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아프리카 악천후 우려에 코코아 선물 3% 급등

뉴욕 ICE 12월물 코코아(티커: CCZ25) 가격이 15일(현지시간) 전 거래일 대비 224달러(+3.02%) 상승하며 1.5주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같은 날 런던 ICE 12월물 코코아(티커: CAZ25)110파운드(+2.15%) 올랐다.

2025년 9월 15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서아프리카 전역의 강우·건조 패턴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코코아의 주산지인 아이보리코스트(코트디부아르)에서는 폭우가 이어지면서 농민들이 수확을 위해 농장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항만으로 향하는 물량 이동이 지연되고 있다. 반면 가나와 나이지리아 일부 지역은 극심한 건조 현상으로 열매가 시들어 수확량 감소 우려가 부각됐다.

“최근 파운드화가 2개월래 최고치로 강세를 보이면서 런던 시장의 상승 폭은 다소 제한됐다. 파운드 강세는 파운드화로 표시되는 코코아 선물 가격에 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시장 관계자들은 설명했다.


재고와 물류 현황

주목

ICE가 모니터링하는 미국 항만 보관 코코아 재고는 4.25개월 만에 최저치인 2,092,823포대로 줄었다. 이는 공급 타이트닝 우려를 한층 자극하고 있다.

아이보리코스트 정부 자료에 따르면 10월 1일~9월 14일 현지 마케팅연도 누적 선적량은 182만 톤으로 전년 대비 5.8% 증가했지만, 작년 12월 당시 기록했던 35% 증가율과 비교하면 크게 둔화됐다.

수요 둔화 압력

지난주 코코아 가격이 1.75개월 만에 저점을 찍은 배경에는 소비 감소 우려가 있다. 세계적인 초콜릿 제조사 린트&스프렁글리는 7월 “1분기 판매 부진이 예상보다 컸다”며 마진 가이던스를 하향했고, 바리칼리바우트도 같은 달 세 번째로 연간 판매량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3~5월 분기 판매량은 전년 대비 9.5% 급감해 10년 만에 가장 큰 폭의 감소를 기록했다.

주목

또한 글로벌 1, 2, 3분기 그라인딩(가공) 데이터가 일제히 부진하다. 유럽코코아협회(ECA)는 2분기 유럽 그라인딩이 전년 대비 7.2% 줄어든 331,762톤이라고 발표했다. 아시아코코아협회(CCA)도 8년 만에 최저치인 176,644톤(-16.3%)을 보고했으며, 북미는 101,865톤(-2.8%)으로 상대적으로 낙폭이 작았다.

생산 전망

가나는 2025/26연도 생산량을 65만 톤(+8.3%)으로 예상해 공급 부담 요인으로 작용했다. 반면 나이지리아코코아협회는 2025/26 생산량이 전년 대비 11% 감소한 30만 5,000톤으로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이보리코스트의 ‘미드 크롭(4~9월 수확)’ 품질 저하도 가격 상승 요인이다. 라보뱅크는 “중간 수확기의 평균 생산량이 40만 톤으로, 전년 44만 톤 대비 9%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지연된 강우로 인한 생육 부진 탓이라는 설명이다.

국제코코아기구(ICCO) 전망

ICCO는 5월 30일 보고서에서 2023/24연도 글로벌 공급 부족 규모를 49만4,000톤으로 상향 조정하며 “60여 년 만에 최대 규모”라고 평가했다. 동시에 재고/가공 비율은 46년 만에 최저치인 27.0%로 하락했다. 다만 2024/25연도에는 14만2,000톤 흑자 전환과 생산량 7.8% 증가(4,840만 톤)를 예상했다.

‘코코아 선물’이란?

코코아 선물은 ICE(Intercontinental Exchange)·CME 등의 선물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원자재 파생상품이다. 통상 10톤 단위(뉴욕) 혹은 1톤 단위(런던) 계약으로 거래되며, 가격은 각각 달러/톤 또는 파운드/톤으로 표시된다. 원자재 헤지 목적뿐 아니라 투기적 투자 수단으로도 활용된다.


기자 해설

현재 기상 이변물류 차질이 공급 측 변동성을 키우는 반면, 고가 부담과 관세 상승으로 수요는 위축되고 있다. 가격은 상하 양방향 리스크를 안고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재고 감소서아프리카 생산 리스크가 더 강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10월 시작되는 메인 크롭(주요 수확)을 앞두고 강수량이 정상화되지 않을 경우, 현물 프리미엄 확대와 함께 추가 랠리로 이어질 수 있다. 다만 유럽·아시아 가공 실적이 회복되지 않는 한, 연말 이후에는 수요 회복 속도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 본 기사에서 언급된 모든 가격·전망은 정보제공용이며, 투자 손실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