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일 눈에 띈 옵션 거래 동향: 코히런트(COHR)·푸보TV(FUBO)·퀀텀컴퓨팅(QUBT)

러셀 3000 구성 종목 가운데 Coherent Corp(티커: COHR), FuboTV Inc.(티커: FUBO), Quantum Computing Inc.(티커: QUBT)에서 옵션 거래량이 두드러지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됐다. 세 종목 모두 특정 행사가격(strike)만기일에 거래가 집중되며 주식 환산 기준으로 각 종목의 최근 한 달 평균 거래량 대비 60% 안팎의 규모를 기록했다.

2025년 11월 5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COHR의 옵션은 총 21,033계약이 체결돼 주식 환산 약 210만 주에 해당하며, 이는 지난 한 달 평균 일일 거래량 340만 주의 약 61.1%에 이른다. FUBO는 115,136계약(약 1,150만 주)으로 최근 한 달 평균 일일 거래량 1,890만 주의 약 61%를 기록했으며, QUBT는 262,051계약(약 2,620만 주)으로 평균 일일 거래량 4,350만 주의 약 60.2%에 해당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용어 안내: 옵션 한 계약은 통상 기초주식 100주를 나타낸다. 본문에서 “계약 수에 100을 곱한 주식 환산치”가 병기되는 이유다. 콜옵션은 특정 만기일까지 정해진 가격(행사가격)으로 주식을 살 권리를, 풋옵션팔 권리를 의미한다. 거래량(volume)은 해당일 체결된 계약 수를 뜻하며, 미결제약정(open interest)은 만기 전까지 청산되지 않고 남아 있는 계약 수를 뜻한다. 아래 언급되는 비율(%)은 각 종목의 최근 한 달 평균 일일 주식 거래량 대비, 옵션 거래가 주식 환산 기준 어느 정도의 규모였는지를 가늠하기 위한 비교치다.

주목

COHR: $125 풋옵션, 2025년 11월 7일 만기, 거래 집중

코히런트(COHR)의 옵션 시장에서는 $125 행사가격 풋옵션(만기일: 2025년 11월 7일)에 특히 높은 거래가 쏠렸다. 해당 계약은 금일 기준 4,551계약이 체결됐으며, 이는 약 455,100주에 해당한다. COHR의 과거 12개월 주가·거래 이력에서 $125 행사가격 지점이 시각적으로 강조됐다.

COHR 12개월 옵션/주가 이력 차트

옵션 흐름의 일반적 해석에 따르면, 풋옵션 거래 급증은 하락 위험에 대비한 헤지 수요 또는 방향성 약세 베팅을 시사할 수 있다. 다만 실제 매수/매도 주체, 스프레드 구성 여부, 동시 체결된 현물·선물·다른 만기 옵션과의 조합에 따라 해석은 달라질 수 있다.


FUBO: $4 콜옵션, 2025년 11월 7일 만기, 대규모 체결

주목

푸보TV(FUBO)에서는 $4 행사가격 콜옵션(만기일: 2025년 11월 7일)의 거래가 두드러졌다. 금일 21,041계약이 체결돼 주식 환산 약 210만 주 규모다. 이는 투자자들이 단기 혹은 특정 이벤트를 겨냥해 상승 여지에 베팅하거나, 보유 주식의 상방 노출을 레버리지 방식으로 확대하려는 수요를 반영할 수 있다.

FUBO 12개월 옵션/주가 이력 차트

특히 저행사가 콜옵션으로의 수요 증가는 종종 단기 모멘텀 기대와 맞물리지만, 만기 구조, 암묵변동성(IV), 호가 스프레드, 체결 타이밍에 따라 손익 프로파일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거래량 급증만으로 방향성 결론을 내리기보다, 동시기 다른 행사가·만기에서의 거래와 미결제약정 변화를 함께 점검할 필요가 있다.


