↑), AMD·마이크론·마벨·램리서치(+2%↑), ARM·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SML(+1%↑) 등이 강세를 보였다.

거래·M&A 부문에선 HNI가 Steelcase를 주당 18.30달러, 총 22억 달러에 인수하면서 Steelcase 주가가 60% 폭등했다.

어닝 서프라이즈 사례로는 Idexx Labs(+27%), Wayfair(+11%), Spotify(+5%), Martin Marietta(+3%), Tyson Foods(+2%)가 꼽힌다. 반면 ON Semi(−16%), Bruker(−8%), LyondellBasell(−4%), 버크셔 해서웨이(−3%), Waters(−1%) 등은 실적 부진 또는 가이던스 하향으로 하락 마감했다.

금융 용어 풀이

매그니피선트 세븐: 시가총액 상위 7개 미국 빅테크(애플·마이크로소프트·알파벳·아마존·메타·엔비디아·테슬라)를 일컫는 애널리스트·투자자들의 별칭이다.
연방기금 선물: 시장 참가자들이 연준 정책금리를 예상해 거래하는 파생상품으로, 금리 선호도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지표 역할을 한다.


본 기사는 공공의 투자 판단을 돕기 위한 정보 제공 목적이며, 개별 종목에 대한 매수·매도 의견을 담고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