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6일(현지시간) 상승세를 이어갔다. S&P500지수는 +0.44% 올랐고,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0.26% 상승했다. 기술주 비중이 높은 나스닥100지수 역시 +0.60% 뛰었다. 9월물 E-mini S&P 선물과 9월물 E-mini 나스닥 선물도 각각 +0.43%, +0.62% 상승하며 현물 지수를 뒷받침했다.
2025년 8월 6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기업 실적 호조와 조기 금리 인하 기대를 주된 매수 요인으로 지목했다. 특히 네트워크 장비 업체인 아리스타 네트웍스(Arista Networks)는 3분기 매출 가이던스가 시장 예상치를 웃돌면서 주가가 17% 이상 급등했다. 데이트·매칭 플랫폼 매치그룹(Match Group)도 3분기 매출 전망이 강세를 보이자 12% 넘게 뛰었다.
반면 슈퍼 마이크로 컴퓨터(Super Micro Computer)는 4분기 실적이 기대에 못 미쳐 20% 이상 급락했으며,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스(AMD)가 2분기 실적 실망과 중국 매출 전망 부재로 8% 이상 하락, 반도체주 전반의 부담으로 작용했다.
“경기가 둔화하고 있으며, 연준이 단기적으로 연방기금금리를 인하할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 —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
최근 미국 경제지표가 예상보다 부진하게 나오면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94% 확률로 기준금리 0.25%p 인하가 단행될 것이라는 페드워치 전망이 제시됐다. 이는 불과 일주일 전 40% 수준에서 급격히 높아진 수치다.
모기지 시장에서도 호재가 이어졌다. 8월 1일 기준 미국 MBA 모기지 신청지수는 전주 대비 3.1% 상승했으며, 주택 구매용 신청은 1.5%, 재융자 신청은 5.2% 각각 늘었다. 평균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는 6.83%에서 -6bp(6.77%) 내려갔다.
관세 이슈와 무역 긴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인도산(産) 수입품에 대해 기존 25%에 추가로 25%p를 얹은 총 50% 관세를 예고했다.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구매가 이유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향후 일주일 안에 반도체·제약 제품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같은 맥락에서 지난주 캐나다 일부 제품 관세를 25%에서 35%로 높였으며, 대(對)세계 10% 최소 관세와 대미 흑자국 15% 이상 관세도 8월 7일 0시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이러한 조치가 모두 시행되면 미국 평균 관세율이 2024년 2.3%에서 15.2%까지 치솟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번 주 주목 이벤트
시장 참여자들은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목요일)와 2분기 비농업 생산성·단위 노동비용 지표를 눈여겨보고 있다. 실업수당 신규 청구는 3천 건 증가한 22만1천 건, 생산성은 +2.0%, 노동비용은 +1.5% 상승이 각각 예상된다.
한편 2분기 S&P500 기업의 순이익은 +9.1% YoY로, 어닝 시즌 전 시장이 예상한 +2.8%를 크게 웃돌았다. 이미 67%의 기업이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무려 83%가 컨센서스를 상회했다.
국제 금융시장 동향
유럽 Euro Stoxx 50 지수는 +0.16%,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45%, 일본 닛케이225는 +0.60% 각각 상승 마감했다.
미 재무부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1.2bp 올라 4.222%를 기록했다. 이날 420억 달러 규모 10년물 국채 입찰에 따른 공급 부담과 주식시장 위험선호 확대가 채권 가격을 압박했다. 다만 카시카리 총재의 비둘기파적(통화 완화 지지) 발언이 낙폭을 제한했다.
유로존 국채 금리는 엇갈렸다. 독일 10년물 분트 금리는 2.640%(+1.6bp), 영국 10년물 길트 금리는 4.515%(-0.2bp)였다. 유로존 6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3% 증가해 예상치에 부합했지만, 독일 6월 공장수주는 -1.0% 감소해 5개월 만의 최저치로 돌아섰다.
유럽중앙은행(ECB) 홀츠만 총재는 “현재로선 추가 금리 인하 명분이 없으며, 미국 등 역외 경제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 선물시장은 9월 ECB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13%로 반영하고 있다.
주요 종목 움직임
◆ 상승 종목
• Astera Labs (+29%) — 2분기 매출총이익률이 76%로 시장 예상(74%)을 상회.
• RingCentral (+26%) — 2분기 조정 EPS 1.06달러(컨센서스 1.02달러)∙연간 가이던스 상향.
• Shopify (+19%) — 2분기 매출 26억8천만 달러(예상 25억5천만 달러).
• Apple (+4%) — 트럼프 대통령의 ‘국내 제조 1천억 달러 추가 투자’ 언급 호재.
◆ 하락 종목
• Super Micro Computer (-20% 이상) — 4분기 매출 57억6천만 달러(예상 60억1천만 달러).
• AMD (-8% 이상) — 2분기 조정 EPS 0.48달러(예상 0.49달러)·중국 매출 가이던스 불확실.
• Vertex (-23%) — 2분기 소프트웨어 구독 매출 1억5,780만 달러(예상 1억5,890만 달러)∙연간 매출 전망 하향.
• Snap (-18%) — 2분기 매출 13억4천만 달러(예상 13억5천만 달러).
• Coca-Cola Europacific (-8% 이상) — 연간 매출 성장률 가이던스 3~4%로 하향.
그 외 Assurant(+9%), Global Payments(+6%), Emerson Electric(-7%), Kemper(-22%), Walt Disney(-3% 이상) 등이 두드러졌다.
출시 예정 실적(8월 6일)
숙박 플랫폼 Airbnb, 보험사 AIG, 에너지 기업 Occidental Petroleum, 맥도날드, 우버 등 다수 기업이 장 마감 후 실적을 공개할 예정이다.
용어 설명*초보 투자자 참고
E-mini 선물은 S&P500·나스닥100 등 주요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소형 선물계약이다. 표준 선물보다 계약 규모가 작아 개인 투자자 접근성이 높다.
bp(베이시스포인트)는 1bp = 0.01%를 뜻한다. 예컨대 ‘-6bp’는 금리가 0.06%p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FOMC는 연방준비제도(연준)의 통화정책결정기구로, 연 8회 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컨센서스는 증권사∙리서치기관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전망치다.
단위 노동비용은 노동 1단위 생산에 들어가는 비용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의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본 기사는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이며, 특정 종목 매수·매도 추천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