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500 지수와 나스닥 100 지수가 24일(현지시간) 장중 강세를 보이며 미국 증시는 대체로 상승세를 유지했다. 특히 S&P 500 지수는 장중 사상 최고치를 다시 한 번 경신하며 뉴욕 증시의 견조한 투자 심리를 반영했다.
2025년 7월 24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08% 오른 반면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67% 하락했고 ▲나스닥 100 지수는 +0.18% 상승했다. 선물 시장에서도 9월물 E-미니 S&P 선물은 +0.08%,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20% 오르며 현물 지수를 뒷받침했다.
하드 카탈리스트로 꼽힌 것은 알파벳(Alphabet)의 2분기 매출 호조다. 알파벳은 광고 부문을 넘어 인공지능(AI)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를 이유로 시장 예상치(796억 달러)를 웃도는 817억2,000만 달러(Ex-TAC 기준)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 같은 실적 발표는 기술주 랠리를 주도하며 나스닥 강세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했다.
반면, Tesla가 2분기 매출 225억 달러로 10년 만의 최대 감소폭을 기록하고 엘론 머스크 CEO가 “앞으로 1년간 거친 고비가 예상된다”고 경고하자 주가는 −8% 이상 급락했다. IBM도 소프트웨어 매출 부진 탓에 −9% 넘게 빠지며 다우지수 하락에 큰 부담을 주었다.
▶ 미국 경제 지표 — 노동시장·제조업 상반된 시그널
노동시장 지표는 긍정적이다. 미국의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예상치(22만6,000건)를 밑도는 21만7,000건으로 3개월 최저치를 경신했다. 반면 제조업 경기는 식어가는 모습이다. 7월 S&P 미국 제조업 PMI 잠정치는 49.5로, 기대치 52.7을 크게 하회하며 7개월 내 최저 수준(계절조정 50 미만=위축 국면)에 머물렀다.
같은 날 발표된 6월 시카고 연준 전국활동지수는 −0.10으로, 예상치(−0.15)를 상회했다. 그러나 시장은 다음 주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8월 1일 관세 인상(15~50%) 경고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투자자들은 추가 관세 부과를 피하기 위한 각국과의 막바지 무역협상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
“15%에서 50% 사이의 단순·직관적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은 최저 관세율 상향을 시사하며 시장 위험 요인을 재확인시켰다.
주택·설비투자 관련 지표도 주목된다. 24일(현지시각) 발표 예정인 6월 신규주택 판매는 전월 대비 +4.3% 증가한 65만 호가 예상되며, 25일 6월 국방 제외 자본재 신규 주문(항공기·부품 제외)은 +0.2% 증가가 전망된다.
▶ 연준·ECB 통화정책 전망
연방기금 선물(Fed Fund Futures) 시장은 7월 29~30일 FOMC에서 25bp(0.25%포인트) 금리 인하 가능성 3%, 9월 16~17일 FOMC에서 58%를 반영하고 있다.
채권시장에서는 10년물 미 국채 수익률이 5bp 상승한 4.430%를 기록했다. 위험자산 선호 확대에 따른 안전자산 수요 감소, 노동시장 회복세가 맞물린 결과다. 유럽에서도 ▲독일 10년물 국채금리는 +3.9bp(2.678%) ▲영국 10년물 길트금리는 +1.6bp(4.651%)로 상승했다. 유럽중앙은행(ECB)은 예고대로 예치금리를 2.00%로 동결했으며, 스와프 시장은 9월 회의에서 25bp 인하 확률을 27%로 평가한다.
참고: Ex-TAC는 ‘Traffic Acquisition Cost(트래픽 인수 비용)’를 제외한 매출을 의미하며, 광고 플랫폼 기업의 실질 매출력을 가늠할 때 주로 사용된다.
▶ 기업 실적 — 명암 뚜렷
이번 주 S&P 500 구성 기업 중 약 20%가 실적을 발표했으며, 초기 집계 결과 2분기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가 예상된다(블룸버그 인텔리전스 기준). 이는 시즌 전 전망치(+2.8%)를 상회한다. 그러나 야르데니 리서치에 따르면 11개 섹터 중 6개만이 이익 증가를 기록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2023년 1분기 이후 최소치다.
주요 상승 종목으로는 알파벳(+2% 이상) 외에 ▲웨스트 파마(West Pharmaceutical)(+27%) ▲랩코프(Labcorp)(+9%) ▲T-모바일 US(+6%) ▲서비스나우(ServiceNow)(+5%) ▲라스베이거스 샌즈(+4%) ▲트랙터 서플라이(+3%) 등이 꼽힌다.
반면 ▲LKQ(−20% 이상) ▲다우(Dow Inc)(−12%) ▲치폴레 멕시칸 그릴(−12%) ▲테슬라(−8% 이상) ▲IBM(−9% 이상) ▲몰리나 헬스케어(−6%) ▲아메리칸·사우스웨스트 항공(각 −9% 이상) 등은 실적 또는 가이던스 부진으로 급락했다.
▶ 해외 증시·원자재·자동차 시장
유럽 Stoxx 50 지수는 +0.05% 소폭 상승했고, ▲중국 상하이종합 +0.65% ▲일본 니케이225 +1.59%(연중 최고치 경신)를 기록했다. 유로존 7월 제조업 PMI는 49.8(3년래 최고)로 개선됐으나 50선을 밑돌아 확장·수축 경계에서 고전하고 있다. 6월 신규 자동차 등록대수는 y/y −7.3%(101만 대)로 10개월 만에 최대 감소폭을 나타냈다.
용어 설명: Postpaid(후불제) 고객 수는 통신사업자의 핵심 수익 지표이며, EBIT은 ‘이자·세금 전 이익’으로 기업의 실질 영업이익력을 평가하는 대표적 지표다.
▶ 전문가 시각 및 전망
시장 참여자들은 “알파벳 등 빅테크의 AI 수요 모멘텀이 장세를 지탱하지만, 제조업 경기 둔화와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고율 관세 변수는 상방을 제한할 것”이라고 진단한다. 또 9월 FOMC 전까지 발표될 고용·물가·소매판매 지표가 금리 방향성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기업 이익 추정치가 상향 조정되더라도 하반기 경기 불확실성이 클 경우 밸류에이션 부담이 증폭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결론적으로, AI·통신·헬스케어 섹터가 상대적 강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무역·정책 리스크, 제조업 경착륙 우려가 교차하고 있어 단기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상존한다.
※본 기사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기사 작성 시점 필자는 언급된 종목에 대한 투자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