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 주요 지수가 19일(현지시간) 장 초반 혼조세를 보였다. S&P 500 지수는 –0.10%, 나스닥 100 지수는 –0.52%로 밀렸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만 +0.32% 상승했다. 선물시장에서도 9월물 E-mini S&P 선물은 –0.13%, 9월물 E-mini 나스닥 선물은 –0.60% 내렸다.
2025년 8월 19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소매업체들의 2분기 실적이 본격적으로 공개되면서 투자자들의 경계감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특히 ‘매그니피슨트 세븐(Magnificent Seven)’이라 불리는 빅테크 주가 약세가 지수 전반에 부담을 줬다.
매그니피슨트 세븐은 애플·마이크로소프트·아마존·알파벳·엔비디아·메타·테슬라 등 시가총액 상위 7개 기술주를 가리키는 용어다. 이들 종목은 2024년 이후 지수 상승을 견인해 왔지만, 금일에는 차익 실현 매물이 우세했다.
소매주 동향
장 초반 하락세를 보였던 홈디포(Home Depot)는 7월 동일점포 매출이 전년 동월 대비 3% 증가했다는 소식에 +4% 이상 반등하며 다우 지수 상승을 주도했다. 로우스(Lowe’s)와 타깃(Target)은 20일, 월마트(Walmart)는 22일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채권 시장에서는 10년물 미 국채금리가 –2bp 하락한 4.31%를 기록하며 주가를 지지했다. S&P글로벌이 미국 국채의 장기 신용등급 AA+와 단기 등급 A-1+를 재확인하고, ‘관세 수입 증가가 재정 악화를 상당 부분 상쇄할 것’이라고 평가한 점도 투자 심리를 안정시켰다.
주택 지표가 엇갈리다
미국 7월 주택착공 건수는 전월 대비 5.2% 증가한 142만 8,000건으로 5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해 시장 예상(129만 7,000건 감소)과 대비됐다. 반면, 건축허가는 –2.8% 감소한 135만 4,000건(5년 최저)으로 부진했다.
경제·정책 일정도 주목된다. 21일 발표되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7월 의사록, 22일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22만 5,000건 예상)와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6.7 예상), 23일 잭슨홀 심포지엄 연설에서 파월 의장이 통화정책 방향을 설명할 예정이다.
연방기금선물은 9월 25bp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84%, 10월 추가 인하 가능성을 53% 반영한다.
무역·관세 이슈(정책 리스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400여 개 소비재에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확대 적용했다. 그는 “다음 주 또는 그다음 주 반도체에도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으며, 국외 생산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하는 기업은 예외를 인정하겠다고 덧붙였다.
또한 인도산 수입품 관세율을 25%에서 50%로 올렸고, 중국과의 관세 휴전은 11월까지 90일 연장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발표된 관세가 모두 시행될 경우 평균 미국 관세율이 15.2%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는데, 이는 2024년 2.3% 대비 6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지정학·외교 동향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전날 밤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향후 평화 협정 체결 시 안보 보장을 미국이 제공하기로 약속했다”고 전했다.
“영토 문제는 러시아와 추후 협상하기로 합의했다.”
관세·유가에 직·간접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외교 변수라는 평가다.
개별 종목 움직임
상승
• 인텔(INTC) +10%: 소프트뱅크가 20억 달러 규모 지분 매입 합의.
• 팔로알토네트웍스(PANW) +4%: 2026년 매출 가이던스 상향.
• 홈디포(HD) +4%: 7월 동일점포 매출 +3%.
• 프로로지스(PLD) +3%: 미즈호 증권, 목표주가 118달러로 상향.
• 캐터필러(CAT) +1%: 에버코어 ISI, ‘아웃퍼폼’으로 상향.
하락
• 바이킹 테라퓨틱스(VKTX) –39%: 경구형 비만 치료제 2상 시험 중단률 28%.
• 파브리넷(FN) –10%: 데이터컴 부문 부진 전망.
• 메드트로닉(MDT) –5%: 영업마진 23.6%로 기대치 하회.
• AMD –3%: GF증권, 매수→보류로 하향.
• 아머 스포츠(AS) –2%: 3분기 마진 12~13% 전망, 시장 기대 하회.
• 버티브 홀딩스(VRT) –2%: GLJ리서치, ‘매도’ 의견.
채권·금리
9월물 10년 만기 미 국채선물(ZN)은 6틱 상승, 수익률은 4.308%로 –2.5bp 하락했다. 독일 10년물 국채금리 –0.2bp(2.761%), 영국 10년물 길트금리 –0.3bp(4.735%)로 동반 하락했다. 시장은 9월 ECB 25bp 인하 가능성을 6%로 본다.
투자 정보 용어 간단 정리
• E-mini 선물: CME가 소액 투자자를 위해 출시한 지수 선물로, 정규 S&P 500 선물 대비 계약 규모가 5분의 1 수준이다.
• T-note(10년물): 미 재무부가 발행하는 중장기 국채로, 글로벌 기준금리 성격을 지닌다.
• FOMC: 미국 연방준비제도 통화정책 결정기구.
• 매그니피슨트 세븐: 미국 증시 시가총액 상위 7개 빅테크 기업을 일컫는 신조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