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퍼드대학교(Stanford University)가 예산 축소를 이유로 363명의 직원을 해고했다고 공식 확인했다. 학교 측은 해고 원인으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행정부의 연방 지원금 정책을 지목하며, 고등교육 재정 환경이 급격히 악화됐다고 설명했다.
2025년 8월 6일, 로이터(Reuters) 통신 보도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스탠퍼드대는 지난주 여러 단과대학·행정부서에서 감원 조치를 단행해 총 363명의 직원이 일자리를 잃었다고 밝혔다. 학교 대변인은 이메일 성명을 통해 “스탠퍼드는 현재 예산 삭감 단계에 있으며, 그 일환으로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이 불가피했다”고 말했다.
대학 측은 이미 6월에도 “향후 회계연도 일반기금 예산을 1억4,000만 달러(약 1,887억 원) 줄인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학교는 당시에도 “고등교육을 둘러싼 도전적 재정 환경 대부분이 ‘연방 정책 변화’에서 비롯된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행정부, 대학 지원금 중단·동결 사례 확산
트럼프 행정부는 △친팔레스타인 시위 △기후변화 대응 프로그램 △트랜스젠더 정책 △다양성·형평성·포용(DEI) 프로그램 등을 이유로, 관련 활동이 있는 대학에 대한 연방 자금 중단 가능성을 수차례 경고해 왔다.
“대학들이 반이스라엘·반유대주의적 분위기를 방치했다”는 것이 행정부의 공식 입장이다.
지난주에는 UCLA(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가 같은 이유로 3억3,000만 달러 이상의 연방 자금을 동결당했다.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UCLA가 동결 해제를 위해 행정부와 협상을 준비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보다 앞서 컬럼비아대학교(Columbia University)는 2억2,000만 달러, 브라운대학교(Brown University)는 5,000만 달러를 각각 지불하며 정부 조사와 합의했다. 하버드대학교(Harvard University)는 아직 협상이 진행 중이다.
해고 규모·영향 분석
스탠퍼드대가 밝힌 363명 해고는 학교 직원 수(약 16,000명) 대비 2%가량이지만, 단기간 내 이뤄졌다는 점에서 파급력이 크다. IT·기술지원·행정·연구보조 부문 등에 집중된 것으로 알려졌다.
노동시장 전문가는 “캘리포니아 실리콘밸리 일대에서 고학력 전문직 일자리 감소가 이어질 경우 지역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진단했다.
학내·외 반응 및 학문적 자유 논란
인권단체와 학계 인사들은 연방정부가 재정 압박을 통해 ‘학문·표현의 자유’를 제약한다는 우려를 제기한다. 반면 행정부는 “반유대주의를 용인하는 캠퍼스를 바로잡기 위한 조치”라며 책임을 학교 측에 돌리고 있다.
특히 팔레스타인 지지 시위와 유대인 학생 보호 사이의 갈등은 언론·법조계·정치권으로까지 확산 중이다.
민권단체 “이스라엘 군사행동 비판 = 반유대주의 라는 등식은 위험한 일반화”
용어 해설: DEI, 연방 예산 동결
DEI(Diversity·Equity·Inclusion) 프로그램은 인종·성별·성적지향 등 다양한 배경을 포용해 공정한 교육·고용 환경을 조성하려는 미국 대학들의 정책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해당 프로그램이 “정치적 편향”을 조장한다고 주장해 왔다.
연방 예산 동결(funding freeze)은 이미 배정된 금액의 집행을 중지하거나 예정된 자금 지원을 유예하는 행정 명령이다. 대학들은 연구비·학생지원금을 잃을 위험이 있어 재정 압박이 극심해진다.
전망 및 전문가 의견
고등교육 재정 전문가들은 “연방정부와 대학 간 법적·정치적 갈등이 향후 몇 년간 이어질 가능성”을 높게 본다. 또한 대규모 사립대학뿐만 아니라 중소 규모 공립대학으로도 자금 압박이 확산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스탠퍼드대 노조 관계자는 “현재로선 추가 해고를 피할 수 있는 장담이 없다”고 밝혔으며, 대학 측은 “재정 구조조정이 끝날 때까지 지출 전반을 재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결국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기조 변화가 고등교육계와 연방정부 간 힘겨루기로 이어지면서, 스탠퍼드대 직원 해고는 ‘첫 번째 경고탄’에 불과하다는 관측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