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주요 증시가 8일(금) 대부분 약세를 보였다. 이날 변동성은 조 바이든 대통령의 새로운 관세정책이 아닌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상호주의 관세(reciprocal tariffs)’가 자정 직후 공식 발효된 데서 비롯됐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미국으로 수십억 달러의 돈이 곧 흘러들어올 것”이라며, 이를 막으려는 “급진좌파 법원”을 비판했다.
2025년 8월 8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조치로 90개국 이상이 동시에 관세 인상 대상이 됐으며, 시장은 보복성 무역 장벽 확대로 경기 둔화를 우려하고 있다.
■ 중국·홍콩: 약세 지속
중국 상하이종합지수(Shanghai Composite)는 0.12% 하락한 3,635.13에 마감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중국 기업과 이해충돌이 크다”며 리프-부 탄(Lip-Bu Tan) 신임 인텔(Intel) 최고경영자의 즉각 사퇴를 요구한 점도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같은 날 홍콩 항셍지수(Hang Seng)는 0.89% 떨어진 24,858.82를 기록했다.
• ‘보편관세(universal tariff) 스태킹(stacking)’이란? 같은 품목에 이미 부과된 관세 위에 추가로 중첩(스태킹) 관세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수입업체는 누적된 관세만큼 비용 부담이 커진다.
■ 일본: 관세 합의 훈풍에 독주
일본 증시는 역주행했다. Nikkei 225는 1.85% 급등해 41,820.48로 마감했으며, 토픽스(TOPIX) 역시 1.21% 오른 3,024.21로 사상 처음 ‘3,000선’을 돌파했다. 이는 일본 측 통상교섭대표가 “미국이 보편관세 스태킹을 중단하고 자동차 관세를 동시에 인하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힌 것이 계기가 됐다.
여기에 소프트뱅크 그룹의 10.4% 급등이 지수를 끌어올렸다. 손정의 회장이 강조해온 인공지능(AI) 투자 확대와 높은 분기 순이익이 투자심리를 자극했고, 소니는 3.5% 상승해 전날 실적 가이던스 상향에 따른 랠리를 이어갔다. 자동차주 닛산·미쓰비시·혼다·토요타는 일제히 3~4% 뛰었다.
■ 한국: 방산주 차익 실현에 코스피 하락
코스피는 0.55% 밀린 3,210.01로 마감했다. 방위산업 섹터가 약세를 주도했다. 현대로템 –4.9%, 한화 에어로스페이스 –5.5%, LIG넥스원 –14.9%로 낙폭이 컸다. 시장은 다음 주 예정된 미국-러시아 정상회담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계기가 될지 주목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평화 배당’ 기대가 방산주 차익 실현으로 이어졌다.
■ 호주·뉴질랜드: 기록 경신 후 숨 고르기
호주 S&P/ASX 200 지수는 0.28% 내린 8,807.10으로, 이틀 연속 최고치 경신 후 차익 매물이 출회됐다. 에너지·은행주가 RBA(호주준비은행) 8월 12일 회의를 앞두고 조정받았다. 뉴질랜드 S&P/NZX-50 지수도 0.33% 하락한 12,844.63에 거래를 마쳤다. 양국 투자자들은 美 신규 관세가 자국 수출에 미칠 영향을 우려하고 있다.
■ 외환·원자재: 달러 소폭 반등, 금·유가 엇갈려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이틀 연속 하락 후 소폭 반등했다. 금 가격은 온스당 3,400달러 위에서 견조했고, 국제유가는 공급 과잉 우려로 6월 이후 최대 주간 하락폭을 기록할 전망이다.
■ 뉴욕증시: 혼조세 속 Fed 인사 추가
전날(현지시간) 뉴욕증시는 관세 충격 속에 혼조 마감했다. 나스닥 종합지수는 0.4% 상승했으나, S&P 500은 보합권, 다우존스 산업평균은 0.5% 하락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반도체 관세 면제 가능성을 시사했으며, 연준 이사회에 스티븐 미란(Stephen Miran)을 임시 위원으로 지명했다.
• 계속실업수당(continuing claims)이란? 실업 상태가 일정 기간 지속돼 구직급여를 연장 수령 중인 인원을 뜻하며, 노동시장 냉각 신호로 해석된다.
■ 기자의 시각
이번 조치는 중장기적으로 공급망 재편 및 글로벌 무역 패턴에 큰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보편관세 스태킹’ 폐지 합의를 이끌어낸 일본은 자동차·전자 업종의 비용 압력을 완화하며, 닛케이 지수 4만선 안착을 노려볼 동력을 확보했다. 반면 한국·호주·뉴질랜드 등 교역 의존도가 높은 경제는 향후 관세전쟁 장기화 시 수출 부진과 성장률 둔화에 직면할 수 있다. 연준(Fed) 인선과 미·러 정상회담 결말이 향후 자산 가격의 추가 변동성을 좌우할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