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슐랜드, 3분기 매출 15% 감소

애슐랜드(Ashland Inc., NYSE: ASH)가 2025 회계연도 3분기(4월~6월) 실적을 발표하며 매출 15% 감소조정 주당순이익(EPS) 30.2% 하락이라는 부진한 성적표를 내놓았다.

2025년 7월 31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회사의 GAAP 기준 매출은 4억6,300만 달러로 팩트셋 컨센서스(4억7,658만 달러)를 1,358만 달러 밑돌았고, 비GAAP 기준 지속사업 EPS 역시 1.04달러로 시장 기대치(1.20달러)를 하회했다.

애슐랜드는 제약·개인케어·코팅·건설 등 다양한 산업에 첨가제와 기능성 소재를 공급하는 글로벌 스페셜티 화학기업이다. 최근 수년간 회사는 저수익 사업을 매각·중단하고 고부가가치 제품군에 집중하는 ‘포트폴리오 최적화’ 전략을 강하게 추진해 왔다.


주요 실적 및 지표

매출: 4억6,300만 달러(전년 동기 대비 –14.9%)
조정 EBITDA: 1억1,300만 달러(–18.7%)
조정 EPS: 1.04달러(–30.2%)
지속 영업현금흐름: 1억800만 달러(–3.6%)
희석주식수: 4,600만 주(–9.8%)

특히 706백만 달러 규모의 영업권 손상차손이 반영되며 GAAP 순손실 7억4,200만 달러를 기록했으나, 이는 현금 유출이 없는 비현금(non-cash) 항목이다.


사업 부문별 성과

1) 라이프 사이언스(제약·영양)주1: 매출 –17%이나 구조조정 효과 제외 시 –1%. 제약용 정제 코팅·주사제용 부형제가 4% 유기적 성장. EBITDA 5,400만 달러, 마진 33%.

2) 퍼스널 케어: 매출 –16%(아보카 사업 매각분 1,800만 달러 포함). 바이오펑셔널 액티브스(프리미엄 스킨케어 소재) 수요 부진 지속, 여행·명품 리테일 회복 지연이 악재. 그러나 EBITDA 마진 27.9%로 수익성 방어.

3) 스페셜티 애디티브: 건축·코팅용 증점제(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 판매 둔화로 매출 –13%. 중국 내수 약세와 수출 단가 경쟁이 부담. EBITDA 2,600만 달러(–32%).

4) 인터미디어트(산업용 솔벤트·케미컬): 가격 하락으로 매출·이익 동반 감소(Ebitda 700만 달러, –22%). 공급과잉 지속.


현금흐름·주주환원·비용절감

영업현금흐름 1억1,400만 달러, 자유현금흐름 1억800만 달러를 창출했다. 지난 12개월간 자사주 1억 달러 상당을 매입해 희석주식수를 5백만 주 감축했다. 분기 배당 1,900만 달러는 유지했다.

회사는 3,000만 달러 규모 구조조정 프로그램을 완료했으며, 4분기에 추가 750만 달러 절감을 기대한다. 여기에 6,000만 달러 규모 제조 네트워크 통합 프로젝트를 병행, 특히 셀룰로오스 계열 소재 설비를 집중 통합해 장기 마진을 방어한다는 계획이다.


연간 가이던스 하향

2025 회계연도 완전연도 매출 전망은 기존 상단 19억 달러에서 18억25억~18억50억 달러로 낮췄다. 조정 EBITDA 가이던스는 4억~4억1,000만 달러로, “범위 하단” 달성을 예고했다. 경영진은 “단기 성장은 제한적”이라며 시장 수요 회복·가격 방어·재고 축소가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주1라이프 사이언스 부문은 의약용 부형제·영양제 원료를 포함하며, 의약품의 안정성·흡수율 등을 높이는 데 쓰인다.

EBITDA(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는 기업의 현금 창출력을 보여주는 이익지표다. 조정(Adjusted) EBITDA는 일회성 비용·수익을 제외해 본업 수익성을 나타낸다.


전문가 시각

“포트폴리오 슬림화로 마진 방어는 성공했지만, 핵심 수요처(프리미엄 스킨케어·중국 건축시장) 부진이 장기화될 경우 2026년 이후 성장성에도 그림자가 드리울 수 있다. 다만 R&D 집중과 설비 통합으로 단가 프리미엄을 유지한다면 2027년 목표치(혁신 매출 1억 달러 증대) 달성 가능성은 여전히 유효하다.”

결국 관건은 ① 재고 감축 속도② 중국 및 고급 뷰티 소비 회복 시점이다. 투자자라면 4분기 유기적 매출 증가 여부와 추가 비용절감 진척을 면밀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