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건물 리노베이션 비용 급증, 트럼프–파월 갈등의 새 불씨

[워싱턴 D.C.]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역사적 사옥 두 곳에 대한 대규모 개·보수 공사 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와 제롬 파월 연준 의장 간 갈등이 다시 불붙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의 첫 번째 임기 말부터 지속적으로 금리 인하를 압박해 왔으나, 파월 의장은 독립성을 내세우며 이에 응하지 않았고, 이번 공사비 논란이 두 사람의 대립 구도에새로운 정치적 화약을 제공한 형국이다.

2025년 7월 17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연준은 워싱턴 D.C. 내 에클스 빌딩(Eccles Building)1951 콘스티튜션 애비뉴 빌딩을 동시에 리노베이션하고 있으며, 총예산은 24억6,000만 달러로 이전 추정치보다 약 5억8,000만 달러 증가했다. 트럼프 진영은 이를 두고 ‘세금 낭비’라고 비난하고 있으나, 연준은 “에너지 효율 개선과 역사적 가치 보존을 동시에 달성하려면 불가피한 비용”이라고 맞서고 있다.

“공사는 대형 노후 건물을 21세기형 친환경·스마트 오피스로 탈바꿈시키는 복합 프로젝트다.” — 연준 대변인


1. 공사 대상 건물과 역사적 배경

에클스 빌딩은 1935~1937년에 지어져 현재까지 연준 본부로 사용돼 왔으며, 20세기 미국 경제정책의 굵직한 결정들이 내려진 상징적 장소다. 반면 1951 콘스티튜션 애비뉴 빌딩은 1932년 보건복지부 전신(미공중보건국) 청사로 건립돼 2차 세계대전 당시 ‘연합군 합동참모본부(Combined Chiefs of Staff)’ 등이 사용한 바 있다. 2018년 첫 트럼프 행정부는 해당 건물을 연준에 양도하며 “유휴 자산의 생산적 활용과 임대료 절감을 통한 국민 부담 경감”을 공언했으나, 현재는 되레 ‘예산 폭탄’ 논란으로 돌아왔다.

2. 예산 초과 규모와 계산 방법

백악관 예산관리국(OMB) 러셀 보우트 국장은 “$7억 달러 이상 초과됐다”고 주장하지만, 연준 공식 자료에는 2024년 18억8,000만 달러에서 2025년 24억6,000만 달러로 5억8,000만 달러 증액된 것으로 나온다. 한편, 연준은 세 번째 건물 리노베이션 계획을 전면 취소해 5억1,000만 달러를 절감했다고 강조한다.

3. 비용 급증 원인

① 자재·인건비 상승② 역사 보존을 위한 설계 변경, ③ 납·석면 등 유해 물질 제거와 지반 오염이 주된 배경으로 꼽힌다. 연준 측은 “건물 내부 구조가 20세기 초·중반 표준이라 전기·배관·방수 시스템 전면 교체가 필수적이었다”고 설명한다.

4. 사치성 논란의 진실

트럼프 측은 ‘지휘부 전용 엘리베이터·VIP 식당·옥상 정원’사치 설계를 문제 삼고 있으나, 연준은 계획에 포함된 사실이 없다고 일축한다. 다만 지하 주차장을 덮는 잔디 광장(roof garden)이 설계 문서에 ‘garden terrace’로 표기돼 오해를 불렀다는 설명이다. 또 친환경 ‘식생 지붕(vegetated roof)’이 포함돼 빗물 배수와 단열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고 강조한다.

5. 감독·감사 체계

연준은 법률상 자체 자본 지출 결정 권한을 보유한다. 다만 연준 감사실(OIG)이 매월 공사 보고서를 받아 2021년 1차 점검을 실시했고, 최근 2차 특별 감사에 착수했다. 아울러 ‘미국 미술위원회(Fine Arts Commission)’와 ‘국립수도계획위원회(National Capital Planning Commission)’ 등 외부 기관과도 설계·디자인을 협의한다고 밝혔다.


주요 용어 해설

연준 독립성(Fed Independence)은 정치권으로부터 통화정책 결정을 보호하는 개념이다. 2024년 연방대법원은 “금리 결정 등 정책 판단을 이유로 연준 이사를 해임할 수 없다”는 기존 해석을 재확인했다.

내셔널 레지스터 역사기록부(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는 미국 내 역사·건축·문화적 가치를 지닌 시설을 등재·보호하는 제도다. 등재될 경우 외관 변경 시 추가 규제와 ‘원형 보존’ 요건이 엄격해져 리노베이션 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전문가 시각 및 전망

시장 참여자들은 이번 사안이 연준의 제도적 독립성을 다시 시험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본다. 통상적으로 재정·행정 감시를 명분으로 한 정치적 압박이 통화정책에 연결될 경우, 달러화 신뢰글로벌 금융시스템에까지 파장이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트럼프 전 대통령은 ‘파월 의장 해임’ 카드까지 거론하며 파상공세를 펼치고 있지만, 법률상 ‘중대한 직무상 과오(for cause)’ 요건을 충족해야 해 현실성은 낮은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 리스크가 고조되면 국채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연준 내부 의사결정 역시 방어적 성향으로 기울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또한 건설·부동산 업계에서는 ‘80~90년대 준공 공공건물 리노베이션’ 수요가 본격화될 경우, 친환경·디지털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인 만큼 자재·설비 기업의 수혜가 예상된다는 분석이 제시된다.


© 2025 로이터·Ann Saphir 작성 / 번역·가공: AI 기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