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아프리카 강우 소식에 코코아 선물가격 하락

[코코아 시장 동향] ICE 뉴욕 및 런던 코코아 선물가격이 서아프리카 지역의 강우 예보로 약세를 보였다. 12월물 ICE 뉴욕 코코아(CCZ24)는 전일 대비 -128달러(-1.65%) 하락한 반면, 9월물 ICE 런던 코코아(CAU24)도 -92파운드(-1.62%) 떨어졌다.

2025년 9월 17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예보기관 맥사 테크놀로지스(Maxar Technologies)는 “서아프리카에 내리고 있는 비가 주말까지 이어져 토양 수분과 수확량을 높일 것”이라고 관측했다. 시장은 해당 지역에서 생산되는 코코아콩 공급 증가 가능성을 즉각 가격에 반영했다.

뉴욕 코코아 선물 차트

주목

수출·재고 지표가 주는 신호

전날 발표된 나이지리아 7월 코코아 수출 증가(전년 대비 +31%·17,456톤)는 공급 과잉 우려를 키우며 하락 압력을 가중시켰다. 나이지리아는 세계 6위 생산국이다.

“서아프리카 건조 기후가 이어질 경우 생산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경고가 있었지만, 이번 강우 소식으로 그 우려가 일부 완화됐다.

앞서 9월 16일 뉴욕 코코아 가격은 2개월 만에 최고치로 뛰었는데, 이는 “비정상적 가뭄이 코트디부아르와 가나의 생산량을 줄일 것”이라는 분석에 근거했다.


국가별 생산 동향

코트디부아르 정부 자료에 따르면 2023/24 마케팅연도(10.1~8.25) 선적 물량은 169만 톤으로 전년 동기대비 28% 감소했다. 같은 기간 ICE 모니터링 미국 항구 재고는 248만 8,992포대로 15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 공급 부족 우려를 지속해서 자극한다.

반면 카메룬은 2023/24연도 생산량이 전년 대비 1.2% 증가한 266,725톤으로 집계됐다. 이는 세계 5위 생산국답게 단기적으로 가격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주목

런던 코코아 선물 차트

가나 Cocobod의 하향 조정

가나 코코아위원회(Cocobod)는 2024/25 생산 전망을 65만 톤으로 하향했다(당초 70만 톤). 전년도 23년 만의 최저치(42만5,000톤) 이후 회복세가 더딘 셈이다.

수요 측면: 그라인딩(분쇄) 증가

코코아콩을 분쇄·가공하는 그라인딩(grinding) 지표는 주요 수요 지표다. 2분기 북미 그라인딩 실적은 104,781톤(전년 대비 +2.2%)으로 예상 밖 증가세를 나타냈다. 유럽도 +4.1% 증가(357,502톤)하며, 수요 회복이 뚜렷하다.

시장 균형 전망

국제코코아기구(ICCO)는 2023/24시즌 공급 부족(deficit) 규모를 439,000톤으로 조정했다. 이는 2022/23 시즌 74,000톤 적자 대비 6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ICCO는 전 세계 재고/그라인딩 비율이 46년 만의 최저치인 27.4%에 머물 것으로 봤다.

※ 용어 설명
그라인딩: 코코아콩을 초콜릿·코코아버터 등 2차 가공제품으로 만들기 위한 분쇄 공정.
캐리오버(carry-over): 전년도 이월 재고가 다음 시즌 공급에 미치는 영향을 뜻한다.

전문가 시각과 향후 변수

국제 무역회사 Ecom Agroindustrial은 2023/24 코트디부아르 생산량을 175만 톤으로 예상하며 전년 대비 21.5% 감소할 것으로 봤다. 상반기보다 수요는 견조한 반면 리스크 요인이 산재해 있어, 시장 참가자는 기상 리스크·국가별 정책·재고 흐름을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특히 서아프리카 주요 생산국 정부가 내수 가공 설비를 보유하지 않은 업체에 대한 원두 수출 제한을 유지한다면, 물리적 원두 수급은 당분간 빡빡할 전망이다. 이는 하락 폭을 제한하거나 중장기적으로 가격 반등을 촉발할 수 있다.


기자 해설

서아프리카의 강우는 단기적으로 공급 부담을 완화하지만, 기후변화에 따른 극단적 기상이 반복되면 생산 전망은 다시 불투명해질 수 있다. 또한 물류 차질과 통화 변동성(예: 브라질 헤알화 약세)도 투기적 포지션 청산을 유도해 가격 변동성을 키우는 요소다.

결국 코코아 선물시장은 공급 쇼크(가뭄·병충해)와 수요 회복(그라인딩 증가)이라는 상반된 힘이 교차하는 국면이다. 투자자는 엘니뇨·라니냐 같은 기후 이벤트와 주요 생산국의 정책 변화를 주기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 2025 Barchart,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