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링크, 전 세계적 네트워크 대규모 장애 발생…머스크 “근본 원인 재발 방지하겠다”

스페이스X가 운영하는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Starlink)가 25일 새벽(한국 시각) 전 세계적인 네트워크 장애를 겪었다. 다운디텍터(Downdetector)에는 수만 건의 접속 불가 신고가 동시다발적으로 올라오며 서비스 중단 사실이 확인됐다.

2025년 7월 24일, 로이터 통신인베스팅닷컴 등 주요 외신 보도에 따르면, 스타링크 측은 자사 공식 X(구 트위터) 계정을 통해 “현재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했으며 적극적으로 복구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모니터링 플랫폼 다운디텍터에서는 최대 6만 1,000건 이상의 장애 신고가 동시에 접수됐다.1 이 사이트는 각종 온라인 서비스의 실시간 장애 현황을 집계·시각화하는 곳으로, 이용자 제보와 ISP 트래픽 변동 등을 종합해 장애 규모를 추정한다.


서비스는 곧 복구될 것이며, 스페이스X는 이번 사태의 근본 원인을 제거해 재발을 방지하겠다.” — 일론 머스크, X(구 트위터)

인터넷 분석 기업 켄틱(Kentik)의 더그 매도리(Doug Madory) 연구원은 “미 동부 표준시로 오후 3시 13분경 스타링크 트래픽이 사실상 ‘전면 중단(total outage)’ 상태에 빠졌다가, 5시 28분경 일부 회선이 서서히 복구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장애가 “지리적 제한 없이 전 세계적으로 동시 발생한 드문 사례”라고 평가했다.

스타링크는 전 세계 600만 명 이상의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으며, 스페이스X는 2020년 이후 8,000기 이상의 소형 통신 위성을 쏘아 올려 140여 개국·지역에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현재 회사의 주력 과제는 ‘위성-휴대폰 직접 연결(Direct-to-Cell)’ 사업 확대다. 이를 위해 기존보다 더 크고 강력한 신형 위성을 추가 배치해 속도와 대역폭을 끌어올리고 있다.

스타링크 네트워크 장애, 왜 드문가?
통상 위성 인터넷은 지상 기지국과 달리 광범위한 위성 군집(콘스텔레이션)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정 위성 한두 기가 문제가 생겨도 다른 위성이 자동으로 트래픽을 우회해 장애를 최소화한다. 따라서 전면 중단이 발생하려면 위성 간 링크 제어 소프트웨어지상 관제 네트워크에 근본적인 결함이 생겼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문가들은 본다.

코넬대학교 우주·사이버보안 연구실장 그레고리 팰코(Gregory Falco) 교수는 “잘못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환경에서 전 세계 항공편 결항을 야기했던 2024년 크라우드스트라이크(CrowdStrike) 업데이트 사고를 사례로 들었다. 그는 또 한편으로 “대규모 사이버 공격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언급했지만, 이번 기사 작성 시점까지 구체적 해킹 정황은 확인되지 않았다.


관련 용어 해설
다운디텍터(Downdetector): 전 세계 인터넷·모바일·게임 서비스의 장애 신고를 실시간 집계해 그래프로 보여주는 웹사이트이다.
Direct-to-Cell: 위성을 통해 휴대전화가 지상 기지국 없이 직접 통신하도록 하는 차세대 기술로, 오지·해상·재난 지역에서도 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산업적 함의와 전망
스타링크 이용자는 재난 대응·국방·원격 산업 현장 등 임계 통신 수요가 높은 분야에 집중돼 있다. 이번 전면 장애는 위성 인터넷의 신뢰성을 재검증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원인 분석 및 재발 방지 프로세스가 투명하게 공유되지 않을 경우, 규제 당국과 B2B 고객의 신뢰가 흔들릴 수 있다”고 지적한다. 반면 빠른 복구와 상세한 후속 설명이 이뤄질 경우, 연결성 강화를 위한 추가 투자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아울러 스페이스X는 2025년 하반기부터 스타십(Starship) 초대형 발사체를 활용해 1만 기 이상의 차세대 위성을 순차 배치할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초대형 위성망은 대역 안정성을 크게 높이지만, 운영 소프트웨어의 복잡성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점을 동시에 경고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번 네트워크 장애는 기술·규제·보안 측면에서 위성 통신 산업의 성장통이 될지, 혹은 ‘단발성 사고’로 그칠지 주목된다.

※ 각주
1 다운디텍터 기준 2025년 7월 24일 오후 4시 10분(미 동부) 집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