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 CBOT 소이빈 시황] 22일(현지시간) 오전 장 중 시카고상품거래소(CBOT) 소이빈(대두) 선물 가격이 혼조세를 보였다. 근월물인 8월물은 약 2센트 내렸으나, 신곡물(11월물 이후)은 전장 대비 1센트 이상 상승하며 플러스권을 회복했다.
2025년 7월 22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전일(21일) 대두 선물은 9~13센트 하락 마감했으며, 예비 미결제약정(Open Interest)은 1,685계약 증가해 새로운 매도세 유입을 시사했다.
Barchart가 집계한 전미 평균 신곡물 현물 가격은 이날 부셸당 9.77¾달러로 0.5센트 올랐다. 소이밀(Soymeal) 8월물은 t당 2.10~2.50달러 상승한 반면, 재생디젤 원료로 쓰이는 소이오일(Soy Oil)은 에너지 시장 약세에 25~30포인트 떨어졌다. 같은 시각 8월물 서부텍사스산 중질유(WTI)는 배럴당 1달러 가까이 밀렸다.
■ USDA 작황 진도 및 등급
미국 농무부(USDA)가 21일(월) 오후 발표한 주간 작황진도 보고서에 따르면, 미 대두밭의 62%가 개화, 26%가 꼬투리 형성 단계에 진입했다. 작황 등급 ‘양호/우수(G/E)’ 비중은 전주 대비 2%p 낮아진 68%로 나타났다. 브루글러 애그리비즈(Brugler AgriViz)가 산출하는 Brugler500 지수도 2포인트 떨어진 373을 기록했다.
아이오와주의 작황은 80%가 ‘양호 이상’ 평가를 받았으나, 미시시피강 동쪽 주(州)들은 60% 이하로 집계됐다. 주간 변동 폭으로는 노스다코타·캔자스가 가장 크게 악화됐고, 오하이오·사우스다코타가 소폭 개선됐다.
〈용어 설명〉 ※Brugler500은 0~500점으로 작황을 평가하는 민간 지수로, 수치가 높을수록 생육 상태가 좋음을 의미한다.
■ 수출 물량
USDA가 17일(주간) 기준 발표한 대두 수출 검사량은 364,990 t으로 전년 동기(338,255 t) 대비 소폭 증가했고, 직전 주(수정 후 151,346 t)보다는 급증했다.
■ 개별 선물·현물 호가(정오 기준)
· 2025년 8월물 10.13¼달러(▼1.75센트)
· 전미 평균 현물(근월) 가격 9.76달러(▼1센트)
· 2025년 9월물 10.09½달러(▼1센트)
· 2026년 1월물 10.44½달러(▲0.75센트)
· 신곡물 현물 9.77½달러(▲0.25센트)
기사 작성자 Austin Schroeder는 해당 종목에 대해 직접적·간접적 투자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으며, 본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이다.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이다.
■ 기자 해설 및 시사점
최근 국제 곡물 시장은 에너지 가격, 기상 여건, 미·중 무역 흐름 등 기저 요인에 따라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남미 주요 산지의 기후 리스크와 높아진 미결제약정은 단기 가격 변동을 증폭시킬 가능성이 있다. 거래자는 USDA 주간 수급 데이터와 브루글러500 등 민간 지표를 함께 참고해 헤지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