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업 지표 부진 속에서도 달러 인덱스 강보합 마감

뉴욕 외환시장에서 달러 인덱스(DXY)는 6일(현지시각) 전일 대비 0.03% 상승한 채 거래를 마쳤다. 전주 후반과 이번 주 초의 약세 이후 나타난 쇼트 커버링※1이 달러를 지지했으며, 미 재무부 10년물 국채금리(T-note yield) 상승도 추가적인 버팀목이 됐다.

2025년 8월 6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같은 날 발표된 6월 미국 무역수지 적자가 1년 9개월래 최저치로 축소되면서 달러 강세 논리에 힘이 실렸다. 6월 적자는 -602억 달러로 전월(-717억 달러) 대비 크게 줄었고, 시장 전망치(-610억 달러)도 상회했다.

그러나 7월 ISM 서비스업 지수가 예상을 깨고 50.1로 하락하면서 달러의 상승폭은 제한됐다. 세부적으로 가격지불 지수는 69.9로 2년 9개월래 최고치를 기록, 물가 압력 재점화를 시사했다.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의 메리 데일리 총재는 전날 “노동시장이 둔화되고 관세발 인플레이션 징후가 보이지 않는 만큼,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의 ‘비둘기파적※2’ 발언은 달러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연준 정책 기대와 시장 베팅

연방기금선물(FF) 시장에서는 9월 16~17일 FOMC에서 0.25%p 인하 가능성을 94%로 반영하고 있다. 이어 10월 회의에서도 같은 폭 추가 인하 가능성을 62%로 가격에 반영했다.

한편, 지난주 아드리아나 쿠글러 Fed 이사가 사임하면서 연준의 의사결정 적시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시장에서는 차기 이사 지명이 더 비둘기파적 인물이 될 경우, 제롬 파월 의장의 통화정책 구상력이 약화될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

Dollar Index Chart

주요 통화별 동향

같은 날 유로/달러(EUR/USD)는 0.02% 하락했다. 달러 강세 외에도 유로존 7월 S&P 종합 PMI가 50.9로 하향 수정된 점이 유로 약세 요인으로 작용했다. 시장은 9월 11일 ECB 회의에서 0.25%p 인하 가능성을 16%로 보고 있다.

엔/달러(USD/JPY)는 0.41% 상승(엔 약세)했다. 일본은행(BOJ) 6월 회의록에서 다수 위원이 “국채매입 조기 축소는 시장 안정을 저해할 수 있다”고 우려한 점이 통화완화 지속 전망을 강화했다. 10년 만기 일국채(JGB) 수익률은 1.465%로 4주 저점으로 떨어져 금리차가 벌어졌다.

USDJPY Chart

귀금속 시장: 인플레이션 헤지·안전자산 수요 부각

같은 날 12월물 금 선물은 0.24% 오른 2,XXX달러(단위: 온스당)에, 9월물 은 선물은 1.33% 오른 XX.XX달러에 마감했다. 데일리 총재의 완화적 발언과 서비스업 가격지불 지수 급등이 인플레이션 헤지 수요를 자극했다. 더불어 우크라이나·중동 지정학 리스크와 미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촉발할 경기둔화 우려도 안전자산 매력을 높였다. 다만, 달러 강세 및 미 국채금리 상승이 상승폭을 제한했다.


시장의 관전 포인트와 전문가 시각

전문가들은 “다음 달 FOMC 이전 발표될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8월 고용지표가 향후 금리경로의 열쇠”라고 진단한다. 특히 서비스물가가 예상보다 빠르게 재가열될 경우, ‘조기 인하’ 기대가 후퇴할 가능성도 주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또한, 엔화에 대해서는 “BOJ가 양적완화(QE) 정상화를 지나치게 서두르지 않겠다는 신호를 재확인함에 따라, 단기적으로 150엔 재돌파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전망이 제시된다.


※ 용어풀이

※1 쇼트 커버링(Short Covering)은 매도(공매도) 포지션을 청산하기 위해 되사는 행위를 말한다. 기존 공매도 물량이 많을수록 되사기 수요가 급증해 가격이 급등하거나 낙폭이 제한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2 비둘기파(Dovish)는 통화정책에서 경기부양과 완화를 선호하는 성향을 일컫는 용어다. 반대로 물가안정·긴축을 중시하는 성향은 ‘매파(Hawkish)’라고 부른다.

Gold Futures


본 문서는 리치 애스플런드 기자의 원문을 번역·재구성한 것이며, 투자 판단의 참고용 자료일 뿐이다. 원문 작성 당시 기자는 기사에 언급된 어떤 종목에도 직·간접적인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 모든 정보는 신뢰할 만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