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증시가 다시 한 번 실적 시즌의 정점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투자자들이 기업별 수익성 지표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가운데, 14일(현지시간) 개장 전후로 반도체 장비업체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pplied Materials), 농기계 1위 디어(Deere & Co), 패션 브랜드 코치(Coach)(모기업 테이프스트리) 등 업종 대표주 20여 곳이 일제히 실적을 내놓을 예정이다.
2025년 8월 13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주는 S&P500 편입 종목의 80% 이상이 2분기 실적을 공시하는 중요한 분기점이다. 시장 변동성 확대가 예상되는 만큼, 투자자와 애널리스트들은 주당순이익(EPS)과 매출 가이던스를 중심으로 콘퍼런스콜 멘트까지 면밀히 분석할 것으로 보인다.
“기업들이 제시하는 하반기 매출 전망치가 연준(Fed) 통화정책과 맞물려 증시에 중·단기 방향성을 제시할 것”이라는 월가 관계자의 평가가 나온다.
※ 장 개시 전(Pre-Market) 발표 예정 기업 및 컨센서스
• 코치(TPR) : 예상 EPS 1.00달러, 예상 매출 16억 7,000만 달러
• 디어(DE) : 예상 EPS 4.58달러, 예상 매출 103억 5,000만 달러
• 나이스시스템즈(NICE) : 예상 EPS 2.99달러, 예상 매출 7억 1,327만 달러
• 어플라이드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스(AIT) : 예상 EPS 2.63달러, 예상 매출 11억 8,000만 달러
• 웨이보(WB) : 예상 EPS 0.4252달러, 예상 매출 4억 3,968만 달러
• 암코어(AMCR) : 예상 EPS 0.2129달러, 예상 매출 51억 8,000만 달러
• 어드밴스 오토 파츠(AAP) : 예상 EPS 0.5338달러, 예상 매출 19억 7,000만 달러
• 골라 LNG(GLNG) : 예상 EPS 0.2597달러, 예상 매출 8,672만 달러
• 퍼스트 마제스틱 실버(AG) : 예상 EPS 0.0375달러, 예상 매출 2억 7,207만 달러
• 스위스리(SSREY) : 예상 EPS 1.04달러, 예상 매출 106억 달러
• 카난(CAN) : 예상 EPS –0.0365달러, 예상 매출 1억 944만 달러
• 칼스버그(CABGY) : 예상 EPS 0.6207달러, 예상 매출 40억 8,000만 달러
• 티센크루프 ADR(TKAMY) : 예상 EPS 0.1686달러, 예상 매출 96억 9,000만 달러
• RWE AG PK(RWEOY) : 예상 EPS 0.5817달러, 예상 매출 44억 1,000만 달러
※ 장 마감 후(After-Hours) 발표 예정 기업 및 컨센서스
•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 : 예상 EPS 2.36달러, 예상 매출 72억 2,000만 달러
• 글로반트(GLOB) : 예상 EPS 1.51달러, 예상 매출 6억 1,254만 달러
• 크레디코프(BAP) : 예상 EPS 5.59달러, 예상 매출 15억 2,000만 달러
• BRF 브라질푸드(BRFS) : 예상 EPS 0.0836달러, 예상 매출 27억 2,000만 달러
• 누홀딩스(NU) : 예상 EPS 0.1295달러, 예상 매출 31억 6,000만 달러
• 에네르제티카 미나스 제라이스(CIG) : 예상 EPS 0.0507달러, 예상 매출 16억 3,000만 달러
• 방코 도 브라질(BDORY) : 예상 EPS 0.1752달러, 예상 매출 66억 7,000만 달러
• 코산(CSAN) : 예상 EPS –0.0425달러, 예상 매출 67억 7,000만 달러
용어 해설: EPS와 컨센서스
EPS(Earnings Per Share)는 ‘주당순이익’을 의미하며, 기업이 일정 기간 동안 벌어들인 순이익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이다. 투자자들은 EPS가 시장 전망치(컨센서스)를 상회하는지 여부로 기업의 이익 창출 능력을 가늠한다. 만약 실제 EPS가 예상치를 크게 웃돌면 주가 상승 동력이 되고, 반대의 경우엔 하락 압력으로 작용하는 경향이 있다.
현재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높은 인플레이션과 금리 부담에도 불구, 제조·소비재·테크 섹터별로 견조한 실적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일부 기업은 공급망 비용 상승과 환율 효과로 실적 눈높이가 낮아졌다는 분석도 적지 않다.
이번 실적 릴리즈가 마무리되면, 투자자들은 곧이어 공개될 3분기 가이던스와 자사주 매입·배당 정책 변화를 재차 점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트레이딩 전략을 세우는 데 있어, 단순히 EPS를 넘는지 여부뿐만 아니라 ①매출 성장률 ②현금흐름 ③향후 수요 전망 등을 종합적으로 살필 필요가 있다.
실시간 실적 결과는 인베스팅닷컴의 어닝 캘린더와 헤드라인 뉴스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끝으로, 이 기사는 AI 기반 자동화 도구의 도움을 받아 작성됐으며, 전문 에디터의 검수를 거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