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웨슬리 그레이 ‘정량 모멘텀’ 전략에서 88% 고점수 획득

엔비디아(NVIDIA Corp, 티커: NVDA)컴퓨터 하드웨어 업종 내 대형 성장주로서, 미국 독립 리서치 업체 발리디아(Validea)가 추적하는 22개 ‘구루(guru)’ 투자 전략 가운데 웨슬리 그레이(Wesley Gray)‘정량 모멘텀(Quantitative Momentum)’ 모델에서 총점 88%를 기록했다.

2025년 8월 20일, 나스닥닷컴(Nasdaq.com) 보도에 따르면 이 점수는 해당 모델이 제시한 매수 관심 기준선 80%를 상회하며, ‘강한 관심’으로 분류되는 90% 턱밑까지 육박한다. 발리디아는 “중·단기 상대 성과가 뚜렷하고 일관성 있는 종목을 선호하는 전략 특성상, NVDA는 모멘텀 요건을 대부분 만족한다”고 분석했다.

모델 세부 평가1에 따르면 NVDA는 투자 가능 종목군(DEFINE THE UNIVERSE) 테스트, 12개월 누적 수익률에서 최근 1개월을 제외한 ‘12-1 모멘텀’ 테스트, 그리고 수익률 일관성(RETURN CONSISTENCY) 테스트를 모두 통과했다. 계절성(SEASONALITY) 항목은 ‘중립(Neutral)’ 판정을 받았지만, 전체 점수에 큰 악영향을 주지 않았다.

88%는 당사 모델이 제시하는 ‘매우 양호(Very Good)’ 구간에 해당한다” – 발리디아 구루 애널리시스 보고서 중


‘정량 모멘텀’이란 무엇인가?

모멘텀(momentum) 투자란 최근 일정 기간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종목이 향후에도 상승 추세를 이어갈 가능성에 주목하는 전략이다. 웨슬리 그레이 박사는 이 개념을 데이터 기반·정량적 지표로 체계화해 변동성 조정, 수익률 일관성, 계절성 등을 함께 평가하도록 설계했다. 투자자는 불필요한 감정 개입을 줄이고 행동 편향(behavioral bias)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량 모멘텀’이 각광받고 있다.

구체적으로, NVDA가 통과한 ‘12-1 모멘텀’ 지표는 직전 12개월 누적 수익률에서 가장 최근 1개월을 제외해 단기 급등·급락 노이즈를 걸러낸 값이다. 또한 ‘수익률 일관성’은 월별·주별 상승 빈도와 분산을 동시에 고려해, ‘단순 고수익’보다 ‘꾸준한 수익’을 높이 평가한다. NVDA가 해당 항목 모두에서 PASS를 받은 것은 최근 1년간 AI 반도체 수요 급증에 힘입어 주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우상향을 유지했음을 시사한다.


웨슬리 그레이, 그리고 알파 아키텍트

모델 창시자인 웨슬리 그레이는 해병대(Marine Corps) 복무 경험을 지닌 시카고대학교(University of Chicago) 금융학 박사 출신으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유진 파마(Eugene Fama) 교수에게 사사했다. 그는 자산운용사 알파 아키텍트(Alpha Architect)를 설립해 모멘텀·퀄리티·가치 등 팩터 기반 ETF를 운용하고 있으며, 『Quantitative Momentum』, 『Quantitative Value』 등 전문 서적을 공동 집필했다.

그레이-보겔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해당 전략은 주가·재무 데이터 자동화를 통해 ‘순수 팩터 성과’에 집중한다. 발리디아는 이 전략을 모델 포트폴리오화해 매주 리밸런싱 결과를 공개하며, NVDA는 최근 52주 중 다수 기간 상위권을 지켰다.


발리디아와 ‘구루’ 전략 추적

발리디아(Validea)는 워런 버핏, 벤저민 그레이엄, 피터 린치, 마틴 츠바이크 등 장기 초과수익을 기록한 투자 거장들의 공식을 데이터화해 모델 포트폴리오로 운용하는 리서치 서비스다. NVDA의 이번 점수는 22개 전략 가운데 최고 수준으로, 기술 대형주의 모멘텀 우위를 거듭 확인시켜 주었다.

특히 발리디아가 제공하는 ‘Top Technology Stocks’, ‘High Momentum Factor Stocks’ 리스트에서도 NVDA는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이는 투자자 관심도를 반영하는 동시에, 단기간 과열 지표로 해석될 가능성도 있다.


해석 및 전망 – 기자 시각

88%라는 평가는 정량적 지표만으로도 NVDA의 중·장기 모멘텀이 탄탄함을 보여준다. 다만 ‘계절성(Seasonality)’ 항목이 중립으로 남았다는 점은 분기 실적 발표 전후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시사하므로, 투자자는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모멘텀 전략 특성상 상승 랠리 후 낙폭 확대 위험이 존재하므로, 분산 투자·포트폴리오 리밸런싱 전략과 병행할 것을 권고한다.

엔비디아는 AI·데이터센터·게이밍 GPU 수요 확대에 힘입어 ‘팹리스(fabless) 반도체’ 강자의 지위를 공고히 했지만, 고평가 논란도 꾸준히 제기된다. 모멘텀 투자자는 가격 움직임에 집중하지만, 가치·퀄리티 팩터와의 균형 감각을 잃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책 조항2: “본 문서에 포함된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 개인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반영하지 않는다.”

① 발리디아 ‘Guru Analysis’ 보고서, ② 나스닥닷컴 기사(2025년 8월 20일)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