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반도체 갈등 속 엔비디아(Nvidia)·AMD의 전략적 선택
엔비디아 코퍼레이션(Nvidia Corp., 티커: NVDA)과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스(Advanced Micro Devices Inc., 티커: AMD)가 중국 시장에서 발생하는 칩 판매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납부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조치는 미·중 간 기술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두 기업이 수출 규제 환경을 돌파하기 위해 선택한 고육지책으로 평가된다.
2025년 8월 11일, 나스닥닷컴(Nasdaq.com)·RTT뉴스(RTTNews)의 보도에 따르면, 양사는 미국 상무부(Commerce Department)로부터 수출 라이선스(export license)를 발급받는 조건으로 해당 매출 분담에 동의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15% 룰’이 앞으로도 다른 미국 반도체 기업에 선례가 될 수 있다”고 입 모아 전했다.
합의의 핵심은 엔비디아의 H20 인공지능(AI) 가속기 칩과 AMD의 MI308 데이터센터 칩에서 발생하는 중국 매출이다. 두 제품 모두 고성능 컴퓨팅(HPC)·AI 학습용으로 설계됐으며, 중국 빅테크·데이터센터가 주요 고객층이다.
“매출 15%를 로열티처럼 미국 정부에 납부하면서도, 중국 내 고객 기반을 잃지 않는 방안”
— 익명을 요구한 업계 소식통
수출 라이선스란 무엇인가?
수출 라이선스는 미국 정부가 국가안보·통상정책 차원에서 특정 전략물자를 해외로 반출할 때 부여하는 일종의 ‘허가증’이다. 반도체 칩처럼 군·민 겸용(dual-use) 가능성이 높은 제품은 상무부 산업안보국(Bureau of Industry and Security·BIS)의 엄격한 심사 대상이다. 라이선스 없이 수출할 경우, 막대한 벌금·형사 처벌·수출 금지 등 제재가 뒤따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도체 기업들은 “중국 고객·미국 규제”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라이선스 취득이 필수적이다. 엔비디아·AMD는 ‘15% 매출 공유’라는 조건을 수용함으로써, 라이선스 획득과 중국 매출 유지라는 일타쌍피 효과를 노렸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100% 관세 경고
이번 합의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공화당)의 발언 이후 전격 추진됐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최근 연설에서 “국내 제조에 투자하지 않는 기업이 반도체·칩을 해외에서 들여올 경우,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해당 발언은 공화당 대선 경선 레토릭으로 평가되지만, 현실화될 경우 글로벌 공급망에 상당한 충격파를 던질 수 있다.
이에 기술 업계는 관세 폭탄을 피하기 위해 다양한 ‘컴플라이언스 시나리오’를 모색해 왔다. 이번 15% 매출 납부 방안은 그중에서도 가장 현실적이고,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하다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이다.
H20·MI308 칩이 갖는 의미
Nvidia H20는 2024년 말 출시된 H100 시리즈의 파생 모델로, 중국 수출 규제(rules #144, #170)에 맞춰 메모리 대역폭과 인터커넥트 속도를 제한한 버전이다. 그러나 AI 추론·훈련 성능은 여전히 업계 상위권이다.
AMD MI308은 ‘Instinct’ 브랜드 최신 5nm GPU로, Infinity Fabric 아키텍처를 적용해 고효율·고집적을 구현했다. 데이터센터·슈퍼컴퓨터용으로 설계됐으며, 중국 클라우드 기업의 관심이 높다.
양사는 새 모델 출시에 맞춰 중국 고객사에 견적을 제시했으나, 미국 정부 제재로 출하 일정이 지연되기도 했다. 15% 매출 공유 합의는 그 ‘불확실성 리스크’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업계·시장에 미칠 파장
이번 조치는 미국 반도체사의 해외 매출 지키기 모델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크다. 동시에, 매출 일부를 세금 형태로 납부함에 따라 순이익 감소는 불가피하다. 투자은행(IB) 애널리스트들은 “엔비디아·AMD의 장기적인 ROE(자기자본이익률)가 0.5~1.2%p 하락할 수 있다”고 추산한다.
반면, 중국 당국은 아직 공식 반응을 내놓지 않았다. 다만, 현지 빅테크 기업이 AI 칩 공급망 안정화를 바라는 만큼, 라이선스 승인 이후 양사 제품 수입은 재개될 전망이다.
시장 참여자들은 이번 합의가 “통제와 공존”이라는 새로운 무역 패러다임을 상징한다고 본다. 특히, 미국 정부가 수출을 무조건 봉쇄하기보다 ‘매출 분담·통제된 접근’을 택함으로써, 글로벌 기술 가치사슬의 탈동조화(decoupling)가 한층 복잡해졌다는 분석이다.
향후 관전 포인트
첫째, 라이선스 발급 조건이 다른 미국 반도체 기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지 여부다. 둘째, 15% 매출 납부가 관세·규제보다 비용 효율적인 선택인지 기업별 손익분석이 요구된다. 셋째, 트럼프 전 대통령의 100% 관세 발언이 실제 정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다.
전문가들은 “단기간에는 엔비디아·AMD의 중국 사업이 재개돼 주가를 지지하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규제 리스크 프리미엄이 존재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한편, 이 기사의 마지막 문단에는 독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 설명을 덧붙인다. ‘듀얼 유스(dual-use)’란 군사·민간 양쪽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술 또는 제품을 의미한다. ‘컴플라이언스(compliance)’는 기업이 법·규제를 준수하기 위한 내부통제 시스템을 일컫는다. ‘디커플링(decoupling)’은 국가 간 기술·경제협력 관계를 끊어내는 현상을 가리킨다.
© 2025 Nasdaq,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