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크리스테르손 총리, 우크라이나에 공중 감시·해상 자산 포함 안보 보장 의사 밝혀

스톡홀름 발(Investing.com) — 스웨덴 정부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다국적 안보 보장 체계에 참여해 공중 감시 기능해상 자산을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고 20일 울프 크리스테르손 총리가 밝혔다.

2025년 8월 20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크리스테르손 총리는 스웨덴 공영라디오 SR과의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을 종식하기 위해 결성되는 다국적 연합의 일원으로서 스웨덴은 필요한 범위 안에서 안보 보장을 제공할 용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총리는 특히 스웨덴이 보유한 공중 감시 역량(Air Surveillance Capabilities)해상 자산(Maritime Resources)을 예시로 들며, 이는 우크라이나의 안보 수요를 충족하는 핵심 수단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구체적 지원 수준은 전체적인 요구 사항과 작전에 참여하는 인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결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안보 보장(Security Guarantees)이란 무엇인가

안보 보장은 일반적으로 한 국가 또는 다수 국가가 특정 국가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보호하기 위해 정치·군사·재정적 지원을 약속하는 포괄적 개념이다. 공중 감시의 경우, 장거리 레이다·항공기·위성 이미지 등을 활용해 공역(空域)의 위협을 상시 탐지·추적할 수 있다. 해상 자산은 군함·초계정(哨戒艇)·해군 수송선·무인 수상정(USV) 등이 포함돼 항만 보호·해상 물류로선 안전 확보에 기여한다.

스웨덴은 북유럽에서 항법·센서 기술이 발달한 국가로 평가받는다. 이에 따라 스웨덴이 제공할 수 있는 공중 감시 장비에는 사브(SAAB)사의 조기경보기(예: GlobalEye) 플랫폼, 지상 고성능 AESA 레이다 등이 거론된다*. 다만 크리스테르손 총리는 구체적인 장비 명칭이나 배치 시점은 언급하지 않았다.

“우리는 우크라이나가 필요로 하는 것을 파악하고, 안전을 최우선에 두면서 책임 있게 기여할 방법을 모색할 것이다.” — 울프 크리스테르손 스웨덴 총리


다국적 연합의 맥락

이번 발언은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기 위한 다수 국가의 연합(Coalition) 구성이 가속화되는 흐름과 맞물려 있다. 크리스테르손 총리는 다자 틀 안에서 공동 행동을 강조했으며, 단독 지원이 아닌 협력적 접근을 통해 위험을 분산한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이는 참여국 모두가 공유 지침·위험 관리·책임 범위를 사전에 조율해야 함을 시사한다.

실제로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인해 서방 국가들은 무기 지원 외에도 정보·정찰·감시(Intelligence, Surveillance, Reconnaissance·ISR) 부문의 협력이 절실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스웨덴의 제안은 이러한 정보 분야 공백을 메우는 데 전략적 의미가 큰 것으로 풀이된다.


조건부 지원과 안전 고려

크리스테르손 총리는 “지원 규모와 형태는 현장의 위험 평가(Risk Assessment) 결과에 따라 조정될 것”이라고 언급하며, 참여 인력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반복 강조했다. 이는 국제법·군사 규범을 준수하면서도 비(非)NATO 회원국인 스웨덴이 자국군 파병·장비 제공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대비책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또한 다국적 연합은 임무 규정·지휘 구조·책임 분담 등이 명확해야 하므로, 각국은 합의된 규칙·절차(Rules & Procedures)를 따르게 된다. 스웨덴 역시 이러한 조건 아래서만 실질적 자산을 투입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셈이다.


용어 해설: 공중 감시(Air Surveillance)·해상 자산(Maritime Resources)

공중 감시는 전투기·조기경보통제기(AEW&C)·무인기 등을 이용해 영공·접경 지역의 항공 움직임을 실시간 탐지·식별하는 활동이다.
해상 자산은 군사적·비군사적 해상 플랫폼을 통칭하며, 전투함뿐 아니라 수색·구조선, 병참 지원선도 포함된다.
● 양 개념 모두 전장 상황 인식을 강화해 전략적 의사 결정을 지원한다.


전문가 해설 및 시사점

이번 크리스테르손 총리의 발언은 스웨덴이 우크라이나 지원 ‘인도적·군사적 스펙트럼’을 확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정보·정찰 영역은 물자 지원보다 비교적 빠르게 운용이 가능해 즉각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또한 ‘조건부 참여’를 명확히 함으로써 스웨덴은 자국군 안전을 보장하는 한편, 국제사회 규범에 부합하는 ‘책임 있는 파트너’ 이미지를 강화한다.

향후 다국적 연합 내에서 세부 임무 범위·법적 지위·지휘 통제가 조율되면, 스웨덴의 공중 감시 플랫폼 배치 여부가 조기에 가시화될 가능성이 있다. 이는 우크라이나의 방공·해상 교통로 보호 역량을 한층 보강하고, 전선을 넘어선 상시 정보 우위를 뒷받침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구체적 자산·인력 규모·배치 지역 등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으며, 스웨덴 의회의 승인 절차 및 국제 파트너와의 협의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크리스테르손 총리는 예비적 단계임을 강조, ‘안전 고려’를 전제로 함으로써 조기 배치 가능성보다 점진적 접근에 무게를 두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