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 기대에 미 증시 상승 마감

미국 증시가 기업 실적에 대한 낙관론 속에 상승 마감했다. S&P 500 지수($SPX)(SPY)는 +0.26% 올랐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I)(DIA)는 +0.09% 상승했다. 나스닥 100 지수($IUXX)(QQQ)는 +0.48% 올라 기술주 강세를 재확인했다. 선물시장에서는 12월물 E-미니 S&P 선물(ESZ25)이 +0.27%, 12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NQZ25)이 +0.44% 각각 상승했다.

2025년 11월 3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상승을 견인한 핵심 동력은 호실적과 가이던스 상향이었다. 아마존닷컴(AMZN)이 +9% 이상 급등하며 메가캡 기술주 전반을 끌어올렸다. 아마존은 3분기 순매출이 1,801억7,000만 달러로 컨센서스(1,778억2,000만 달러)를 상회했고, 4분기 순매출 전망을 2,060억~2,130억 달러로 제시해 중간값이 컨센서스(2,084억5,000만 달러)를 웃돌았다. 웨스턴디지털(WDC) 역시 1분기(회계연도 기준) 순매출이 28억2,000만 달러로 예상(27억3,000만 달러)을 넘어서며 +8% 이상 상승했다. 전체적으로 S&P 500 구성 종목 가운데 60% 이상이 3분기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80%+가 시장 예상치를 넘어서는 등 광범위한 어닝 서프라이즈가 확인됐다.

참고로 바차트는 정오 브리핑 뉴스레터를 통해 시장 중간 점검을 제공하고 있다. 20만 명이 넘는 구독자가 확인하는 정기 콘텐츠로 소개됐다.

주목

경제지표도 위험자산 심리를 뒷받침했다. 10월 MNI 시카고 PMI는 전월 대비 +3.2포인트 상승한 43.8을 기록해, 시장 예상치(42.3)를 상회했다. 확장/위축의 기준선 50 아래이긴 하나 예상보다 견조한 개선으로 평가됐다.

연준 인사들의 매파적(긴축 선호) 발언은 상승폭을 제약하는 요소로 작용했다. 캔자스시티 연은 제프 슈미드(Jeff Schmid) 총재는 수요일의 연준 25bp 금리 인하에 반대표를 행사한 이유로 “노동시장은 대체로 균형에 있고, 경제는 모멘텀을 이어가며,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너무 높다”라고 밝혔다. 댈러스 연은 로리 로건(Lorie Logan) 총재는 “이번 주 금리를 인하할 필요를 보지 못했으며, 12월에도 명확한 인플레이션 둔화나 노동시장 냉각 증거가 없다면 추가 인하를 단행하기 어렵다”고 언급했다. 클리블랜드 연은 베스 해먹(Beth Hammack) 총재도 “인플레이션을 목표로 되돌리기 위해 어느 정도 제약적 스탠스를 유지해야 하므로, 이번 FOMC에서 금리를 동결하는 편을 선호했다”고 말했다.

핵심 인용
• 제프 슈미드: “노동시장은 대체로 균형, 경제는 모멘텀 지속,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다.”
• 로리 로건: “12월 추가 인하에는 더 빠른 물가 둔화 또는 노동시장 냉각의 분명한 증거가 필요하다.”
• 베스 해먹: “목표 인플레이션 복귀를 위해 제약적 정책의 유지가 필요하다.”

금리전망에서 시장은 12월 9~10일 FOMC에서 또 한 차례 -25bp 인하가 이뤄질 확률을 64%로 반영했다. 또한 현행 유효연방기금금리 3.88%에서 2026년 말까지 총 82bp 인하가 진행돼 3.06%에 이를 것으로 가격에 반영되고 있다.


통상 관계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관세 휴전 연장, 수출통제 완화, 기타 무역장벽 축소에 합의한 점이 위험선호를 지지했다. 미국은 중국산 물품 중 펜타닐 관련 품목에 대한 관세를 20%→10%로 낮추고, 일부 상호보복 관세의 일시 중지를 1년 더 연장한다. 중국은 미국산 대두·수수 등 농산물의 구매를 재개한다. 합의에는 중국의 희토류 자석 통제 일시 중지와 맞바꾸어, 미국이 중국 기업에 대한 제한 확대의 일부 롤백을 추진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주목

실적 시즌은 전반적으로 견조하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S&P 500 기업의 약 80%가 지금까지 예상치를 상회해 2021년 이후 가장 강한 분기로 갈 가능성이 커졌다. 다만 3분기 이익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7.2%로, 최근 2년 중 가장 낮은 증가폭이 예상된다. 3분기 매출 성장률도 +5.9% y/y로 2분기(+6.4%) 대비 둔화가 점쳐진다.