QUBT: $14 풋옵션, 2025년 11월 7일 만기, 옵션 시장서 최대 규모

퀀텀컴퓨팅(QUBT) 옵션은 금일 총 262,051계약이 거래돼 주식 환산 약 2,620만 주에 달했다. 이는 동 기간 평균 일일 주식 거래량 4,350만 주의 약 60.2%다. 이 가운데 $14 행사가격 풋옵션(만기일: 2025년 11월 7일)은 60,945계약이 체결되며 약 610만 주에 해당하는 규모로, 단일 행사가 기준으로도 상당한 수치다.

QUBT 12개월 옵션/주가 이력 차트

양적 컴퓨팅(Quantum Computing) 테마와 연관된 중소형주의 경우 변동성이 높고 이벤트 드리븐(event-driven) 이슈에 민감한데, 풋옵션 대량 체결은 포지션 보호 목적의 보험성 수요 또는 가격 하락 가능성에 대한 대비 심리를 반영할 수 있다. 다만 옵션 흐름만으로 향후 주가 경로를 단정할 수 없으며, 가격·거래량·IV·미결제약정4요소를 통합적으로 추적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참고 자료와 시각 자료

각 종목(COHR, FUBO, QUBT)의 다양한 만기와 옵션 체인 정보는 StockOptionsChannel.com의 티커별 페이지에 정리돼 있다(예: COHR, FUBO, QUBT 전용 페이지). 또한 S&P 500당일 가장 활발한 콜·풋 옵션을 모아 보여주는 시각 자료도 제공된다.

S&P 500: Most Active Call & Put Options

아울러 참고 링크 목록으로 CLQ Historical Stock Prices(https://www.historicalstockprice.com/clq-historical-stock-prices/), Funds Holding TTAI(https://www.holdingschannel.com/funds/holding-ttai/), Funds Holding PIFI(https://www.holdingschannel.com/funds/holding-pifi/)가 함께 제시됐다.


배경과 해설: 왜 옵션 거래량이 중요한가

옵션 거래 급증은 종종 기관의 리스크 관리 또는 이벤트 기대/경계를 반영한다. 예컨대 실적 발표, 지수 리밸런싱, 규제·정책 뉴스, 산업별 컨퍼런스, 대형 고객사 계약 공시 등은 단기 변동성을 촉발할 수 있으며, 이에 선제적으로 헤지를 구축하거나 방향성 포지션을 설정하는 흐름이 포착되곤 한다. 본 보도에서 확인된 것처럼, 특정 행사가·단일 만기에 거래가 집중될 경우 그 가격대가 시장 참여자들의 주된 관심 구간임을 시사한다.

다만 다음의 점검 리스트가 유효하다. 첫째, 거래량 대비 미결제약정 변화: 당일 거래가 신규 포지션 개시인지, 기존 포지션 청산인지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 둘째, IV(암묵변동성)의 방향: 거래량 급증과 함께 IV가 상승하면 옵션 수요 우위(보험료 상승)로, 하락하면 공급 우위(프리미엄 압력)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셋째, 거래 구조: 단일 옵션 매수/매도 외에도 스프레드, 콜-풋 동시 전략, 캘린더/대각 스프레드 등 파생 전략 여부를 살필 필요가 있다.

러셀 3000 지수는 미국 상장사 가운데 시가총액 상위 약 3000개 종목을 포괄하는 광범위 지수로, 대형주부터 중·소형주까지 미국 주식시장 전반의 체온을 가늠하는 데 활용된다. 본 기사에서 다룬 COHR, FUBO, QUBT 모두 이 지수에 포함된 구성 종목으로, 옵션 흐름은 해당 종목뿐 아니라 섹터/테마 전반의 리스크 프리미엄 변화를 시사하는 참고지표가 될 수 있다.

유의사항: 옵션은 만기가 존재하고 가격 민감도(감마, 세타, 베가 등)가 높아, 현물주 대비 손익 변동이 크다. 거래량이 방향성 신호로 직결되지는 않으며, 공시·실적·가이던스·거시 변수 등 기초 정보와 함께 해석해야 한다. 또한 본문에 언급된 수치(계약 수·주식 환산 규모·평균 거래량 대비 비율)는 당일 집계로, 장 마감 후 수정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