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다음 달부터 금리 인하 가능…올해 두 차례 전망”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기준금리 인하를 예상보다 이른 시점에 단행할 수 있다는 신호를 보냈다.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인 메리 데일리(Mary Daly)는 최근 인터뷰에서 “다음 달부터 금리 인하가 시작될 수 있다”라고 밝혀 금융시장에 적지 않은 파장을 일으켰다.

2025년 8월 16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데일리 총재는 폭스비즈니스(Fox Business)와의 대담에서 “노동시장이 냉각되고 있고, 경제 활동이 ‘느리지만 아직 둔화 국면은 아닌’ 상황에서 인플레이션이 목표치(2%)를 상회하는 형세를 고려할 때, 올해 안에 ‘두 차례(couple) 정도’의 금리 인하가 정당화된다”라고 말했다.

Mary Daly

데일리 총재는 “현재로서는 두 번의 인하가 합리적 전망으로 남아 있지만, 향후 지표가 어떻게 나오느냐에 따라 횟수는 더 줄거나 늘어날 수도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인플레이션이 다시 고착화될 가능성을 지나치게 우려해 노동시장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늦추는 일은 피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물론 데이터를 지켜볼 것이지만, 두 차례 인하 전망은 여전히 타당하다.” — 메리 데일리 총재

시장 기대치도 이 같은 발언을 뒷받침한다. 인베스팅닷컴이 집계하는 Fed Rate Monitor Tool에 따르면, 2025년 9월 FOMC 회의에서 25bp(0.25%p) 인하가 단행될 확률은 83%로 집계됐다. 반면 정책금리를 현 수준에 동결할 가능성은 17%에 그쳤다.

Fed Rate Monitor Tool은 다양한 파생상품 가격(연방기금선물)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향후 금리 결정 확률을 산출하는 인베스팅닷컴의 데이터 분석 모델이다.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연준 내부 기류를 파악할 수 있는 핵심 지표로 통한다.

‘bp’(basis point)는 금리 변동을 0.01% 단위로 환산해 표시하는 금융권의 표준 단위다. 예컨대 25bp는 0.25%포인트에 해당하며, 중앙은행 의사결정에서 가장 자주 언급되는 단위다.

올해 들어 미국 경제는 소비·고용 지표에서 다소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7월 소매판매는 예상치를 상회했지만, 같은 달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예상치보다 크게 뛰어 인플레이션 경계감을 자극했다. 데일리 총재는 “경제가 ‘둔화’가 아닌 ‘둔화 초기 국면’에 머무르고 있다”는 점을 들어 선제적 금리 인하 필요성을 부각했다.

전문가들은 데일리 총재의 발언이 다른 FOMC 위원들의 공감대를 얼마나 형성할지가 관건이라고 본다. 연준 의장 제롬 파월은 최근 의회 증언에서 “데이터에 기반해 결정한다”라는 원칙을 재확인했으나, 구체적 인하 시점은 언급하지 않았다.


전문가 해설·시장 영향

채권시장: 인하 기대감이 유지되면 미 국채 수익률이 완만한 하락세를 이어갈 수 있다. 특히 단기물(2년물) 금리가 먼저 빠질 가능성이 높다.

주식시장: S&P500 지수는 이날 -0.29% 하락 마감했지만, 향후 ‘정책 선회’가 가시화되면 경기민감주와 기술주에 순차적 수급이 유입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달러 가치: 금리 인하가 현실화되면 달러화 약세 요인이 되지만, 유럽·중국 등 주요국 동반 경기둔화가 심화될 시 방향성은 제한적일 수 있다.

한편 메리 데일리 총재는 2018년부터 샌프란시스코 연은을 이끌고 있으며, 2025년 현재 FOMC에서 투표권을 보유하고 있다. 사회적 약자와 고용시장 불평등 문제에 관심이 높은 ‘비둘기파(dove)’ 인사로 분류된다. 이러한 성향이 노동시장 지표를 우선시하는 정책 메시지로 나타났다는 해석이 설득력을 얻는다.

향후 일정: 8월 말 예정된 잭슨홀 경제심포지엄에서 파월 의장을 비롯한 연준 위원들이 추가 힌트를 제시할 가능성이 있어, 시장 참가자들은 해당 행사를 ‘관전 포인트’로 삼고 있다.

요약하면, 데일리 총재의 발언은 연준이 ‘금리 인하 사이클’ 진입을 가늠할 시점을 구체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다만 가파른 인플레이션 재확산 리스크가 상존하는 만큼, 실제 단행 여부는 향후 한 달간 발표될 고용·물가 지표에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