법적 변수로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합법성에 대한 연방대법원의 구두변론이 11월 5일 예정돼 있다. 하급심은 이미 이 관세가 위기 권한에 대한 허술한 주장에 근거해 불법이라고 판단했다. 대법원이 이를 유지하고 관세를 무효화할 경우, 미국 정부는 이미 징수한 상호관세를 환급해야 하며, 대통령의 관세 부과 권한은 정당한 무역법 조항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최종 판결은 2025년 말~2026년 초 발표가 예상된다.

연방정부 셧다운5주 차에 접어들어 시장심리와 실물경제를 짓누르고 있다. 셧다운으로 주간 실업수당 청구, 9월 고용·비농업부문, 8월 무역수지, 9월 소매판매, 9월 PPI, 9월 주택착공, 9월 산업생산, 9월 선행지표 등 핵심 통계의 공표가 지연되고 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이번 셧다운으로 64만 명의 연방정부 인력이 무급휴직(furlough)에 놓일 것으로 추정하며, 이는 실업수당 청구 증가실업률 4.7%로의 상승 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본다.

해외 증시는 혼조 마감했다. 유로스톡스 50은 -0.65% 하락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81% 하락했다. 반면 일본 닛케이225는 사상 최고치 경신과 함께 +2.12% 급등 마감했다.


금리·채권에서는 12월물 미 10년물 국채선물(ZNZ5)이 -1틱 하락했고, 10년물 금리는 -0.2bp 내린 4.095%를 기록했다. 주가 강세로 안전자산 수요가 둔화된 데다, 연준 매파 발언이 채권 가격에 부담을 줬다. 10년물 기대인플레이션(BEI)은 2.312%2주 고점을 기록해 명목채권에는 약세 요인으로 작용했다.

다만 장 중 후반에는 안전자산 수요가 유입됐다. 마이애미 헤럴드미국이 베네수엘라의 군사 시설을 공격하기로 결정했으며 언제든 실행할 수 있다고 보도했고, 이에 T-노트는 낙폭 대부분을 만회했다.

지속 중인 미 정부 셧다운추가 일자리 상실과 소비 둔화를 통해 경기 약화를 유발할 수 있어, 연준의 추가 금리인하 여지를 넓힌다는 기대가 채권 가격의 하방을 방어하는 배경으로 거론된다.

유럽 금리는 동반 하락했다. 독일 10년물 분트금리는 -1.0bp 하락한 2.633%, 영국 10년물 길트금리는 -1.4bp 하락한 4.409%였다. 유로존 10월 소비자물가(CPI)는 +2.1% y/y(9월 +2.2%)로 예상치에 부합했고, 근원 CPI는 +2.4% y/y로 예상(+2.3%)을 소폭 상회했다. 독일 9월 소매판매는 +0.2% m/m, +2.8% y/y로 컨센서스(+0.2%, +2.7%)를 소폭 상회했다.

스왑시장은 12월 18일 차기 회의에서 ECB의 -25bp 인하 확률을 4%로 반영 중이다.


종목별 동향(미 증시)

아마존닷컴(AMZN)+9% 이상 급등했다. 3분기 순매출 1,801억7,000만 달러(컨센서스 1,778억2,000만 달러 상회), 4분기 순매출 가이던스 2,060억~2,130억 달러(중간값이 컨센서스 2,084억5,000만 달러 상회)를 제시했다.

브라이트하우스 파이낸셜(BHF)+25% 이상 급등했다. 파이낸셜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아쿠아리안 홀딩스가 인수 협상을 막바지 단계에서 진행 중이다.

트윌리오(TWLO)는 4분기 매출 131억~132억 달러 전망을 제시해 컨센서스(129억 달러)를 상회하며 +20% 이상 올랐다.

클라우드플레어(NET)는 연간 매출 전망을 214억 달러로 상향(이전 211억~212억 달러, 컨센서스 212억 달러)하며 +14% 이상 상승했다.

웨스턴디지털(WDC)은 1분기 순매출 28억2,000만 달러(컨센서스 27억3,000만 달러 상회) 발표 후 +8% 이상 상승했다.

레딧(RDDT)은 3분기 일간활성이용자(DAU) 1억1,600만 명을 발표, 컨센서스(1억1,416만 명)를 넘어 +8% 이상 올랐다.

코인베이스 글로벌(COIN)은 3분기 총매출 18억7,000만 달러(컨센서스 18억 달러 상회)로 +5% 이상 상승했다.

