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Apple Inc.)이 삼성전자(Samsung Electronics)의 미국 텍사스 반도체 공장에서 생산되는 칩을 아이폰 등 자사 제품에 탑재하기로 결정했다.
2025년 8월 6일, 인베스팅닷컴(Investing.com)의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해당 공장에서 생산될 칩이 “아이폰 기기를 포함한 애플 제품의 전력과 성능을 최적화한다”고 밝혔다. 애플은 이 같은 내용을 발표하면서 향후 4년간 미국 내 총 6,00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진행하겠다는 계획도 함께 공개했다. 이는 기존 계획에 1,000억 달러를 추가한 수치다.
애플이 밝힌 이번 공급 계약의 세부 조건이나 물량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애플 측은 “해당 시설이 애플 생태계 전반의 에너지 효율 및 고성능 설계를 뒷받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시설은 아이폰을 비롯한 애플 제품의 전력과 성능을 동시에 극대화하는 핵심 칩을 제공할 예정”
라는 설명이 덧붙었다.
삼성전자 대변인은 이번 계약과 관련해 “노코멘트”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삼성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부문의 미주 생산 거점이 글로벌 IT 기업들의 차세대 칩 수요를 흡수함으로써 생산 효율을 높이고 손실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애플의 발표는 미국 내 제조 기반을 강화하려는 전략과도 맞물려 있다. 애플은 이미 텍사스 오스틴에 대규모 캠퍼스를 운영 중이며, 이번 추가 투자를 통해 현지 반도체 공급망을 더욱 견고히 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테슬라(Tesla Inc.)도 최근 삼성과 165억 달러 규모의 칩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7월 말 발표했다. 테슬라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Elon Musk)는 “텍사스 신규 공장에서 차세대 AI6 칩을 생산할 예정”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주요 용어 설명
파운드리(Foundry)는 반도체 설계를 전문으로 하는 팹리스(Fabless) 업체로부터 주문을 받아 칩을 생산해 주는 사업 모델을 의미한다. 애플·테슬라 등은 자체적으로 칩 설계 역량은 있지만, 대규모 생산 시설을 운영하지 않고 파운드리 기업(삼성·TSMC 등)에 제조를 맡기는 방식으로 공급망을 구축한다.
키움증권의 박유악 애널리스트는 지난달 말 보고서에서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는 2026년부터 아이폰 18용 이미지 센서 칩과 테슬라용 칩 등 신규 수주 확보를 통해 적자 폭을 줄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미·중 갈등과 공급망 다변화 흐름 속에서 미국 현지 생산설비 확충이 글로벌 IT 기업들에게 필수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평가한다. 특히 텍사스는 반도체 생태계 인프라가 빠르게 확대되는 지역으로, 삼성·테슬라·애플 간 파트너십이 집중되면서 지역 경제에도 긍정적 파급 효과가 예상된다.
애플은 6000억 달러 투자 계획의 구체적인 사용처로 제조 인프라 확장, 엔지니어 고용 창출, 차세대 기술 연구개발(R&D) 등을 제시했다. 이 같은 대규모 투자 행보는 아이폰·맥·아이패드 등 주력 제품의 성능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친환경·고효율 설계의 핵심 부품 국산화(미국 내 생산) 비중을 높여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이번 계약은 애플과 삼성이 ‘경쟁이자 파트너’ 관계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준 사례다. 디스플레이·메모리·파운드리 등 다양한 부문에서 협업해 온 두 기업은, 동시에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최대 경쟁자로 맞서고 있다. 이러한 ‘협력과 경쟁’ 구도는 글로벌 IT 업계에서 점차 일반화되는 추세다.
향후 관전 포인트
첫째, 삼성 텍사스 공장의 생산 능력 증설 속도와 수율(양품률) 관리가 애플·테슬라 공급 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둘째, 애플이 자체 설계한 칩(애플 실리콘)의 성능이 삼성 생산 공정을 통해 어느 수준까지 최적화될지도 관건이다.
셋째, 미국 내 반도체 지원 정책(IRA·CHIPS법 등)과 주 정부 인센티브가 추가 투자 확대를 촉진할 가능성도 높다.
애플은 제조 파트너로서 삼성전자를 재확인함으로써, 안정적 생산망을 유지하는 동시에 제품 성능·전력 효율 고도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는 반도체 수급 불안정이 지속되는 글로벌 시장에서 애플이 취할 수 있는 현실적·전략적 선택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