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바바(BABA) 기본분석: 케네스 피셔 모델로 본 80% 적합도

Validea가 제공한 ‘Guru Fundamental Report’에 따르면,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ADR(티커: BABA)은 케네스 피셔의 ‘가격 대비 매출비율(Price/Sales Ratio·PSR) 투자전략’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종목 중 하나다. 해당 전략은 낮은 PSR, 장기 이익 성장, 견조한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 그리고 안정적인 순이익률을 동시에 충족하는 기업에 가치를 부여한다.

2025년 8월 22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알리바바는 소매(전문) 업종에 속하는 대형 성장주로 분류되며, 이번 분석에서 총 22개 ‘Guru’ 전략 가운데 피셔 모델로 80%의 적합도를 기록했다. 일반적으로 80% 이상이면 전략이 종목에 일정 부분 ‘관심’을 가진다는 의미이며, 90%를 넘기면 ‘강한 관심’ 단계로 해석된다.

Validea는 “아래 표는 전략별 테스트 충족 여부를 요약한 것으로, 모든 항목이 동일한 가중치나 독립성을 갖진 않지만 종목의 강·약점을 한눈에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평가 결과
PSR (주가/매출) : PASS
• 부채비율(Total Debt/Equity) : PASS
• 연구개발 대비 시가총액(Price/Research Ratio)* : PASS
다시 계산된 PSR : FAIL
장기 EPS 성장률 : FAIL
• 주당 잉여현금(Free Cash per Share) : PASS
• 3년 평균 순이익률(Net Profit Margin) : PASS

*연구개발 대비 시가총액은 기업이 연구개발 비용 대비 얼마나 효율적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알리바바는 PSR이 낮고 잉여현금흐름이 강력하다는 점에서 피셔식 가치판별 모델에 부합하지만, 장기 주당순이익(EPS) 성장률 항목에서는 목표치를 충족하지 못했다.” — Validea 리포트

케네스 피셔( Kenneth Fisher) 소개
피셔는 성장투자의 ‘아버지’로 불리는 필립 피셔의 아들로, 투자운용사 Fisher Investments의 창업자다. 1984년 저서 ‘Super Stocks’에서 PSR 개념을 대중화해 월가의 주목을 받았다. 그는 포브스 (Forbes) 칼럼니스트로도 활동하며, 19세기 벌목산업 연구의 권위자1로도 알려져 있다.

1캘리포니아 훔볼트 주립대(Humboldt State University)에 따르면, 피셔는 19세기 목재 산업 역사에 관한 세계적 전문가 중 한 명으로 평가된다.


투자 지표 용어 해설

PSR(Price/Sales Ratio) : 시가총액을 연간 매출로 나눈 값으로, 1 이하이면 ‘저평가’로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 : 영업활동 – 자본적지출(CAPEX)으로 계산되는 실제 현금창출력을 의미한다.
총부채/자기자본 : 기업 재무건전성을 나타내며, 값이 낮을수록 안정적이다.
순이익률(Net Profit Margin) : 매출에서 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로, 수익성 지표다.

알리바바의 의미와 전망

알리바바는 중국 전자상거래·클라우드 시장의 선두 기업으로, 대형주(시가총액 100억 달러 이상)에 해당한다. PSR 중심 가치평가 모델에서 80%의 적합도를 받은 것은, 시장이 매출 대비 주가를 상대적으로 합리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장기 EPS 성장률이 ‘FAIL’로 나타난 점은 경기둔화·경쟁심화 등 구조적 리스크가 여전히 존재함을 보여준다.

또한, 3년 평균 순이익률이 ‘PASS’를 받았다는 사실은 이익 변동성이 비교적 낮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는 투자자에게 분명 긍정적인 요소지만, 중국 규제 환경과 글로벌 금리 변동성이 변수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 따라서 리스크 관리형 투자전략에 방점을 두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

Validea 플랫폼은 워런 버핏·벤저민 그레이엄·피터 린치 등 유명 투자 대가들의 전략을 데이터화하여 모델 포트폴리오를 제공한다. 이번 리포트 또한 자체 알고리즘으로 종목을 평가한 결과이며, 주관적 의견은 포함돼 있지 않다.

마지막으로, “본 문서에 제시된 견해는 작성자 개인의 견해이며, Nasdaq Inc.의 공식 입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는 면책조항이 함께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