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만장자 데이비드 테퍼, 엔비디아·AMD 주식 팔고 2,000억 달러 시장 노리는 핀테크 ‘블록’ 담았다

■ 요약
월가의 ‘큰손’으로 꼽히는 데이비드 테퍼가 1년간 엔비디아와 AMD 지분을 대거 처분하고, 약 2,050억 달러*총주소가능시장(TAM) 규모의 기회를 보유한 블록(Block, NYSE: XYZ)을 신규 편입했다는 사실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에 따라 확인됐다.

2025년 8월 12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테퍼가 이끄는 헤지펀드 애팔루사(Appaloosa Management)는 2024년 4월 1일~2025년 3월 31일 사이 엔비디아(NVDA) 주식 412만 주(10 대 1 액면분할 반영) 전량의 93%를 매도했고, AMD(Advanced Micro Devices) 주식 163만 주를 전량 처분했다. 같은 기간 그는 블록 주식 7만5,000주를 새로 매수하며 포트폴리오 재편에 나섰다.

펀드매니저가 주식 차트를 분석하는 모습


1. 13F 보고서란 무엇인가

SEC 규정에 따라 운용자산 1억 달러 이상의 기관투자자는 분기 종료 후 45일 이내에 보유 종목·수량을 공개하는 폼(Form) 13F를 제출해야 한다. 투자자는 이를 통해 주요 펀드매니저의 매매 동향을 파악할 수 있다.

2. 테퍼가 AI 반도체 주식을 정리한 배경

엔비디아의 H100(호퍼)·블랙웰 GPU, AMD의 MI300 ‘Instinct’ 시리즈는 모두 생성형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투자 붐의 최대 수혜주로 꼽힌다. 특히 엔비디아는 자사 GPU의 병렬 연산 성능을 극대화하는 개발 플랫폼 CUDA(쿠다)를 통해 고객 락인 효과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테퍼가 단순 차익 실현을 넘어 AI 하드웨어 버블 리스크를 염두에 뒀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과거 30여 년간 ‘닷컴’, ‘모바일’, ‘클라우드’ 등 혁신 기술은 초기 과열 뒤 조정 과정을 거쳤다. 만일 AI 버블이 형성됐다가 붕괴될 경우, GPU 공급난 완화·내부 칩 개발 증가로 인해 가격 결정력과 이익률이 압박받을 수 있다는 우려다.


3. 블록(Block)의 두 축: 스퀘어·캐시앱

블록의 결제 단말기를 이용하는 모습

블록은 스퀘어(Square) 생태계캐시앱(Cash App)이라는 두 개의 사업부를 운영한다. 2024년 11월 파이퍼 샌들러의 애널리스트 아르빈드 람나니는 스퀘어 TAM을 1,300억 달러, 캐시앱 TAM을 750억 달러로 각각 추정했다.

스퀘어는 소상공인부터 대형 가맹점까지 모바일·디지털 결제, POS 단말기,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제공한다. 2020년 4분기 결제총액(GPV)은 294억 달러였으나 2025년 2분기 642억 달러로 2배 이상 급증했다. 이는 해외 시장 확장과 연간 GPV 50만 달러 이상 대형 가맹점 비중 확대가 주효했다.

캐시앱은 P2P 송금·주식·비트코인 거래 등 고마진 서비스를 바탕으로 2020년 3,600만 명이던 월간 활성 이용자(MAU)가 2025년 중반 5,700만 명으로 늘었다. 캐시앱 1인당 총수익은 고객 획득 비용(CAC)을 크게 상회해 회사 전반의 수익성 개선을 견인하고 있다.


4. 용어 풀이

· 총주소가능시장(TAM, Total Addressable Market): 특정 제품·서비스가 이론적으로 점유할 수 있는 최대 시장 규모.
· 결제총액(GPV, Gross Payment Volume): 결제 플랫폼을 통해 처리된 총 거래 금액.
· CUDA: 엔비디아 GPU 전용 병렬 컴퓨팅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5. 시장 의미와 전망

엔비디아·AMD 같은 AI 하드웨어 강자는 여전히 성장 여력이 크지만, 내부 칩 설계에 나선 빅테크사들의 가격·수급 압박이 불가피해질 가능성이 있다. 반면, 블록은 핀테크(Digital Payment) 분야에서 결제 인프라와 모바일 금융 플랫폼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어 지속적인 두 자릿수 성장 궤도가 기대된다.

테퍼처럼 실적과 현금흐름 비중이 높은 기업을 선호하는 매니저가 블록을 4년 만에 재편입한 것은 ‘포트폴리오 방어와 성장성’을 동시에 노린 행보로 해석된다.

다만, 나스닥닷컴은 ‘모틀리풀 Stock Advisor’ 모델 포트폴리오에서 블록을 10대 추천 종목에 포함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투자자는 AI·핀테크 섹터의 변동성과 경쟁 심화를 고려해 분산 투자 전략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Stock Advisor 수익률 기준일: 2025년 8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