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Nvidia)와 AMD가 중국에서 발생하는 반도체 매출 가운데 15%를 미국 정부에 납부하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2025년 8월 10일, 인베스팅닷컴이 파이낸셜타임스(FT) 보도를 인용해 전한 바에 따르면, 두 회사는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중국 수출용 수출 허가(export license)를 받기 위해 이 같은 조건을 수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엔비디아와 AMD는 중국 고객에게 판매한 첨단 반도체에서 발생하는 매출액의 15%를 일종의 세금·사용료 형식으로 미 정부에 전달하게 된다. 이는 양사가 중국 내 반도체 수요를 유지하는 동시에, 미국 정부의 수출 통제 규정을 준수하기 위한 절충안으로 풀이된다.
FT “두 회사는 해당 합의로 인해 중국 시장 접근권을 되찾으면서도, 미국 정부가 요구하는 안보·상업적 이해관계를 동시에 충족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로이터통신은 “현재까지 해당 보도를 독자적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고 전해 사실 확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수출 허가(export license)란 무엇인가?
수출 허가는 지정된 국가나 기업으로 자국 기술·부품이 반출될 때, 정부가 이를 사전에 심사·승인하는 제도다. 미국의 경우,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이 핵심 기술의 해외 이전을 관리하며, 국가안보·외교 정책·경제적 이익이 충돌할 우려가 있는 경우 수출 제한을 가한다.
15% 납부 방식의 의미
엔비디아·AMD가 선택한 매출 공유(revenue-sharing) 방식은 전통적인 관세·세금과 달리, 특정 국가에서 발생한 매출액을 기준으로 정부가 직접 수익 일부를 가져가는 구조다. 이는 미국 정부가 기술 통제와 경제적 보상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배경 및 파급 효과
최근 몇 년간 미국과 중국은 첨단 반도체 공급망을 둘러싸고 무역·기술 갈등을 이어 왔다. 특히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자율주행 등 고사양 연산이 필요한 시장에서 엔비디아의 GPU와 AMD의 가속기 칩은 필수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이번 합의는 두 기업이 중국 내 고객을 유지하며 매출 공백을 최소화하려는 전략적 선택으로 해석된다.
동시에 미 정부는 안보 우려를 고려해 중국에서 발생하는 수익 상당 부분을 직접 통제함으로써, 자국 내 기술 및 전략적 우위를 유지하려는 의도를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15%라는 숫자가 향후 다른 기업에도 선례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글로벌 반도체 밸류체인이 새로운 규제 모델을 맞이할 수 있다”고 말했다.
남은 과제
일각에선 매출 배분 방식이 실제로 어떻게 집행·감독될지, 세부 계산 기준과 보고 방식이 불명확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한 중국 당국이 해당 구조를 수용할지 여부도 변수로 거론된다.
로이터가 밝힌 대로, 현재까지 공식 서류나 정식 발표가 없다는 점에서, 해당 정보는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 그러나 FT 보도가 사실로 확인될 경우, 미·중 기술경쟁의 새로운 장이 열릴 전망이다.
기사 작성 시점 기준으로 엔비디아·AMD 측과 미 상무부는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