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더스트 파워, 美 리튬 공급 확보 소식에 주가 15% 급등

스타더스트 파워(Stardust Power Inc., 나스닥: SDST) 주가가 전략적 리튬 공급 확보 소식에 15% 급등했다. 회사는 Mandrake Resources Limited와의 합의를 통해 매년 리튬 염화물 7,500메트릭 톤미국 유타주(Utah)의 Utah Lithium Project에서 공급받는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이번 합의는 미국 내에서 조달되는 원료를 바탕으로 한 국내 리튬 공급망 구축 전략의 핵심 단계로 평가된다.

2025년 11월 3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양사가 체결한 문서는 비구속적 LOI(의향서)로, 12년 기본 공급 조건에 6년 옵션연장을 포함해 최대 18년 동안 미국산 리튬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다. 공급되는 리튬 염화물은 오클라호마주 머스코기(Muskogee)에 위치한 스타더스트 파워의 가공 시설로 직접 투입돼, 회사가 추진하는 완전 통합형 미국 리튬 공급망 구상에 실질적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스타더스트 파워의 공동 창립자이자 최고기술책임자(CTO) 파블로 코르테고소(Pablo Cortegoso)는 이번 합의가 회사의 지향점과 맞닿아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음과 같이 밝혔다.

주목

“Mandrake의 Utah Lithium Project와 우리가 구상하는 미국 내 완전 통합 리튬 공급망 사이에는 강한 전략적 정합성이 존재한다. 특히 프로젝트의 규모와 기존 인프라 접근성이 두드러진다.”


이번에 언급된 Utah Lithium Project파라독스 분지(Paradox Basin) 북부에 위치해 있으며, 리튬 카보네이트 환산(LCELithium Carbonate Equivalent) 기준 330만 톤 규모의 추정 자원(Inferred Resource)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이 광산지는 주요 운송망과의 근접성을 갖춰, 머스코기 항(Port of Muskogee) 인근의 스타더스트 파워 시설로의 운송이 비교적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전했다.

스타더스트 파워는 중앙집중식 정제소 모델을 통해 여러 공급원에서 유입되는 다양한 염화물 원료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고 강조했다. 회사는 현재 인허가(permitting)부지 정지(site preparation) 작업을 지속 중이며, 최종투자결정(FID)에 이르고 주요 건설을 시작하기 위한 절차를 밟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이번 합의는 아직 비구속적 LOI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최종 매매계약(definitive purchase agreement)의 체결이 유효성의 전제 조건이라는 점이 명시됐다. 즉, 법적 구속력 있는 계약이 확정되기 전까지는 공급 조건이 변경되거나 철회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핵심 개념 해설

주목

비구속적 LOI(의향서): 거래 당사자 간 주요 조건에 대한 합의 의사를 문서화한 것으로, 법적 구속력이 제한적이거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공급 개시를 위해서는 통상 최종 매매계약 체결이 필요하다.

리튬 염화물LCE의 차이: 기사에서의 공급 물질은 리튬 염화물로, 이는 정제 공정의 투입 재료다. 반면 LCE(리튬 카보네이트 환산)은 다양한 리튬 함유 물질의 양을 탄산리튬 기준으로 환산해 비교 가능성을 높인 표준화 지표다. Utah Lithium Project의 330만 톤 수치는 광산의 잠재력 규모를 추정하는 자원량 지표로 이해하면 된다.

추정 자원(Inferred Resource): 국제 광물자원 보고 기준에서 상대적으로 불확실성이 높은 단계의 자원량으로, 추가 시추와 시험을 통해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는 투자 및 개발 의사결정에서 신중함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최종투자결정(FID):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본격적인 자본 투입과 건설 개시를 승인하는 이사회 차원의 결정 단계다. FID 이전에는 인허가, 금융조달, 공급계약 구체화 등 리스크 요인이 남기 마련이다.


산업적 함의와 관전 포인트

이번 사례는 미국 내 배터리 원자재 공급망을 자국 내에서 완결하려는 흐름과 맞물려 있다. 미국 산지에서 채취·가공된 리튬을 오클라호마 정제소로 연결하는 모델은 운송 리스크와 비용을 낮추고, 정치·통상 리스크에 대한 내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다. 더불어 중앙집중식 정제소라는 구조는 다양한 원료선을 믹스해 품질과 수율을 안정화하는 데 유리하며, 공급 충격 발생 시 유연한 소싱을 가능하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OI 단계라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계약의 구속력이 낮고, 가격·물량·품질 명세 등 세부 조항이 최종 매매계약에서 조정될 여지가 있다. 또한 인허가 진척과 부지 공정이 계획대로 이행돼야 FID주요 건설 착수가 가능해진다. 이번 뉴스에 주가가 15% 반응한 것은 미국산 공급선 확보라는 상징성과 사업 구조의 가시성 제고를 반영하지만, 향후 확정 계약 체결과 프로젝트 마일스톤 달성이 실제 실적과 현금흐름 개선으로 이어지는지 점검이 필요하다.


기타: 본 합의는 최종 매매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하며, 해당 조건이 충족돼야 공급이 본격화될 수 있다고 기사 원문은 명시했다.

본 기사는 AI의 지원을 받아 작성됐으며, 편집자의 검토를 거쳤다. 자세한 사항은 매체의 이용 약관(T&C)을 참고하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