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미국 주택시장 붕괴 국면에서의 ‘빅 쇼트’로 유명한 투자자 마이클 버리가 본인이 이끄는 헤지펀드 사이언 자산운용(Scion Asset Management)의 등록을 말소했다. 이 조치는 해당 운용사가 미국 증권당국 및 주(州) 규제기관에 대한 정기 보고 의무에서 벗어났음을 시사한다.
2025년 11월 13일,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전자 데이터베이스에 기재된 사이언의 등록 상태는 11월 10일 기준 “terminated”(종료)로 표시됐다. SEC 등록 말소는 원칙적으로 연방 규제당국이나 주(州) 정부에 정기 보고서를 제출할 의무가 더 이상 없음을 의미한다.
버리는 소셜미디어 플랫폼 X.com에서 수요일 게시글을 통해
“On to much better things Nov 25th.”
(“11월 25일부터 훨씬 더 나은 일로 나아간다”)라고 적었다. 사이언 자산운용은 해당 사안에 대한 로이터의 논평 요청에 즉각 응답하지 않았다고 전해졌다.
버리는 최근 AI 대형주인 엔비디아와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에 대해 하락에 대한 베팅을 공개했다. 그는 과거 주택시장 붕괴 당시 서브프라임 모기지 증권을 상대로 한 숏 포지션으로 이름을 알렸으며, 그 투자는 마이클 루이스의 저서 ‘더 빅 쇼트(The Big Short)’와 동명 영화로도 기록됐다.
또한 사이언의 각종 공시는 그동안 시장 거품과 고평가 논란을 가늠하려는 투자자들에게 일종의 신호로 해석돼 왔다. 규제 공시에 따르면 이 헤지펀드는 3월 기준 약 $1억 5,500만의 운용자산(AUM)을 보유하고 있었다.
핵심 사실 정리Key Facts
– SEC 데이터베이스상 사이언 자산운용의 등록 상태: “terminated” (기준일: 11월 10일)
– 등록 말소에 따라 연방 및 주 규제기관에 보고서 제출 의무 없음
– 버리, X.com에 “11월 25일부터 더 나은 일” 언급원문 인용
– 최근 엔비디아·팔란티어를 상대로 한 역베팅 공개
– 3월 규제 공시 기준 사이언 AUM: 약 1억 5,500만 달러
용어와 맥락 해설
등록 말소(deregistration)는 운용사가 더 이상 특정 규제 체계 하에서 정기 보고나 감독 관련 서류 제출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를 뜻한다. 본 사안에서 SEC 기록상 사이언의 지위가 ‘terminated’로 변경됐다는 사실은, 사이언이 규제 보고 의무에서 벗어났음을 가리킨다. 이는 시장 참여자들이 공시를 통해 사이언의 보유·거래 내역을 추적할 수 있는 기회가 이전보다 줄어들 수 있다는 일반적 함의와 연결된다. 다만, 보도에 적시된 바와 같이 말소 자체가 즉각적인 투자전략 변경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버리는 거시적 리스크에 대한 역베팅으로 대중적 인지도를 확보했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서브프라임 관련 증권에 대한 숏 포지션은 ‘빅 쇼트’로 대중문화의 일부가 되었고, 그 후 그의 공시 자료는 시장 거품과 고평가 논쟁을 가늠하는 참고자료로 자주 인용돼 왔다. 이번 등록 말소는 그가 향후 어떤 형태로 투자활동을 지속하든, 대외적 정보 공개의 빈도가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조치의 의미
첫째, 규제 보고 의무의 종료는 투명성 축소로 이어질 수 있다. 보도 내용대로라면 사이언은 연방 또는 주 규제기관에 정기 보고서를 제출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장 참여자들이 과거처럼 공시를 정기적으로 분석해 버리의 포지션을 추정하기는 어려워질 수 있다. 둘째, X.com 게시글의 “11월 25일” 언급은 향후 일정상의 변곡점을 암시하지만, 로이터 보도 범위 내에서는 구체적 성격이나 계획은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AI 대형주를 상대로 한 최근의 역베팅 공개는 과열 논쟁이 이어지는 성장 섹터에서 버리가 여전히 가치와 밸류에이션에 엄격한 시각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본 건에 관한 사이언의 공식 입장이 기사 작성 시점 기준으로 로이터 질의에 즉각 응답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이는 등록 말소의 경위나 배경, 향후 조직 구조 또는 전략에 대한 추가 설명이 아직 공개되지 않았음을 뜻한다. 따라서 시장 해석은 현재로서는 SEC 데이터베이스상 상태 변경과 X 게시글, 그리고 과거 공시 관행이라는 제한된 정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투자자 시사점
– 공시 의무 축소는 정보 비대칭의 확대로 연결될 수 있어, 버리의 포지션을 추적해 투자 아이디어를 도출해 온 시장 참여자에게는 전략 재점검이 필요하다.
– AI 대형주에 대한 역베팅 공개는 밸류에이션 재평가 논쟁이 계속되고 있음을 반영한다. 다만 보도는 포지션의 규모·만기·구체적 구조 등을 제시하지 않았다.
– 11월 25일 언급은 향후 추가 발표나 변화를 예고할 수 있으나, 현 시점에서 확인된 사실은 아니다. 확인 가능한 정보는 SEC의 상태 변경과 X 게시글의 문구뿐이다.
배경 인물·기관 요약
마이클 버리: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서브프라임 모기지 관련 증권에 대한 공격적 숏 포지션으로 명성을 얻은 투자자. 그의 사례는 마이클 루이스의 저서와 영화 ‘더 빅 쇼트’로 대중화되었다.
사이언 자산운용: 3월 규제 공시 기준 약 1억 5,500만 달러의 운용자산(AUM)을 보유한 헤지펀드로, SEC 전자 데이터베이스에는 11월 10일부 ‘terminated’ 상태로 기록되었다.
SEC(미국 증권거래위원회): 미국 증권시장 감독기관으로, 등록·보고 체계를 통해 운용사 및 발행사 정보를 공개한다. 본 사안에서는 사이언의 등록 상태 변경이라는 사실관계가 핵심이다.
종합
정리하면, 마이클 버리가 이끄는 사이언 자산운용은 SEC 기록상 11월 10일부로 등록이 말소되어 감독당국 및 주정부에 대한 정기 보고 의무를 지지 않게 됐다. 버리는 X.com 게시글에서 11월 25일을 언급하며 “더 나은 일”을 예고했으나, 구체적 내용은 확인되지 않았다. 그간 공시 자료가 시장에서 거품 탐지의 준거로 주목받아 온 만큼, 이번 조치는 정보 공개의 축소와 함께 버리의 향후 행보에 대한 관심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동시에, AI 대형주에 대한 역베팅 공개는 고평가 논쟁의 불씨를 재점화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로이터가 전한 SEC 데이터베이스의 상태 변경과 X 게시글이 확인된 사실의 전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