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의 대규모 미국 투자 확대]
애플(AAPL) 최고경영자(CEO) 팀 쿡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향후 4년 동안 미국 기업·공급망을 대상으로 1,000억 달러(약 134조 원)를 추가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2025년 8월 6일, CNBC 뉴스 보도에 따르면, 이번 발표는 올 2월에 공표된 5,000억 달러 투자 계획에 이어 나온 것으로, 두 계획을 합치면 애플은 4년 동안 총 6,000억 달러를 미국 경제에 투입하게 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
이는 애플이 자국은 물론 전 세계에서 단행한 최대 규모 투자
”라며 “애플이 과거 다른 국가에도 투자를 해왔지만 이제는 미국으로 돌아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1. ‘아메리칸 매뉴팩처링 프로그램’ 세부 내용
애플은 이번 계획의 일환으로 ‘American Manufacturing Program’을 신설했다. 프로그램 참여 기업은 코닝(GLW), 코히어런트(COHR), 글로벌웨이퍼스,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 텍사스 인스트루먼츠(TXN), 삼성전자, 글로벌파운드리(GFS), 암코어(AMKR), 브로드컴(AVGO) 등으로, 부품·소재·반도체 전 영역을 포괄한다.
특히 애플은 코닝과 함께 켄터키주에 위치한 아이폰·애플워치용 커버 글라스 생산 시설을 대대적으로 확충하기 위해 25억 달러를 투입한다. 애플은 “향후 모든 아이폰 및 애플워치용 유리는 미국에서 제조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핵심 파트너 코히어런트와는 안면 인식 시스템(페이스 ID)에 사용되는 레이저 모듈을 다년간 공급받기로 계약했다.
2. 반도체 공급망 강화
애플은 올해 190억 개 이상의 칩을 미국 기반 공급망에서 생산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애리조나주 TSMC 공장에서 생산되는 칩, 글로벌웨이퍼스의 웨이퍼, 텍사스 인스트루먼츠의 전력·아날로그 칩이 모두 포함된다.
애플은 텍사스 인스트루먼츠와 협력해 유타·텍사스 공장에 신규 장비를 설치하고, 글로벌파운드리는 뉴욕주에서 무선 충전용 칩을 생산한다.
3. 이전 투자와 비교
애플은 2018년 1차 트럼프 행정부의 압박 속에서 5년간 3,500억 달러 투자(연평균 700억 달러)를 약속했다. 이어 2021년에는 5년간 4,300억 달러(연 860억 달러)를 추가 발표했다. 이번 발표로 2025~2029년 사이 연평균 1,250억 달러를 투입하게 돼 투자 속도가 가팔라졌음을 알 수 있다.
4. 관세·무역 변수
애플은 올해 초 발효된 중국산 수입품 관세를 이미 부담 중이며, 현재 진행 중인 ‘섹션 232’ ※미 상무부가 국가 안보를 이유로 특정 품목에 고율 관세를 부과할 수 있도록 한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 결과에 따라 반도체에도 추가 세금이 부과될 수 있다.
관세 비용은 분기당 11억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애플은 관세 회피를 위해 미국 판매용 아이폰 대부분을 인도에서 조립하고 있으나, 인도산 제품에도 25%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어서 불확실성이 크다. CNBC는 백악관 관계자를 인용해 “인도산 아이폰은 대체로 영향이 제한적”이라고 전했다.
5. 전문가 시각
웨드부시 증권의 분석가 댄 아이브스는 CNBC ‘클로징 벨’ 인터뷰에서 “애플의 최대 과제는 생성형 인공지능(AI) 전략 부재”라며, 대규모 제조 투자에도 불구하고 AI 경쟁력 강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애플의 투자 확대가 ① 미국 내 첨단 제조 생태계 강화, ② 공급망 다변화, ③ 정책 리스크 완화라는 세 가지 축에서 전략적 의미를 지닌다고 평가한다.
6. 용어 설명
페이스 ID 레이저: 아이폰 전면부에 탑재된 ‘도트 프로젝터’가 얼굴에 3만 개 이상의 점을 쏜 뒤, 반사된 패턴을 적외선 카메라가 인식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술이다. 해당 레이저를 코히어런트가 공급한다.
TSMC 애리조나 공장: 대만 TSMC가 2024년 가동을 목표로 건설 중인 4nm(나노미터)급 첨단 반도체 팹. 미국 내 최대 규모 파운드리로 꼽힌다.
글로벌웨이퍼스: 실리콘 웨이퍼 제조 3위 업체. 웨이퍼는 반도체 칩을 깎아 만드는 원판으로, 공급 안정성이 반도체 생산의 열쇠다.
애플은 “이번 투자로 미국 내 고급 일자리 창출과 첨단 제조 기술 내재화를 달성할 것”이라며 “글로벌 고객에게 안정적인 제품 공급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