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육우·중량우 선물가격 혼조 마감…박스드 비프 스프레드 확대

시카고상품거래소(CME) 소 현물·선물 시장이 22일(현지시간) 혼조세로 장을 마감했다. 비육우(Live Cattle) 선물은 소폭 하락한 반면, 중량우(Feeder Cattle) 선물은 상승 폭을 지켜냈다.

2025년 7월 23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전일장(22일) 시카고상품거래소 비육우 선물은 월물별로 0.10달러에서 0.50달러까지 하락해 약세로 거래를 마쳤다. 반면 중량우 선물은 0.65달러에서 0.90달러 상승하며 비교적 견고한 강세 흐름을 유지했다.

현물(현금) 거래쇼 리스트(show list) 축적 단계에 머물러 실제 체결 물량이 많지 않았다. 쇼 리스트란 도축업체가 가수요와 실제 수요를 감안해 거래 가능 물량을 시장에 미리 보여주는 목록을 의미한다. 거래가 본격화되기 전 가격 협상력을 확보하기 위한 일종의 사전 행보다.


■ 세부 가격 동향

• 8월물 비육우: 224.975달러(전일 대비 –0.250달러)
• 10월물 비육우: 221.125달러(–0.500달러)
• 12월물 비육우: 221.650달러(–0.100달러)
• 8월물 중량우: 328.275달러(+0.675달러)
• 9월물 중량우: 328.575달러(+0.875달러)
• 10월물 중량우: 326.875달러(+0.900달러)

CME 중량우 현물 지수는 7월 21일 기준 전일 대비 1.03달러 오른 326.83달러로 집계됐다.


■ 박스드 비프 가격과 도축 물량

미국 농무부(USDA)가 발표한 22일 오후 박스드 비프(Boxed Beef) 가격은 혼조세를 보였다. 초이스(Choice) 등급372.50달러로 0.43달러 상승했고, 셀렉트(Select) 등급347.94달러로 2.11달러 하락했다. 이로써 등급 간 가격 격차(Chc/Sel 스프레드)는 24.56달러까지 확대됐다.

USDA는 22일 하루 도축두수를 112,000두로 추정했다. 주간 누적 도축두수는 217,000두로, 전주 대비 13,000두, 전년 동기 대비 21,983두 각각 감소했다.


■ 용어 설명*

*Boxed Beef(박스드 비프)는 도축 후 부위별로 절단·포장돼 거래되는 소고기를 말한다. Choice·Select는 USDA가 육질·육량에 따라 부여하는 등급이며, 스프레드(spread)는 두 등급 간 가격 차이를 의미한다. 스프레드가 확대되면 고급육(Choice)의 수급이 상대적으로 타이트(빠듯)하거나, 저급육(Select)의 수요가 감소했음을 시사한다.


■ 시장 해석 및 전망

최근 도축두수 감소가 지속되는 가운데 박스드 비프 가격이 혼조세를 보이자 현물·선물 가격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Choice-Select 스프레드 확대는 고급 외식 수요 회복 가능성을 반영하는 신호로도 해석된다.

중량우 선물이 상대적 강세를 보인 이유에 대해, 시카고 시황 참여자들은 “옥수수 선물 약세로 인해 곡물 사료 비용이 낮아지면서 비육 수익성 개선 기대가 반영됐다”는 분석을 내놨다. 동시에 4분기 이후 계절적 수요 증가에 대한 선제 베팅이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 저작권 고지 및 면책(Disclosure)

본 기사의 원문 작성자인 Austin Schroeder는 기사 작성 시점 기준 해당 종목에 직접·간접적인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모든 정보는 투자 조언이 아닌 일반 정보 제공 목적이다. 자세한 내용은 바차트(Barchart)의 Disclosure Policy를 참조하면 된다.

기사에 언급된 견해와 의견은 저자 개인의 것이며, 반드시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지는 않는다.