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사료·산지 가격, 사상 최고치 경신하며 강세 지속

라이브 캐틀(도축우) 선물 가격이 7월 30일(현지시간) 수요일에도 랠리를 이어가며 전월물 기준 3.15달러에서 3.35달러까지 급등, 역대 최고가를 다시 썼다. 현물(현금) 시장 역시 미국 캔자스주(KS)에서 파운드당 235달러에 거래가 성사돼 전주 대비 3~5달러 올랐다.

2025년 7월 30일, 나스닥닷컴이 인용 보도한 Barchart 자료에 따르면, 이날 오전 센트럴 스톡야즈(Central Stockyards)가 운영하는 온라인 경매 플랫폼 Fed Cattle Exchange에서는 텍사스(TX)와 캔자스(KS) 지역의 송아지 1,526두 가운데 215두가 237달러에 낙찰됐다.

같은 날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피더 캐틀(비육우) 선물도 2.60달러에서 2.75달러까지 상승해 장중 340달러 선을 넘기도 했다가 마감가는 소폭 낮아졌다. 7월 29일 기준 CME 피더 캐틀 지수는 전일 대비 0.83달러 오른 333.03달러를 기록했다.


● 도축 및 박스드 비프(Boxed Beef) 지표 동향

미 농무부(USDA)가 발표한 도매 박스드 비프 가격은 같은 날 오후 보고에서 다시 하락했다. Choice 등급은 2.20달러 내린 361.99달러, Select 등급은 1.57달러 떨어진 340.91달러를 나타냈다. Choice와 Select 등급 간 가격차(Chc/Sel 스프레드)는 21.08달러로 좁혀졌다.

USDA 추정치에 따르면 수요일 하루 도축 물량은 11만2,000두로 집계돼 주간 누적 33만3,000두를 기록했다. 이는 전주 대비 2,000두 늘었지만, 2024년 같은 주보다는 24,395두 적은 수준이다.


● 선물 월물별 종가

Aug 25 Live Cattle 차트 이미지

라이브 캐틀
• 2025년 8월물: 233.075달러(+3.350달러)
• 2025년 10월물: 229.725달러(+3.275달러)
• 2025년 12월물: 229.900달러(+3.150달러)

Aug 25 Feeder Cattle 차트 이미지

피더 캐틀
• 2025년 8월물: 338.950달러(+2.750달러)
• 2025년 9월물: 339.750달러(+2.675달러)
• 2025년 10월물: 338.550달러(+2.650달러)


● 용어 설명

Live Cattle: 도축 직전의 성체 소를 의미하며, 비육을 마치고 도축장으로 출하 대기 중인 가축을 거래하는 선물 상품이다.
Feeder Cattle: 생후 6~10개월 정도로 아직 비육(사료비 축적) 단계에 있는 송아지를 뜻한다. 이후 4~6개월가량 사료를 먹여 육질을 높인 뒤 Live Cattle 선물로 전환되는 구조다.
Boxed Beef: 정육점을 통해 소비자에게 공급되기 직전, 부위별로 분할(pack)된 상태의 포장육(박스 고기)을 일컫는다. 도매 지표로 활용된다.


● 시장 해설 및 전망

미국 소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배경으로는 사료용 옥수수·대두 가격 안정, 미 전역의 도축두수 감소, 그리고 여름철 그릴 시즌에 따른 쇠고기 수요 확대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올해 들어 가뭄 완화와 함께 사료 생산 원가가 낮아진 반면, 코로나19 이후 축소된 모우(母牛) 두수가 회복되지 못해 공급 팽창 속도가 더디다. 이에 따라 시장 참가자들은 4분기 이후에도 타이트한 공급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가을 이후에는 미국 내 수요가 계절적으로 둔화되는 이른바 오프시즌에 접어든다. 일부 애널리스트는 “현재 랠리가 이어지더라도 350달러 선 부근에서 매도 압력이 거세질 수 있다”고 진단한다. 이에 따라 헤지(위험 회피) 목적의 옵션 전략이나 분할 매도 전략이 필요한 시점으로 평가된다.


● 참고·면책 사항

본 기사는 투자 자문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됐다. 원문 작성자인 오스틴 슈뢰더는 기사 게재 시점 기준으로 언급된 증권에 대해 직접·간접적인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Barchart 공시 정책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