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아프리카 가뭄 랠리 진정…코코아 선물 2거래일 연속 급락

코코아 선물가격이 서아프리카 가뭄 우려로 기록했던 2개월 최고치에서 빠르게 되돌림을 보이고 있다.

2025년 8월 14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ICE 뉴욕 9월물 코코아(티커: CCU25)는 전 거래일 대비 -3.98%(▼341달러) 하락한 8,217달러에, ICE 런던 9월물 코코아(티커: CAU25)는 -3.41%(▼197파운드) 밀린 5,585파운드에 각각 마감했다.

이번 주 초 가뭄 공포로 2개월 만의 최고치를 찍었던 가격은 최근 이틀 사이에 매도세가 집중되며 하락 반전에 성공했다. 현지 기상청과 민간 기상업체가 “향후 며칠 내 일부 산지에 산발적인 비가 내릴 것”이라고 예보한 것이 투자심리를 빠르게 진정시켰다.


서아프리카 강수 부족, 여전히 위험 요인

그러나 전문가들은 ☞ 강수량 적자(30년 평균 대비 부족)☞ 고온 현상이 계속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는 주요 수확기(10월) 물량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한다.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는 코트디부아르·가나 일대 강수량이 평년치를 밑돌고 있다고 분석했다.

ICE가 집계한 미국 항만 재고는 223만 4,877포대로 2개월 만에 가장 적은 수준을 기록했다. 재고 축소 흐름은 가격의 하방 경직성을 뒷받침한다.

내부 수급 변수: 중간작¹ 품질 악화·수출 둔화

코트디부아르 정부 자료에 따르면, 10월 1일~8월 10일 누적 선적 물량은 178만 t으로 전년 대비 6.6% 증가했으나, 작년 12월의 35% 증가율과 비교하면 성장세가 크게 둔화됐다. 이와 함께 중간작(4~9월) 품질 문제가 빈번해지며 가공업체들이 트럭 한 대당 5~6%를 반송하고 있다는 보고도 나왔다. 라보뱅크“지연된 강우로 꼬투리 성장 불량이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올해 코트디부아르 중간작은 40만 t(전년 대비 -9%) 수준으로 추정된다.

나이지리아 코코아협회도 2025/26년 생산량 전망치를 30만 5,000t으로 -11% 하향 조정했다. 다만 6월 수출은 1만 4,597t으로 0.9% 증가했다.


수요 측면: 초콜릿 소비 부진이 가격 상한 요인

“높은 원가가 소비를 잠식하면서 초콜릿 판매량이 예상보다 빠르게 줄고 있다.” — 업계 관계자

스위스의 린트 & 스프렝글리는 7월 수익성 가이던스를 하향했고, 벨기에의 바리칼리바우트 역시 판매량 전망을 올해 두 차례나 낮췄다. 3~5월 분기 판매량은 -9.5% 줄어 10년 만의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지역별 분쇄(Grindings) 실적도 악화됐다. 유럽코코아협회(ECA)2분기 유럽 분쇄량이 331,762t으로 -7.2%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아시아코코아협회(CAA) 집계 결과, 2분기 아시아 분쇄량은 176,644t으로 -16.3% 급감해 8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북미 분쇄량 역시 101,865t으로 -2.8% 줄었다.

공급 전망: 가나 생산 회복·ICCO 재고율 악화

가나코코아위원회는 2025/26년 생산량을 65만 t으로 +8.3% 상향 전망했다. 반면 국제코코아기구(ICCO)는 2023/24년 세계 공급 부족을 49만 4,000t으로 상향(2월 전망 44만 1,000t) 조정하면서, 재고 대비 분쇄 비율이 27.0%로 1978년 이후 최저라고 지적했다. IC​CO는 2024/25년에는 14만 2,000t 흑자 전환과 7.8% 생산 증가를 예상한다.


용어 풀이

ICE(Intercontinental Exchange)는 뉴욕·런던 등에서 원자재·금융 선물을 거래하는 글로벌 거래소다.
Stocks-to-Grindings Ratio는 세계 재고를 연간 분쇄량으로 나눈 값으로, 값이 낮을수록 재고 긴축을 의미한다.
중간작(Mid-Crop)은 서아프리카에서 주 수확(주요작)과 별도로 4~9월 사이 소규모로 수확되는 작기를 말한다.


전문가 시각

시장 참가자들은 “기상 변수가 단기 가격 방향을 좌우하겠지만, 재고 감소와 품질 저하라는 구조적 요인이 여전히 강세 기조를 지지한다”고 진단한다. 다만 고가 부담으로 초콜릿 수요 위축이 장기적 상방을 제한할 수 있다는 의견도 병존한다.

한 애널리스트는 “향후 수개월간 ☞ 가나 생산 회복 여부, ☞ 나이지리아 생산 차질, ☞ 아시아·유럽 분쇄 추세가 가격의 방향성을 결정할 것”이라며, 변동성 확대 국면에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본 기사에 인용된 데이터는 모두 정보 제공 목적이며, 2025년 8월 14일 기준 Barchart나스닥닷컴이 제공한 자료를 기반으로 번역·재구성됐다. 기사 작성자 Rich Asplund는 해당 종목에 직접적·간접적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