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중국 AI 칩 ‘H20’ 재고 부족…생산 재개는 미정

[반도체·AI] 그래픽처리장치(GPU) 설계 기업 엔비디아(NVIDIA Corporation)가 중국 업체들에 차세대 인공지능(AI) 칩 ‘H20’의 공급량이 극히 제한적이라고 통보했다. 회사 측은 당분간 해당 제품의 추가 생산 계획이 없다고 밝혀 중국 빅테크의 AI 개발 로드맵에 변수가 생겼다.

핵심 사실

2025년 7월 21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최근 중국 고객사들에 “H20 재고가 한정돼 있으며, 새로운 라이선스가 발급되더라도 당분간 생산 라인은 가동하지 않을 것”이라고 공지했다. 이는 미국 정부가 수출 허가를 재개할 방침임을 알렸음에도 불구하고 워싱턴이 아직 공식 라이선스를 발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엔비디아는 지난주 “미국 상무부가 곧 H20 판매를 위한 신규 수출 허가를 내줄 것”이라고 사내외에 안내했으나, 현재까지 구체적 승인은 이뤄지지 않았다. 회사 관계자는 “허가 지연으로 인해 이미 확보해 둔 제한적 물량만 출하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우리는 고객사들의 프로젝트 일정을 이해하지만, 규제 환경이 불확실한 상황에서는 대규모 양산을 재개하기 어렵다.” — 엔비디아 내부 문건

엔비디아는 올해 4월까지 바이든 행정부가 설정한 ‘전략적 제어’ 수출 규정에 따라 H20을 중국에 판매해 왔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연초 대중(對中) 수출 통제 강화 조치를 단행하면서 허가 범위가 좁아졌다.


미·중 무역 기류 완화…그러나 긴장 지속

워싱턴과 베이징은 5~6월 연쇄 고위급 회담을 통해 갈등 완화에 합의했다. 중국은 미국에 대한 희토류 수출을 부분 재개했고, 미국은 칩 설계 소프트웨어 수출 규제를 일부 완화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H20 라이선스는 아직 최종 서명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

업계에서는 “H20이 중국 AI 생태계에서 핵심 GPU 역할을 하므로, 공급 차질이 장기화될 경우 알리바바(Alibaba), 텐센트(Tencent), 바이두(Baidu), 딥시크(DeepSeek), 바이트댄스(ByteDance) 등 주요 플랫폼 기업의 대형 모델 훈련 일정이 지연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H20란? H20은 엔비디아가 미국 정부의 고급 GPU 수출 규제에 대응해 설계한 중간 스펙 AI 연산 칩이다. 플래그십 ‘H100’ 대비 대역폭과 FP64 연산 능력을 낮추는 대신, 중국 고객이 요구하는 텐서 연산(Tensor Core) 성능을 최대한 보존했다.

희토류(Rare Earths)란? 디스프로슘·네오디뮴 등 17개 원소를 가리키며, 고성능 영구자석·전기차·레이더·미사일 등에 필수다. 전 세계 공급의 70% 이상을 중국이 담당해 ‘자원 무기화’ 우려가 지속된다.


기자 관전 포인트

첫째, 워싱턴의 최종 승인 시점이 중국 AI 생태계뿐 아니라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심리에 영향을 줄 전망이다. 둘째, 엔비디아가 ‘생산 재개 미정’ 입장을 고수함으로써 대만 TSMC 등 파운드리 캐퍼시티 조정에도 파도가 미칠 수 있다. 셋째, 중국 빅테크는 R&D 로드맵 변경을 피하기 위해 자체 GPU(화웨이 ‘Ascend’, 텐센트 ‘Zixiao’ 등) 양산 속도를 끌어올릴 가능성이 크다.

결국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이 규제·수요·공급 3박자를 뒤흔들며, 2025~2026년 메모리·파운드리 시황에도 파급효과를 낳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