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펠, “돌발 경기 둔화가 증시 랠리 종식시킬 것” 경고

미국 월가 투자은행 스티펠(Stifel)“돌발적(突發的) 경기 둔화가 현 주식시장 ‘파티’의 막을 내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스티펠의 토머스 캐럴(Thomas Carroll) 애널리스트와 배리 배니스터(Barry Bannister) 수석전략가는 11일(현지시간) 투자자 노트에서 “1999년 IT버블 당시와 유사한 과열 분위기를 언급하며, 지나치게 확장된 밸류에이션은 잠재적 리스크가 될 수 있다”고 썼다.

2025년 8월 11일, CNBC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두 전략가는 “역사적 경험상 ‘파티’를 깨뜨리는 것은 대체로 급작스러운 경기 둔화”라며 “우리는 2025년 하반기에 그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은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을 예상한다. 스태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률은 높지만 경제성장률과 고용은 부진한 상태가 동시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미 일부 소비지출 부문은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으나, 인공지능(AI) 설비투자(capex) 확대관세 인상 전에 이루어진 ‘선(先)구매’ 효과가 경기 둔화를 감추고 있다고 분석했다.

S&P 500 YTD Chart

저자들은 S&P 500 지수가 4월 7일 장중 저점 대비 30% 이상 상승한 현 상황이 “매우 불편하다(uncomfortable)”고 밝혔다. “경제가 거의 멈춰 서는데 시장만 치솟는 괴리(乖離)”가 심화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들은 “‘밸류에이션은 중요하지 않다’는 믿음이 이어지다가도, 역사적으로는 결국 밸류에이션이 가장 중요한 변수로 돌아온다”며 1929년 대공황 직전, 1999년 닷컴버블, 2021년 팬데믹 유동성 랠리를 사례로 제시했다. 스티펠은 S&P 500이 최근 고점 대비 최대 14%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했고, 연말(2025년) 목표치를 5,500포인트로 제시했다. 이는 연초 대비 6.5% 하락 여지를 내포하며, 월가 컨센서스와 견줘 낮은 편이다.

‘호피움(Hopium)’은 강력한 마약이다. 그러나 우리는 투자자들에게 경기 방어적 가치주(Staples, Healthcare, Utilities, Quality) 비중을 확대하라고 권고한다. 이는 2025년 3분기, 즉 2025년 말 국내총생산(GDP) 둔화 이전 몇 달 안에 찾아올 가능성이 큰 S&P 500 급락에 대비하기 위함이다.”


용어 해설 및 배경

스태그플레이션은 1970년대 초·중반 오일쇼크 당시 처음 부각된 개념으로, 높은 인플레이션경제 저성장·고실업이 동시에 지속되는 역(逆)상관적 경제 상황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통화·재정정책의 정책수단이 제한되기 때문에 시장 변동성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Defensive Value(경기 방어적 가치주)는 필수소비재, 헬스케어, 유틸리티 등 경기 변동에 덜 민감하면서 현금흐름이 안정적인 기업을 통칭한다. 금리 상승 및 경기 둔화 시기에 포트폴리오 방어수단으로 활용된다.

Hopium은 ‘희망(Hope)’과 ‘아편(Opium)’을 합성한 속어로, 근거 없는 낙관론에 취해 위험을 간과하는 투자자 심리를 비판할 때 쓰인다.


기자 분석

현 시점에서 시장 참여자들이 주목해야 할 핵심 변수는 두 가지다. 첫째,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경로다. 높은 밸류에이션 부담 속에서 추가 긴축이 단행될 경우 변동성은 배가될 수 있다. 둘째, AI 캡엑스와 소비 둔화의 미묘한 균형이다. AI 인프라 투자에 힘입어 일부 대형 기술주는 견조하지만, 가계의 실질 구매력은 인플레이션으로 갉아먹히고 있다. 이는 스티펠이 지적한 ‘가려진 둔화’(masked slowdown)의 핵심 요인이기도 하다.

또한 미국 대선이 예정된 2026년을 감안하면, 정책 불확실성 역시 시장 변동성을 키울 소지가 있다. 연준이 완화 시그널을 보내더라도 재정정책의 방향은 아직 베일에 가려져 있기 때문이다. 최근 30% 넘게 오른 S&P 500의 기술적 과열 지표, 그리고 옵션 시장의 풋-콜 비율 저점이 동반된 점을 고려할 때, 중장기적 방어 포지션 구축이 합리적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결국 투자자들은 ‘호피움’ 쇼크에 대비해 현금 및 방어적 자산 비중을 늘리고, 밸류에이션·유동성·정책 변수를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이는 1999년 IT버블 붕괴와 2021년 고평가 조정이 남긴 교훈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