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선물 가격이 공급 타이트화 신호에 지지를 받으며 혼조로 마감했다. 시카고 상품거래소 연동 가격 기준, 12월 만기 아라비카 커피(KCZ25)는 월요일 종가 기준 +6.95센트(+1.70%) 상승한 반면, 1월 만기 ICE 로부스타 커피(RMF26)는 -25달러(-0.54%) 하락했다.
2025년 11월 11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국제커피기구(ICO)가 현 마케팅 연도(10월~다음 해 9월) 전 세계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0.3% 감소한 1억3,865.8만 포대로 집계됐다고 발표하면서, 공급 타이트화 기대가 가격을 지지했다. 이 같은 수출 감소는 재고 축소 압력과 맞물려 단기적으로 가격 하방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브라질 레알(^USDBRL)이 달러 대비 5주래 최고치로 상승한 점도 아라비카 가격을 밀어올리는 재료가 됐다. 현지 통화 강세는 브라질 생산자들의 달러 표시 수익을 줄여 수출 유인을 약화시키는 경향이 있어, 공급 감소 기대를 통해 선물가에 우호적으로 작용한다.
반면 로부스타는 베트남의 커피 산지에 상륙한 태풍 ‘칼마에기’가 유의미한 피해를 주지 않은 것으로 초기 평가되면서 약세 압력을 받았다. 대규모 생산 차질이 없을 것이라는 전망은 로부스타 단기 공급 불안 심리를 다소 누그러뜨렸다.
ICE 모니터드 커피 재고의 빠른 축소는 가격에 지지 요인이다. 특히 미국의 브라질산 수입에 대한 50% 관세 부과 이후, ICE 등록 재고가 빠르게 줄었다. 월요일 기준 아라비카 등록 재고는 41만6,703포대로 1.75년래 최저를 기록했고, 로부스타 등록 재고는 5,873계약으로 3.75개월래 최저로 내려앉았다. 미국 바이어들은 50% 관세 부담을 이유로 브라질산 신규 커피 계약을 취소하고 있어, 미국 내 원두(볶지 않은 커피콩) 공급이 빠듯해지고 있다. 기사에 따르면 미국의 원두 수입 약 3분의 1이 브라질산에 의존한다.
“미국의 브라질산 커피 수입에 대한 50% 관세가 도입된 이후, ICE 재고가 빠르게 소진되며 가격의 하방을 받쳐주고 있다.”
한편 브라질의 충분한 강우는 건조 우려를 완화하며 가격에는 약세 재료로 작용했다. 기상업체 소마르 메테오롤로지아(Somar Meteorologia)는 브라질 최대 아라비카 산지 미나스제라이스가 11월 7일로 끝난 주에 강우량 72.1mm를 기록, 역사적 평균의 160%에 달했다고 전했다.
그럼에도 기상 리스크는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은 9월 16일 남반구의 라니냐 발생 확률을 10~12월 71%로 상향했다. 라니냐가 현실화되면 브라질의 과도한 건조를 초래해 2026/27 시즌 커피 수확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브라질은 전 세계 최대 아라비카 생산국이다.
베트남 공급 증가는 가격에 하방 압력을 더한다. 베트남 통계청은 지난주 목요일 기준 2025년 1~10월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13.4% 늘어난 131만 톤(MMT)이라고 발표했다. 또한 2025/26 시즌 커피 생산은 전년 대비 +6% 증가한 176만 톤(2,940만 포대)으로 4년 만의 최고치가 예상된다. 베트남커피코코아협회(Vicofa)도 10월 24일 “날씨가 우호적이라면 2025/26 시즌 생산이 전년 대비 10% 증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베트남은 세계 최대 로부스타 생산국이다.
브라질의 공식 작황 예측기관 코나브(Conab)는 9월 4일 브라질 2025년 아라비카 수확 전망치를 -4.9% 하향한 3,520만 포대(5월 전망치 3,700만 포대)로 조정했다. 아울러 브라질 2025년 커피 총생산 전망도 5월의 5,570만 포대에서 -0.9% 낮춘 5,520만 포대로 축소했다.