고대디(GDDY)는 3분기 매출 13억 달러(컨센서스 12억3,000만 달러 상회)를 발표하고, 연간 매출 전망을 49억3,000만~49억5,000만 달러(이전 48억9,000만~49억4,000만 달러)로 상향해 +5% 이상 상승했다.

덱스콤(DXCM)은 연간 조정 매출총이익률 전망을 62%→61%로 하향(컨센서스 61.8% 하회)하며 -14% 이상 급락, S&P 500·나스닥 100 하락 종목 중 낙폭이 가장 컸다.

모토로라 솔루션즈(MSI)는 4분기 조정 EPS 4.30~4.36달러 가이던스를 제시, 중간값이 컨센서스(4.35달러)를 소폭 하회해 -5% 이상 하락했다.

아서 J 갤러거(AJG)는 3분기 매출 33억3,000만 달러(컨센서스 34억9,000만 달러 하회) 발표 후 -4% 이상 내렸다.

잉가솔랜드(IR)는 연간 조정 EPS 전망을 3.34~3.46달러에서 3.25~3.31달러로 하향하며 -3% 이상 약세였다.

박스터 인터내셔널(BAX)은 아거스 리서치가 투자의견을 매수→보류로 하향해 -3% 이상 하락했다.

FMC(FMC)는 웰스파고 시큐리티즈가 투자의견을 비중확대→비중유지로 하향하며 -2% 이상 약세를 보였다.


실적 발표 예정(11/3/2025): 클로락스(CLX), 코테라 에너지(CTRA), 다이아몬드백 에너지(FANG), 이스트만 케미컬(EMN), 홀로직(HOLX), 아이덱스 래버러토리스(IDXX), 로우스(L), 온 세미컨덕터(ON),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LTR), 피나클 웨스트 캐피털(PNW), 퍼블릭 서비스 엔터프라이즈 그룹(PEG), 리얼티 인컴(O), SBA 커뮤니케이션즈(SBAC), 사이먼 프로퍼티 그룹(SPG), 버텍스 파마슈티컬스(VRTX), 윌리엄스(WMB).


면책 및 고지: 보도 시점 기준으로 작성자 리치 애스플런드(Rich Asplund)는 본 문서에 언급된 유가증권에 대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보유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 본 기사에 포함된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다. 본 보도의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 개인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반영하지 않는다. 관련 바차트 공시정책을 통해 세부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고 전했다.


용어 설명 및 맥락

E-미니 선물: 표준 선물 대비 계약 규모를 줄인 지수선물로, 유동성이 풍부하고 야간에도 거래돼 현물지수의 방향성을 가늠하는 지표로 널리 쓰인다.
PMI(구매관리자지수): 50을 기준으로 그 이상이면 경기 확장, 이하면 위축으로 본다. MNI 시카고 PMI는 중서부 제조업 동향을 반영한다.
BEI(브레이크이븐 인플레이션): 명목국채 금리에서 물가연동국채(TIPS) 금리를 뺀 값으로, 시장의 평균 기대 인플레이션을 가늠하는 지표다.
bp(베이시스 포인트): 1bp는 0.01%p를 의미한다. 25bp는 0.25%p다.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s): 상대국의 관세율에 맞춰 동일하거나 유사한 수준의 관세를 부과하는 조치다. 현재 합법성을 두고 미 연방대법원 심리가 예정돼 있다.
무급휴직(Furlough): 정부 셧다운 등으로 인해 인력이 일시적으로 급여 없이 휴직 상태가 되는 것을 뜻한다.


해석과 시사점

이번 상승장은 실적 모멘텀매크로 불확실성이 교차하는 국면에서 나타났다. 대형 기술주, 특히 아마존의 실적 서프라이즈가 성장주 전반의 리레이팅을 자극했으며, S&P 500의 높은 ‘어닝 비트’ 비율은 펀더멘털의 저변이 아직 견조함을 시사한다. 반면 연준 인사들의 매파적 경계, 정부 셧다운 장기화, 대법원 통상 판결과 같은 정책·정치 리스크는 프리미엄을 요구하는 변수로 남아 있다. 금리 측면에서 12월 추가 인하 기대가 잔존하나, 물가 둔화의 명확한 증거 없이는 속도 조절 가능성이 크다. 해외에서는 일본의 신고가 행진과 달리 유럽·중국의 약세가 엇갈리며, 지역별 차별화가 심화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실적 발표, 연준 발언, 셧다운 경과가, 중기적으로는 대법원 관세 판결과 무역정책이 밸류에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