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고점에 선 주가 밸류에이션, 매트릭스 자산운용 CIO의 ‘양손 전략’

미국 증시가 역사적 고평가 구간에 진입하면서 투자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매트릭스 애셋 어드바이저스(Matrix Asset Advisors)의 설립자이자 최고투자책임자(CIO)인 데이비드 카츠(David Katz)는 “지금은 시장 전체에 무턱대고 올라타기보다는, 성장주와 가치주를 동시에 챙겨야 할 때”라고 조언한다.

2025년 8월 12일, CNBC Pro 보도에 따르면 카츠는 “현재 주가 수준이 비싸다는 점을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시장 외곽의 저평가 영역도 분명 존재한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 막 시장에 진입하려는 투자자라면 전 자산을 한꺼번에 투입하기보다는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밸류에이션 지표를 보면 그의 경계심이 드러난다. S&P 500 지수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약 22배로, 지난 20년 평균치(16배 안팎)를 훌쩍 웃돈다. 특히 인공지능(AI) 수혜를 받는 초대형 기술주(메가캡)가 지수를 끌어올리며 지수 상승을 주도했다.

그 결과 S&P 500은 배당을 제외하고도 올해 들어 8% 이상 상승했다. 성장률 둔화와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이어지는 ‘스태그플레이션 리스크’ 속에서도 지수가 오르자 일부 투자자들은 과열 여부를 우려하고 있다.


저평가된 ‘세 영역’에 주목

카츠는 “헬스케어, 필수소비재, 그리고 스몰캡(소형주)상대적 저평가 상태”라고 판단한다. 세 업종 모두 2025년 들어 시장수익률을 밑돌았으며, 그는 “향후 순환매가 이뤄지면 해당 업종이 반등할 여지가 크다”고 예상한다.

아울러 그가 선호하는 또 다른 영역은 금융주다. 은행주를 포함한 금융주는 올해 S&P 500 대비 1.3%p 뒤쳐졌지만, “상대적으로 더 달릴 여력이 있다”고 그는 분석했다.


카츠의 실제 포트폴리오

카츠가 운용하는 매트릭스 어드바이저스 디비던드 펀드(MADFX)의 시가총액 비중 상위 3개 종목은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텍사스 인스트루먼츠(Texas Instruments), JP모건체이스(JPMorgan Chase)다. 세 종목이 펀드 전체의 약 20%를 차지한다.

이 펀드는 연초 대비 10.4% 수익률을 기록하며 동종 1,100개 뮤추얼펀드 중 상위 9퍼센타일에 안착했다. 네 번째 비중인 퀄컴(Qualcomm)은 올해 4% 가까이 하락했지만, 카츠는 “과도하게 매도됐다”며 저평가 매력을 강조했다.


기술주에 대한 ‘수술적 접근’

그는 AI 열풍에도 불구하고 기술주에 대해 선별 투자를 주문한다. 카츠는 “S&P 500의 높은 PER를 정당화하기 위해 AI 테마에 기댄 논리는 위험하다. 밸류에이션은 결국 현실로 돌아온다”고 경고했다.

“AI와 기술주의 호조가 밸류에이션 중요성을 희석시킨다고 믿는 순간, 시장은 투자자를 곧바로 시험에 들게 한다.” – 데이비드 카츠

그는 성장주 ‘과열’이 잦아들면 가치주 회귀가 나타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기존 기술주 비중을 유지하되, 헬스케어·금융·스몰캡으로 점진적 분산을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용어 해설

선행 PER(Forward P/E)은 기업의 예상 실적 대비 주가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다. 일반적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고평가’, 낮을수록 ‘저평가’로 해석된다. 다만 성장률·금리·경기국면에 따라 적정 범위가 달라진다.


기자 해설 및 전망

필자는 카츠의 ‘양손 전략’이 리스크 분산 측면에서 유효하다고 본다. 미국 장기금리가 다시 상승세를 타면 고PER 기술주가 압박받을 수 있다. 반면 헬스케어·필수소비재는 방어적 성격이 강해 침체 국면에서 상대적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 스몰캡과 금융주는 금리·유동성 환경에 민감하므로, 연준의 정책 기조가 완화될 경우 주도주로 부상할 수 있다.

결국 선별적·점진적 자산 배분이 관건이다. 투자자들은 밸류에이션실적 모멘텀을 동시에 고려해 ‘한쪽으로 쏠리지 않는’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 구축이 요구된다. 데이비드 카츠의 사례는 이러한 현실적 대안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참고 모델로 평가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