미국 농무부 해외농업서비스(USDA FAS)는 6월 25일 2025/26 세계 커피 생산이 전년 대비 +2.5% 늘어난 1억7,868만 포대로 사상 최고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세부적으로 아라비카는 -1.7% 감소한 9,702.2만 포대, 로부스타는 +7.9% 증가한 8,165.8만 포대가 예상됐다. 국가별로는 브라질 2025/26 생산이 +0.5% 증가한 6,500만 포대, 베트남은 +6.9% 늘어난 3,100만 포대(4년래 최고)로 전망했다. 2025/26 기말 재고는 +4.9% 증가한 2,281.9만 포대(2024/25의 2,175.2만 포대)로 예측됐다*.
용어와 맥락 설명
– 아라비카(Arabica) vs 로부스타(Robusta): 아라비카는 주로 고지대에서 재배되며 산미와 향이 두드러진다. 로부스타는 병충해에 강해 생산성이 높고 카페인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다. 시장에서는 아라비카가 프리미엄, 로부스타가 대량 블렌드·인스턴트 수요와 연동되는 경향이 있다.
– ICE 모니터드 재고: 인터콘티넨탈 익스체인지(ICE)가 공인한 창고에 보관되어 선물 인도에 적격한 재고를 말한다. 등록 재고의 증감은 현물 가용성과 근월물 스프레드에 직접적인 신호를 제공한다.
– 마케팅 연도(Oct–Sep): 커피 업계에서 통상 사용하는 회계·수급 집계 기간으로, 실제 수확·선적 사이클을 반영한다.
– MMT: Million Metric Tons의 약자로 ‘백만 톤’을 뜻한다.
– Conab·USDA FAS: 각각 브라질의 공식 농업 생산 전망 기관과 미국 농무부의 해외농업 분석 부서로, 글로벌 커피 수급의 핵심 레퍼런스다.
전문가 시각: 단기 재고·관세 vs 중기 기상 변수
현재 커피 선물의 상승 요인으로는 ICO 수출 감소, ICE 등록 재고 급감, 브라질 레알 강세, 라니냐 확률 상향이 꼽힌다. 특히 미국의 브라질산 수입에 대한 50% 관세는 유통망에 직접적인 비용 충격을 주며 미국 내 수급을 빠듯하게 만드는 구조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반면, 하락 요인으로는 브라질의 풍부한 강우에 따른 생육 개선, 베트남의 수출·생산 증가가 부각된다. 결과적으로 단기에는 재고 축소와 관세 이슈가 근월물 커브를 지지하되, 중기에는 라니냐의 강도·지속성과 베트남 수확 진척이 가격 변동성을 좌우할 전망이다. 스프레드 측면에서는 아라비카-로부스타의 품질 프리미엄이 기상·통화 변수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어, 관련 베이시스 추이가 주목된다.
통화 측면에서 브라질 레알 강세는 생산자들의 인도 유인을 둔화시켜 수출 타이밍 지연을 부를 수 있다. 이는 단기 현물 타이트화를 심화시키나, 환율이 되돌림을 보일 경우 물량이 한꺼번에 출회될 위험도 내포한다. 한편 베트남 로부스타는 태풍 피해가 제한적이라는 초기평가와 더불어 생산·수출 증가 시그널이 확산되며, 로부스타 단가의 상대적 약세 및 아라비카 대비 스프레드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시사한다.
Don’t Miss a Day: 원유부터 커피까지, Barchart의 프리미엄 상품 분석을 무료로 구독할 수 있다.
추가 동향 및 전망
향후 시장은 미국-브라질 관세의 지속 여부, 브라질 강우 패턴의 정상화, 라니냐 발생의 현실화·지속 기간, 베트남 수확·선적 속도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USDA FAS의 생산 증가·기말재고 확대 전망이 실제로 이행될 경우, 가격은 중장기 균형점을 재모색할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브라질·중남미의 생육 스트레스가 확대되면, 현재의 재고 타이트화와 맞물려 근월물 강세와 백워데이션 심화만기 간 가격 역전 가능성도 열려 있다.
면책 및 정보 고지
기사 게재일 기준으로, Rich Asplund는 본문에 언급된 어떤 유가증권에도(직·간접적으로)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본 기사에 포함된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오로지 정보 제공 목적이다. 자세한 내용은 Barchart Disclosure Policy를 참고할 수 있다.
또한 본문에 담긴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반드시 대변하지는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