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금리 인하 기대 속 미 증시 사상 최고치 경신

뉴욕증시 주요 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
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18% 상승,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40% 상승, 나스닥 100 지수+0.37% 상승하며 일제히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같은 시각 12월물 E-미니 S&P 선물은 +0.18%, 12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40% 상승했다.

S&P 500 차트
나스닥 100 차트

2025년 10월 29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글로벌 교역 긴장 완화와 연방준비제도(연준·Fed)완화적 통화정책 기대가 증시 랠리를 이끌고 있다.

주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펜타닐 위기 해결을 이유로 중국산 제품에 부과 중인 20% 관세를 최저 10%까지 인하할 수 있다고 밝히면서 무역 갈등 완화 기대가 커졌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전날 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이 펜타닐 전구체 화학물질 수출을 단속하기 위해 직접 협력에 나설 것”이라는 전제하에 관세 인하를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또한 미국-한국 간 새 무역협정이 이날 최종 타결됐다. 이에 따라 한국은 미 조선업 투자에 1,500억 달러를 투입하고, 미국은 한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 상한을 15%로 제한하기로 했다.


반도체주 강세·엔비디아 4% 급등

엔비디아 주가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블랙웰(BW) AI 프로세서’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고 시사한 뒤 +4% 급등했다.

중국 외교부 궈자쿤(郭家坤) 대변인은 “미·중 관계에 새로운 동력을 주입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엔비디아를 필두로 마이크론·KLA·브로드컴·AMD 등 주요 반도체주가 2~4%대 동반 상승하며 시장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주목

연준, 오늘 25bp 인하 유력

시장 컨센서스에 따르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이날 회의에서 기준금리 목표범위를 4.00%-4.25%에서 3.75%-4.00%로 25bp 인하하고, 양적긴축(QT) 중단까지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만약 인하가 단행되면 12월 9~10일 FOMC에서 추가 25bp 인하 가능성이 88%로 가격에 반영돼 있다. 파생시장 기준 2026년 말까지 총 115bp 인하(현행 실효금리 4.10%→2.95%)가 예상된다.

이번 회의에는 연준 위원들의 향후 금리 전망을 담은 점도표(Dot Plot)가 포함된 ‘경제전망 요약(SEP)’이 공개되지 않는다. 시장은 제롬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 발언에 귀를 기울여야 하지만, 다른 위원들의 최신 전망은 확인할 수 없다.

양적긴축(QT) 중단도 이날 공식화될 가능성이 높다. 보유자산 축소가 멈추면 유동성 유출이 중단돼 주식·채권시장 모두에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주택·소비지표 혼조

미 모기지은행협회(MBA)에 따르면 10월 24일로 끝난 주간 주택담보대출 신청은 전주 대비 7.1% 증가했다. 구입·재융자지수 모두 상승했으며, 30년 고정금리 평균은 6.37%에서 6.30%로 13개월 최저치를 기록했다.

반면 9월 미국 잠정주택매매는 전월 대비 변동이 없었으며(+0.0%), 시장 예상치 +1.2%를 하회했다.

미·중 말레이시아 회담 성과

앞서 주말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미·중 협상단 회의에서 잠정 무역합의가 도출됐다는 소식도 투자심리에 긍정적이다. 10월 31일 한국 부산 APEC 정상회의 계기 트럼프·시진핑 정상회담에서 공식 발표가 예상된다. 자넷 베센트 재무장관은 “11월 1일 발효 예정이던 100% 관세가 사실상 철회됐다”고 밝혔다. 대신 중국은 향후 1년간 희토류 수출 제한을 자제하고, 미국산 대두 ‘대규모’ 구매 및 해운요율 조정, 펜타닐 단속 강화 등에 합의했다. 인기 플랫폼 TikTok 접근권 유지도 논의 중이다.

대형 기술주 실적 주간

이번 주는 S&P500 기업 173곳이 실적을 발표한다. ‘매그니피선트 세븐’ 가운데 알파벳·메타·마이크로소프트가 이날, 애플·아마존이 30일 실적을 공개한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지금까지 실적을 발표한 S&P500 기업의 84%가 시장 전망을 상회해 2021년 이후 최고 비중이지만, 3분기 순이익 증가율은 연 7.2%로 2년 만의 최저치가 예상된다. 매출 증가율도 5.9%로 전분기(6.4%) 대비 둔화될 전망이다.

미-캐나다 무역 갈등·법정 공방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온타리오 주정부의 반(反)관세 광고를 문제 삼아 캐나다산 제품에 10% 신규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했다. 한편 ‘상호관세법(Reciprocal Tariffs)’ 위헌 여부를 다룰 미 연방대법원 공개 변론이 11월 5일 예정돼 있다. 하급심은 이미 법률이 위헌이라고 판결했으며, 대법원이 이를 확정하면 정부는 징수된 관세를 환급해야 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권한은 제한될 수 있다.

