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캐나다, 객실 승무원 파업 명령 불이행…정부·노조 극한 대치 지속

[리드] 캐나다 최대 항공사인 에어캐나다의 여객기 수백 대가 19일(현지시간) 아침까지 전면 운항 중단 상태에 머물렀다. 전국 1만 명의 객실 승무원이 속한 노조(CUPE·캐나다공공노조)가 정부가 요청한 복귀 명령을 거부하고, 회사 측에 “협상장으로 돌아오라”고 요구하면서다.

2025년 8월 18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에어캐나다는 평소 하루 13만 명을 수송하며 스타얼라이언스 소속 항공사 중 핵심 허브 역할을 한다. 그러나 노동관계위원회(CIRB)가 노조에 업무 복귀 및 강제 중재(binging arbitration) 개시를 명령했음에도 노조가 이를 따르지 않으면서, 전날 밤부터 예정했던 단계적 운항 재개 계획은 다시 연기됐다.

노조 측은 “중재에 들어가면 사측에 대한 압박 수단이 사라진다”며 협상을 통한 ‘상호 수용 가능한 합의’를 고집했다. 동시에 “정부의 파업중단 명령은 위헌”이라며 강경한 입장을 재확인했다. 에어캐나다는 노조가 “노동위원회 명령을 불법적으로 거부했다”고 비판하며, 운항 재개 시점을 19일 저녁으로 또다시 미뤘다.


■ 파업 쟁점: ‘지상 근무 시간’ 미임금 구조

이번 파업의 핵심은 임금 체계다. 대부분의 글로벌 항공사와 마찬가지로 에어캐나다도 ‘기체 이동 시간(door close to door open)’에만 시급을 지급해 왔다. 승객 탑승 안내, 기내 청소 및 좌석 점검 등 지상 근무 동안에는 임금이 발생하지 않는다. 캐나다·미국 승무원 노조는 최근 교섭에서 이러한 관행을 폐지하고, ‘전체 근무 시간’에 대한 보상을 요구해 왔다.

실제 미국 아메리칸항공알래스카항공은 올해 체결한 신(新) 단체협약에서 ‘승객 탑승 개시 시점’부터 임금을 지급하도록 명문화했다. 유나이티드항공 승무원도 동일 조항 신설을 요구하며 지난달 잠정 합의안을 부결시킨 바 있다. 업계에선 “전 세계 항공사 임금 구조의 전환점”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 정부의 선택지는?

캐나다 정부는 전날 마크 카니 총리가 이끄는 자유당(Liberal) 내각 명의로 “국가 경제에 중대 피해가 우려된다”며, 노사 모두에게 구속력이 있는 중재를 CIRB에 요청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캐나다 대법원이 “파업권은 헌법이 보장한 기본권”이라는 판례를 다수 축적한 만큼, 정부가 물리적 강제력 행사에 신중할 것으로 전망한다.

“캐나다는 공공부문 종사자라도 *파업권 제한 시 높은 헌법적 문턱

*출처: 콘월대 ILR스쿨, 디온 폴러 교수 인터뷰

폴러 교수는 “정부가 법원 명령집행을 요청할 수 있지만, 신속 심리(expedited hearing)가 필요해 절차적 시간이 걸릴 것”이라 말했다. 또 의회(상·하원)가 9월 15일까지 휴회인 상황에서 ‘특별 입법’을 통한 파업 종료도 쉽지 않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Section 107이란?

노조가 “전례 없는 거부”라고 주장한 Section 107캐나다 노동관계법 조항으로, “국가 안녕·안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노동부 장관이 노사분쟁을 중재에 회부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해당 조항 발동 후 노조가 명령을 불이행한 사례는 극히 드물다.


■ 현장 반응: ‘승객 불편 속 노조 지지 확산’

주말 내내 토론토 피어슨 국제공항 출발·도착 노선은 대거 취소되며 승객이 장시간 대기했다. 이탈리아 국적 여행객 프란체스카 톤디니(50) 씨는 “언제 귀국할지 몰라 답답하지만, 승무원이 옳다”며 미소 지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SNS에서도 ‘#PayForBoarding’ 해시태그가 캐나다 트렌드 상위권을 유지하며 노조 측 손을 들어주는 분위기다.


■ 기자 해설: 항공산업 임금 패러다임 전환의 신호탄

전문가 시각

전 세계 항공사들은 이미 팬데믹 이후 인력 유출·수요 회복 불균형을 겪으며 노동 비용 상승 압력에 직면했다. 다만 항공산업 특성상 원가의 20~30%가량이 인건비인 만큼, 전면적인 ‘지상 근무 임금 지급’ 제도화는 요금 인상·항공권 공급 축소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에어캐나다는 2024 회계연도 2분기까지 수송 실적이 코로나 이전 90%대를 회복했지만, 인건비는 동기간 14% 증가했다. 본 기자가 살펴본 최근 투자자 프레젠테이션에서도 회사는 “인력 충원 및 임금 인상 압력”을 주요 리스크로 적시했다. 따라서 이번 교섭 결과는 향후 글로벌 항공사 단체협약 협상에 ‘벤치마크’가 될 공산이 크다.


■ 향후 일정 및 전망

전문가들은 노사가 이번 주 중 물밑 접촉을 재개할 가능성을 60~70%로 본다. 만약 교착이 길어지면 정부·법원이 과태료·형사처벌 카드를 꺼낼 수 있지만, 노조가 이를 ‘탄압 프레임’으로 역이용할 가능성도 있다. 결국 지상 근무 수당을 일부 인정하되, 승객 탑승률(Load Factor)에 연동하는 절충안이 유력하다는 관측이 업계에서 나온다.

결론적으로, 이번 사태는 단순한 노사 갈등을 넘어 글로벌 항공운송업계 임금·근로조건 변화의 분수령으로 기록될 가능성이 높다. 향후 며칠간 협상 진척 상황은 캐나다 교통·관광 산업뿐 아니라 국제 항공노선 네트워크에도 직결되는 만큼, 투자자·승객·정부 모두의 주의 깊은 모니터링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