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칩에 백도어·킬 스위치 없다” 재확인…미 정부 제안 거부

엔비디아(NVIDIA Corporation)가 자사 그래픽처리장치(GPU)에 숨겨진 백도어나 원격 ‘킬 스위치’를 탑재하지 않았으며, 앞으로도 그럴 계획이 없다고 다시 한 번 못 박았다.

2025년 8월 6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이날 공식 블로그를 통해 “우리 GPU에는 백도어나 킬 스위치가 존재하지도, 존재해서도 안 된다”고 밝혔다. 회사는 동시에 미국 정부가 요구해온 ‘칩 내 원격 제어 기능’ 도입을 단호히 거부한다고 강조했다.

엔비디아는 성명에서 백도어 및 킬 스위치 삽입은 해커와 적대적 행위자에게 주어지는 선물에 불과하며, 전 세계 기술 인프라 신뢰도를 훼손한다고 지적했다.

엔비디아 블로그 인용
“Our GPUs do not and should not have kill switches and backdoors.”


● 미 의회·관료들의 ‘위치 추적‧원격 통제’ 요구
최근 일부 미국 의원과 안보 전문가들은 첨단 AI용 GPU가 제3국, 특히 제재 대상국으로 넘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칩 내부에 위치 확인 장치와 원격 차단 기능을 넣으라고 압박해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를 의무화하는 법안은 발의됐지만 통과되지 않았고, 정식 입법도 이뤄지지 않았다.

올해 초 미·중 무역 갈등이 정점에 달했을 때 워싱턴은 중국으로의 첨단 AI 반도체 수출을 대폭 제한했다. 그 후 엔비디아 H100·A100과 같은 최상위 GPU 공급이 차단됐음에도, 여러 보고서는 중국 개발자들이 우회로를 통해 여전히 엔비디아 칩을 확보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미 정부 관계자들은 제재 실효성을 의심하며 “칩 자체에 제어 장치를 심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놨다.

엔비디아는 이에 대해 “제품 성능과 고객 신뢰를 해칠 뿐”이라며 줄곧 거부 의사를 표명해 왔다. 특히 지난주 중국 규제 당국과의 면담에서 미국 측 요구에 따른 칩 사전 위치 추적 기능이 중국 내 고객 정보와도 충돌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자사 기술 보호 입장을 재차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 H20 재판매로 ‘갈등 완화’ 기대
엔비디아는 최근 중국 시장용으로 조정된 ‘H20’ GPU를 올해 하반기부터 다시 판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미·중 반도체 전쟁이 일부 완화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중국 AI 서버 수요가 여전히 견조해, H20 공급 재개 시 엔비디아의 아시아 매출이 단계적으로 회복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 GPU·백도어·킬 스위치란?
GPU(Graphic Processing Unit)는 대규모 병렬 연산 능력 덕분에 AI 학습·추론 엔진으로 각광받는 칩이다. 백도어(backdoor)는 시스템에 비밀 접속 통로를 심어 원격에서 몰래 접근하도록 하는 프로그램·하드웨어 요소를 뜻한다. 킬 스위치(kill switch)는 해당 장치를 한순간에 작동 불능 상태로 만드는 기능으로, 보안사고 대비용으로 쓰기도 하지만 악용될 경우 전체 시스템 중단이라는 치명적 리스크를 동반한다.


● 전문가 시각
실리콘밸리 보안 컨설턴트 제임스 리(가명)는 “정부가 칩 차단 기능을 직접 요구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라며 “국가 안보 논리는 이해되지만, 하드웨어 백도어는 해커가 끊임없이 노리는 잠재적 취약점이 되는 만큼 양날의 검”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또한 “반도체 가치사슬이 글로벌로 얽힌 상황에서, 특정 국가의 요구로 설계를 바꾸면 국제 표준과도 충돌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반면 워싱턴 싱크탱크 ‘뉴아메리카’의 정책연구원 사라 첸(가명)은 “핵심 기술이 적대국으로 전용되는 것을 방지하려면, 칩 자체에 최소한의 위치 검증 기능 정도는 포함해야 한다”면서 “단, 통제 권한은 제조사가 아닌 국제기구에 두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 향후 관전 포인트
① 바이든 행정부가 반도체 대중(對中) 규제를 어떻게 조정할지
② 미 의회가 칩 백도어·킬 스위치 의무화 법안을 실질적으로 추진할지
③ 엔비디아와 경쟁사(AMD·인텔 등)의 대응 전략 및 중국 매출 추이

※ 본 기사는 원문(Investing.com, 2025-08-06)을 공식 번역·가공한 것으로, 추가 해석·분석은 기자의 취재와 전문가 인터뷰에 기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