미연방 정부 셧다운 5주째

정부 기능 중단으로 각종 경제지표 발표가 지연되고 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연방 공무원 64만 명이 무급휴직에 들어가 실업률이 4.7%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해외 증시 동반 강세

유럽 Euro Stoxx 50 지수는 +0.16% 올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0년 만의 최고치(+0.70%)를 기록했다. 일본 니케이225 지수도 +2.17% 급등해 신기록을 세웠다.

미국 10년물 T노트

채권시장 동향

미 12월물 10년물 국채선물은 3틱 하락했으며, 10년물 수익률은 1.7bp 오른 3.993%를 기록했다. 안전자산 선호가 줄어든 결과다. 다만 정부 셧다운 장기화와 연준의 완화 기조 기대가 낙폭을 제한했다. 독일 10년물 분트채 수익률은 ‑0.3bp(2.620%), 영국 10년물 길트채 수익률은 ‑0.4bp(4.396%) 각각 하락했다.

주요 종목 흐름

상승 종목
엔비디아(NVDA)+4% · 마이크론(MU)+4% · KLA(KLAC)+3% · 브로드컴(AVGO)·램리서치(LRCX)·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AMAT)·AMD·마벨(MRVL)+2% 이상 동반 상승하였다.
블룸에너지(BE)는 3분기 조정 EPS 0.15달러로 컨센서스(0.079달러)를 웃돌며 21% 급등했다. 시게이트(STX)+16%, 테라다인(TER)+15%, 캐터필러(CAT)+12% 등도 예상을 크게 상회한 실적 덕분에 급등했다.

하락 종목
파이서브(FI)-41%는 연간 EPS 가이던스를 대폭 하향 조정했고, 아반토르(AVTR)-18%, 가민(GRMN)-12%, 베리스크(VRSK)-10% 등이 부진한 실적 또는 전망으로 급락했다. 보잉(BA)도 3분기 주당순손실이 ‑7.47달러로 컨센서스(-4.44달러)보다 컸던 탓에 2%대 하락을 기록했다.

오늘 실적 발표 예정 기업(일부)

CVS헬스, ITT, 펜스케오토모티브, 에쓰에이비, ETSY, 팀켄, 아이오니스파마, 필립스66, 아이덱스, 버추금융, 실건홀딩스, 센틴, OGE에너지, 포티브, 가민, 보잉, 하이워드, 왓스코, 플렉스, 게이츠, GE헬스케어, 아반토르, 올드도미니언, 프로스퍼리티뱅크셰어, ADP, 클라리베이트, 크래프트하인츠, 레오나르도DRS, 베리스크, 오티스, TE커넥티비티, 파이서브, 사이트원, 레이놀즈, 클린하버스, 리틀퓨즈, 애브넷, 나이소스, 제너랙, 엔터지, 코그니전트, 스머핏웨스트록, 유나이티드테라퓨틱스, 버라이즌, 캐터필러, 에버코어, 시보드, 오시코시, 마스코, 커비, 얼라인테크놀로지, 치폴레, EPR프라퍼티스, 메르카도리브레, MGM리조츠, FMC, 하노버인슈어런스, 에베레스트그룹, 엑스트라스페이스, CH로빈슨, 코그넥스, 아메리칸워터웍스, 선커뮤니티, MAA, 이베이, 코카콜라컨솔리데이티드, 타일러테크놀로지스, 데이포스 등 80여 개사가 예정돼 있다.

용어 풀이

양적긴축(QT)은 중앙은행이 보유한 국채나 모기지채권을 만기 도래 시 재투자하지 않거나 매각해 자산 규모를 줄이는 정책으로, 시중 유동성을 흡수해 통화 긴축 효과를 낸다.
상호관세법(Reciprocal Tariffs)은 상대국 관세율 수준에 맞춰 동일하거나 더 높은 세율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한 미국 행정명령으로, 긴급 권한 남용 여부가 법정 쟁점이다.

전문가 시각

편집자 주: 연준이 QT 중단과 동시 인하를 단행하면 유동성 흐름이 빠르게 반전될 수 있다. 이미 주식·채권시장의 밸류에이션이 역사적 고점 근처에 형성돼 있어, 향후 거시 지표 둔화가 실적 추정치 하향으로 이어질 경우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도 유의해야 한다. 특히 대형 기술주 실적이 시장 예상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최근 급등분 조정 압력이 불거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