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뷰티풀 법안’ 통과로 전기요금 급등하나…전문가들 “장기적 불안정 심화” 경고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7월 4일 서명한 ‘Big Beautiful Bill’(이하 빅 뷰티풀 법안)이 미국 가계 전력 요금에 미칠 파장이 본격적으로 쟁점으로 부상했다. 이 법안은 청정에너지 세액공제를 폐지하고 기후 관련 자금 지원을 철회하는 동시에 석유·가스 개발 확대를 핵심 골자로 한다.

2025년 7월 25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공화당 상원 일부 의원들은 해당 법안을 “친(親)성장 법안”으로 평가했지만, 에너지 시장 분석가들은 “단기적으로는 요금이 내릴 수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변동성만 키울 것”이라고 경고했다.

에너지 싱크탱크 에너지 이노베이션(Energy Innovation)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빅 뷰티풀 법안은 2025년부터 2034년까지 미국 가계가 부담할 전력·가스 요금을 총 1,700억 달러 늘릴 가능성이 있다. 보고서는 “재생에너지 투자가 위축되면 발전 믹스가 다시 화석연료 중심으로 회귀해 연료비 변동이 커지고, 이 비용이 고스란히 청구서에 반영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청정에너지 세액공제란 무엇인가

청정에너지 세액공제( Clean Energy Tax Credit )는 태양광·풍력·배터리 저장시설 등 친환경 설비에 투자하는 기업이나 가계에 세금을 감면해 주는 제도다. 이는 설비 설치 비용을 낮춰 재생에너지의 초기 투자 장벽을 해소하고, 장기적으로 전력 단가를 낮추는 핵심 정책 수단으로 꼽혀 왔다.

“소비자들은 국내 석유·가스 생산이 늘면 일시적으로 가격이 떨어지는 착시를 겪을 수 있다. 그러나 복원력 있는 전력망·다각화된 에너지원·저소득층 보조금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재해가 잦은 지역부터 요금이 다시 치솟을 것” – 패트리스 윌리엄스-린도, Career Nomad 최고경영자(CEO)

윌리엄스-린도 CEO는 “기후 정책을 뒷받침할 인력 수요가 삭감되면 태양광·풍력·그리드 최적화 등 미래형 고임금 일자리의 성장도 차단된다”고 덧붙였다.


“이미 10%~45% 인상 체감”

오언 퀸런 아버(Arbor) 데이터 총괄은 “올여름 일부 도시 전력 요금이 10%에서 45%까지 뛰었다”며 “이는 아직 법안 효과가 반영되기 전”이라고 말했다. 그는 실시간 전력 가격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팀을 이끌고 있다.

퀸런 총괄은 “낮 시간대에는 태양광 발전 덕분에 도매가격이 억제되지만, 해가 지고 수요가 유지되면 그리드는 비싼 예비전력에 의존하게 돼 가격이 폭등한다”며 “청정에너지 및 저장 인프라 투자 없이는 이런 급등 빈도가 더 자주, 더 비싸게 나타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에너지 정책 논의의 사각지대

윌리엄스-린도 CEO는 ‘RNA 프레임워크’(Rebrand·Network·Achieve Recognition)를 제시하며, “소비자는 수동적 사용자가 아니라 교육받은 옹호자로 재정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유틸리티 기업은 기술·정책·노동 부문과 교차 협력해 공정한 요금 체계를 설계해야 한다”며, 특히 흑인·라틴계 등 취약 계층을 “단순 통계가 아닌 정책 이해관계자”로 인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애국적 구호로는 전기요금을 낼 수 없다”며 “투명성·형평성·혁신 투자 없이는 ‘빅 뷰티풀 법안’이 미국 가계에 ‘빅 어글리(Big Ugly) 고지서’를 가져올 것”이라고 꼬집었다.


전문가들이 내놓은 실용 조언

* 에너지 효율 점검: 노후 가전·난방 시스템을 고효율 제품으로 교체해 장기 요금 인상을 상쇄할 필요가 있다.
* 커뮤니티 솔라 가입: 설치 공간이 없더라도 지역 공용 태양광 프로젝트에 지분 참여해 할인된 전력을 구입할 수 있다.
* 실시간 요금제 모니터링: 아버 같은 데이터 서비스로 시간대별 요금을 확인해 세탁·충전 등을 저렴한 구간에 집중한다.

이처럼 친환경 정책 후퇴가 가계경제에 미칠 파장이 가시화되면서, 전문가들은 “개별 소비자의 전략적 대응과 정부 차원의 재생에너지 재투자”를 동시에 촉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