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아프리카에 내린 비, 국제 코코아 선물가격 약세 요인으로 작용

뉴욕 ICE 기준 12월물 코코아 선물(종목코드 CCZ24)은 1.65% 하락한 1톤당 -128달러로 마감했고, 런던 ICE 기준 9월물 코코아 선물(종목코드 CAU24)도 1.62% 내린 -92파운드로 거래를 마쳤다. 시장은 서아프리카 주요 산지에 내린 최근 강우가 토양 수분과 작황 전망을 개선할 것이라는 예보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2025년 9월 16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민간 기상 예보업체 맥사 테크놀로지스(Maxar Technologies)는 “현지에 내린 비가 이번 주말까지 이어지며 토양 수분과 수확량이 동시에 회복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통상 우기와 건기가 뚜렷한 서아프리카에서는 건조기 이후의 강우 재개가 작황·가격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가격 하락 요인은 또 있다. 전일 발표된 나이지리아 무역통계에 따르면, 7월 코코아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31% 증가한 17,456톤을 기록했다. 나이지리아는 세계 6위 코코아 생산국으로, 예상보다 큰 공급 확대가 단기 약세 심리를 강화했다.

주목

반면, 이번 주 초 뉴욕 코코아 가격이 2개월 만에 고점을 찍었던 배경은 과도한 건조 우려였다. 맥사는 “코트디부아르가나에서 최근 한 달간 강우 감소가 두드러져 토양 수분이 예년 이하로 떨어졌다”는 경고 메시지를 냈다. 해당 지역은 글로벌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벨트다.


실제 코트디부아르 정부가 집계한 10월 1일~8월 25일 누적 선적량은 169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 감소했다. 이는 수확·유통 병목이 가격을 다시 지지할 수 있는 요인이 된다.

미국 내 공급도 타이트하다. ICE 모니터링 재고는 미 항만 기준 15년 만의 최저치인 2,488,992포대로 집계됐다.

또 다른 주요 산지인 가나 코코아이사회(Cocobod)는 지난주 2024/25 생산 전망을 65만 톤으로 하향 조정했다(6월 전망치는 70만 톤). 가나의 2023/24 생산량은 기상 악화와 병충해로 23년 만의 저점인 42만5,000톤에 그쳤다.

주목

대조적으로 카메룬은 2023/24년(8월~7월) 생산량이 1.2% 증가한 266,725톤이라고 발표했다. 세계 5위 생산국의 증산은 단기 약세 요소지만, 전체 공급 감소세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시장조사업체 Ecom Agroindustrial은 2023/24 코트디부아르 생산량이 전년 대비 21.5% 급감한 175만 톤(8년 만의 최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원두 부족 우려가 완전히 해소되려면 산지별 생산 반등이 몇 분기 더 확인돼야 한다.” — 업계 애널리스트

수요 측면에서는 여전히 견조한 지표가 눈에 띈다. 전미 과자협회 자료에 따르면, 2분기 북미 지역 그라인딩(가공) 물량이 2.2% 증가한 104,781톤으로, 시장은 오히려 감소를 예상했었다. 유럽 코코아협회(ECA)도 2분기 유럽 그라인딩이 4.1% 증가한 357,502톤이라고 밝혔다.

특히 국제코코아기구(ICCO)는 지난 5월 말 2023/24 공급 부족 규모를 43만9,000톤으로 추정해 2월 전망치(37만4,000톤)보다 17% 확대했다. 전 세계 재고–소비(그라인딩) 비율도 46년 만에 최저치인 27.4%로 내려갈 것으로 예상했다.


해설: 왜 ‘ICE 선물가격’이 중요한가?

ICE(Intercontinental Exchange)는 주요 원자재 선물거래가 이뤄지는 글로벌 거래소다. 뉴욕·런던의 ICE 코코아 선물가격은 국제 무역·제과업체·펀드의 기준점 역할을 하며, 한국에서 소비되는 초콜릿 가격도 장기적으로는 이 지표를 따라 움직일 가능성이 크다.

통찰 및 전망 — 최근 강우 재개는 단기적으로 공급 우려를 완화했지만, 중기적인 구조적 공급 부족이 해소됐다고 보기는 어렵다. 코트디부아르·가나의 병충해 문제, 재고 감소, 그라인딩 회복세가 결합해 가격 변동성을 키울 여지가 남아 있다. 특히 재고율이 역사적 저점까지 낮아진 상황에서는 예상치 못한 기상 이슈 한 번으로도 급등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