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식스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 글로벌스타 지분 신규 취득
미국 매사추세츠주에 기반을 둔 에식스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Essex Investment Management)가 글로벌스타(Globalstar, NASDAQ: GSAT) 주식 194,343주를 3분기에 매입해 신규 포지션을 구축했다. 분기 말 종가 기준으로 해당 보유분 가치는 약 710만달러로 평가됐으며, 이는 에식스의 미국 상장주식 공시자산 중 약 1.1%를 차지한다다.
2025년 11월 9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된 보고서에서 에식스는 글로벌스타 지분을 3분기 중 신규로 편입했다고 밝혔다. 해당 공시에 따르면 에식스의 미국 공시 대상 주식 보유자산(13F 보고 대상)은 총 6억5,340만달러이며, 글로벌스타는 그중 1.1% 비중을 차지한다다.
무엇이 있었나라는 관점에서 보면, 에식스의 이번 포지션 신설은 위성통신 및 연결성 분야에 대한 기관 투자의 관심 확대 흐름과 맞물려 있다. 특히 에식스는 기술 가속의 변곡점에 서 있는 스몰·마이크로캡 성장주를 선호하는 전략을 구사해왔다는 점에서, 글로벌스타 편입은 전략적 일관성을 보이는 조치로 해석된다다.
에식스의 상위 보유 종목 변화
공시 이후 에식스의 상위 5개 보유 종목은 다음과 같다:
– Kratos Defense & Security Solutions(NASDAQ: KTOS): 2,230만달러 (AUM의 3.4%)
– Sterling Infrastructure(NASDAQ: STRL): 1,550만달러 (2.4%)
– American Superconductor(NASDAQ: AMSC): 1,460만달러 (2.2%)
– Tower Semiconductor(NASDAQ: TSEM): 1,420만달러 (2.2%)
– Insmed(NASDAQ: INSM): 1,250만달러 (1.9%)
글로벌스타 주가 동향 측면에서, 금요일 장마감 기준 글로벌스타 주가는 50.48달러였으며, 지난 1년간 82% 상승해 같은 기간 S&P 500의 12% 상승률을 크게 상회했다다.
기업 개요와 핵심 지표
글로벌스타는 원격 및 인프라 미보급 지역에 연결성을 제공하는 모바일 위성통신(MSS) 선도 기업이다. 자체 위성 네트워크를 활용해 미션 크리티컬 음성·데이터 및 사물인터넷(IoT) 솔루션을 정부·기업 고객과 개인 소비자에게 제공한다다.
기업 스냅샷에 따르면, 금요일 장마감 기준 주가는 50.48달러, 시가총액은 64억달러, 지난 12개월(TTM)주1 매출은 2억6,070만달러, TTM 순이익은 -3,840만달러였다다.
글로벌스타는 5G 역량 확장과 n53 대역 상용화에 전략적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 빠르게 진화하는 통신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려 한다. 다변화된 제품군과 글로벌 커버리지는 위성 기반 커뮤니케이션 및 자산 추적 분야에서의 핵심적 역할을 뒷받침한다다.
실적: 매출 신기록과 가이던스 유지
3분기 실적 공시에 따르면, 글로벌스타는 분기 매출 7,380만달러로 분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7,230만달러 대비 증가했으며, 이는 도매 용량 서비스와 가입자 장비 판매의 견조한 흐름이 기여했다다.
다만 분기 순이익은 110만달러로 감소했다. 회사는 비현금성 이자비용과 외환 영향 확대가 수익성에 부담을 줬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글로벌스타는 연간 가이던스로 연매출 2억6,000만~2억8,500만달러와 조정 EBITDA 마진 50%를 재확인했다다.
폴 제이컵스(Paul Jacobs) 최고경영자(CEO)는 차세대 C-3 위성 시스템 개발 진척과 전 세계 지상 인프라 확장 상황을 강조하며, 위성-지상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사업자로 자리매김하려는 회사의 목표를 재차 밝혔다다.
핵심 포인트: 3분기 매출 신기록, 가이던스 유지, 기술·인프라 투자 가속
투자 관점: 기관 수요 확대와 변동성의 공존
전문가 시각에서, 에식스의 신규 편입은 위성통신 섹터 전반에 대한 기관 자금 유입 확대를 반영한다. 스몰·마이크로캡 성장주에 집중하는 에식스 전략과 맞물려, 글로벌스타는 기술 상용화의 변곡점에 접근하는 종목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n53 대역 상용화와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전환은 중장기 성장 스토리를 강화하는 요소다다.
동시에 단기 리스크도 분명하다. 인프라 확장과 기술 통합에 대한 높은 투자집행은 현금흐름 민감도를 높이고, 비현금성 이자·외환 변수는 분기별 실적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 따라서 기관 매수세 확대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는 가이던스 이행, C-3 배치 일정, 도매 용량 계약 추이를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다.
용어 설명과 맥락
13F 보고 가능 AUM: 분기마다 SEC에 공시해야 하는 포트폴리오 내 미국 상장 증권 보유자산을 의미한다. 전체 운용자산과는 다를 수 있다다.
AUM(운용자산): 운용사가 고객을 대신해 관리하는 투자자산의 총 시장가치다. 공시대상 13F AUM은 그중 SEC 보고 의무가 있는 자산을 가리킨다다.
n53 대역: 5G 등 고급 무선통신을 지원하도록 할당된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커버리지·관통력·IoT 응용에서 전략적 가치가 크다다.
게이트웨이 운영자: 위성과 지상통신망을 연결하는 지상국(게이트웨이)을 운용하는 주체다. 위성-지상 하이브리드 모델에서 핵심 인프라다다.
모바일 위성서비스(MSS): 위성을 통해 제공되는 음성·데이터·추적 서비스로, 지상 네트워크가 닿지 않는 지역에서 필수적이다다.
미션 크리티컬: 안전·운영 연속성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필수 시스템·서비스를 뜻한다. 장애 발생 시 영향이 크다다.
IoT(사물인터넷): 센서·소프트웨어를 내장한 물리적 기기가 네트워크로 데이터 교환·연계를 수행하는 구조다다.
TTM주1: 가장 최근 분기까지의 연속 12개월 실적을 의미한다다.
주1 TTM: Trailing Twelve Months
추가 배경: 모틀리풀 안내 및 공시
모틀리풀의 투자 조언 서비스인 스톡 어드바이저의 누적 평균 수익률은 2025년 11월 3일 기준 1,036%로, 같은 기간 S&P 500의 191%를 상회한다고 소개됐다. 이는 광고성 안내의 일부로 제공된 참고 정보다다.
필진인 조너선 폰시아노(Jonathan Ponciano)는 본 기사에서 언급한 종목에 보유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 모틀리풀은 Sterling Infrastructure에 대해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사 공시 정책을 운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기사 내 견해는 작성자의 것이며, 나스닥의 공식 입장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고 명시됐다다.
핵심 정리
에식스 인베스트먼트: 글로벌스타 194,343주 신규 매수, 가치 710만달러, 포트폴리오 비중 1.1%
글로벌스타: 3분기 매출 7,380만달러(신기록), 순이익 110만달러, 연간 가이던스 유지(매출 2.6억~2.85억달러, 조정 EBITDA 마진 50%)
주가: 50.48달러(금요일 종가), 1년 상승률 82%로 S&P 500의 12% 상회
관찰 포인트: C-3 위성 개발 및 글로벌 지상 인프라 확장 진척도, 도매 용량 계약 안정성, 비현금성 이자·환율 영향의 추세 변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