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APEC 정상회의】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이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을 향해 “시대가 turbulent(혼란)할수록 우리는 더욱 단결해야 한다”며 공급망 안정과 자유무역 수호를 거듭 촉구했다.
2025년 10월 31일, CNBC뉴스 보도에 따르면, 시 주석은 부산에서 열리고 있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1차 세션 연설에서 “다자무역체제 수호·개방적 경제 환경 구축·공급망 안정 유지·녹색·디지털 무역 촉진·포용적 성장” 등 다섯 가지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연설 하루 전인 30일, 시 주석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2019년 이후 처음으로 회담을 갖고, 상호 1년간 관세 완화에 합의했다. 미국은 중국산 제품 관세를 10%p 인하했고, 중국은 희토류(稀土類, rare earths)*1 수출을 허용하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귀국했지만, 시 주석은 정상회의 일정을 소화하며 다각적 무역 협력을 호소했다.

■ 공급망 ‘연결’ 강조, 미국 ‘리쇼어링’ 기조와 충돌 가능성
시 주석은 “
공급망을 끊는 것이 아니라 연장해야 한다
”고 역설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리쇼어링(Reshoring)*2 정책―제조기지를 미국 본토로 되돌리는 전략―과 상충할 여지가 있다. 그는 또 “중국의 발전과 부흥은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재건(Make America Great Again)’ 비전과 보조를 맞춘다”고 언급하며 협력 가능성을 시사했다.
지난 20여 년간 중국은 세계 제조업 부가가치의 약 27%를 차지하며 ‘세계 공장’ 위상을 굳혔다. 하지만 인건비·관세 상승으로 중국 기업의 공장이 아시아 여러 지역으로 분산됐고, 현지 수요 또한 증가했다. 동시에 미·중 간 ‘관세 전쟁’이 본격화되자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은 중국의 최대 교역 파트너로 부상했다.
희토류는 스마트폰, 전기차 배터리, 국방 장비 등에 필수적인 17개 금속 원소 집합체다. 중국은 세계 희토류 공급의 약 60%를 담당해 ‘희토류 지배력’을 갖는다. 이번 합의는 미국 제조업의 공급망 리스크를 완화하는 일종의 ‘보험’ 성격을 지닌다.
■ 미·중 ‘불안정 휴전’… 전문가들 “장기전 예고”
전(前) 주중 미국 대사 니컬러스 번스는 CNBC ‘스쿼크박스’ 인터뷰에서 이번 합의를
“여전히 뜨거운 무역 전쟁 속 ‘불안정한 휴전’
”이라 평가했다. 그는 “관세 일부를 바로 철회한 것이 아니라 1년 유예를 택한 점에서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월에도 ‘메이드 인 아메리카 주간’을 선포하며 자국 내 일자리 확대를 강조했고, 베트남·멕시코 등 제3국 경유 중국산 물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해 ‘우회 수출’ 단속에 나섰다.
■ 중국 “더 열리겠다”… 3분기 대외투자 1위 지역은 ‘아시아’
시 주석은 “중국 시장의 문은 더 넓게 열릴 것”이라며 아·태 국가들에 공동 번영을 제안했다. 민간 싱크탱크 로듐그룹(Rhodium Group)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중국의 해외 투자액은 총 154억 달러(약 20조 8,000억 원)로, 팬데믹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데이터센터·배터리 소재 등 첨단 부문 투자가 두드러졌다.
이는 중국 정부가 ‘디지털 경제’와 ‘녹색 전환’을 국가 핵심 전략으로 제시한 것과 궤를 같이한다. 시 주석은 연설에서 “녹색·디지털 무역은 미래 성장 동력”이라며, 관련 국제 규범 마련을 제안했다.
■ 용어 풀이 및 맥락
*1 희토류(Rare Earths) : IT·전기차·방위산업에 필수적인 17종 금속 원소군. 중국이 세계 최대 생산국이자 정제국으로, 공급 차질은 글로벌 제조업 전반에 큰 파급을 준다.
*2 리쇼어링(Reshoring) : 해외로 이전한 공장을 다시 본국으로 돌리는 전략. 비용 상승·공급망 위험을 줄이고, 일자리를 창출하려는 목적이다.
■ 기자 해설
이번 APEC 정상회의에서 시 주석이 강조한 ‘공급망 연장’은 사실상 중국 중심의 제조 네트워크를 유지·확장하겠다는 전략적 시그널이다. 반면 미국은 ‘리쇼어링’과 ‘친미 공급망(프렌드쇼어링)’으로 맞서고 있다. 두 강대국 모두 ‘경제 안보’를 앞세우는 가운데, 기업들은 다변화·국지화·공급망 투트랙 전략을 채택할 수밖에 없는 형국이다.
향후 1년간 관세 완화가 실질 교역 회복으로 이어질지, 혹은 재협상·재보복 국면으로 회귀할지는 2026년 미 대선과 중국의 내수 회복 속도에 달려 있다. 다국적 기업은 통상 리스크 관리를 강화해야 하며, 특히 반도체·배터리 등 전략 품목은 정치 리스크 프리미엄을 감안한 의사결정이 필수적이다.
결국, 시 주석의 메시지는 ‘중국과 손잡으면 기회가 열린다’는 경제 유인과 ‘공급망 단절은 모두에게 손해’라는 구조 논리를 결합한 셈이다. 이는 글로벌 기업·정부에 단순한 ‘중국 떠나기’가 아닌, ‘중국+1’ 이상의 전략적 해법을 요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